제게도, 제목으로는 예상할 수 없었던 그런 즐거움이었습니다.
[서울외계인] 버지니아 울프,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읽기
D-29
서울외계인
poiein
“ 그런 작품은 다시 읽고 더 잘 이해하고 싶다는 것 말고는 다른 무엇인가를 하려는 욕망을 불러일으키지 않습니다. 아마도 그 차이는 스턴과 제인 오스틴이 사물 그 자체, 인물 그 자체, 작품 그 자체에 관심을 두었다는 데 있겠지요. ”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베넷 씨와 브라운 부인, 버지니아 울프 지음, 최애리 옮김
문장모음 보기
poiein
주로 그리스 비극과 19세기 소설에서 '다시 읽고 더 잘 이해하고 싶다는 것 말고는 다른 무엇인가를 하려는 욕망'이 생기지 않았던 것 같아요. 문학을 말하는 울프의 언어가 친근하게 다가서서 놀라고 있는 중입니다.
서울외계인
몇백 년의 시차가 있지만 고전을 대하는 마음은 통하는 것이 있는 것 같습니다.
서울외계인
“ 독자와 작가의 이런 구분, 독자 편에서의 겸손, 작가 편에서의 전문가연하는 태도야말로 작품을 변질시키고 무력하게 만듭니다. 작품이란 독자와 작가 사이의 긴밀하고 대등한 연합의 건강한 산물이어야 하는데 말입니다. ”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p.98, 버지니아 울프 지음, 최애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서울외계인
이런 걸 추구하는 한국 소설이 있다면 당장 읽어보고 싶네요.
혹시 아시는 분은 추천!
장사이
가능한 한 아름답게, 무슨 일이 있어도 진실하게 묘사하도록 [...] 그녀는 우리를 살아 움직이게 하는 정신이요, 삶 그 자체이기 때문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p.98, 버지니아 울프 지음, 최애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서울외계인
[다섯째 날] 〈시, 소설, 그리고 미래〉 (1927)
울프는 이번 글에서 미래의 문학에 대해 예측해보려 하고 있습니다.
그 모든 것을 관통하는 것은 "삶에 대한 태도"(p.104)라는 키워드입니다.
"삶에 대한 태도"에 따라 각 시대 작가들의 작품은 고유한 특질을 가졌다고 분석합니다.
이제 시보다 산문이 "현대 정신의 특성으로 간략히 묘사하는 감정들"에 적합합니다.
앞으로 나타날 문학은 "시적인 특징들을 많이 지닌 산문이 될 것"이고, "그것은 시처럼 고양된 무엇을 지니되 산문의 평범함도 많이 지닐 것"이며, "극적이되 희곡은 아닐 터이니, 상연되는 대신 읽힐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poiein
우리는 생각과 꿈과 상상과 시를 원한다.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시, 소설, 그리고 미래, 버지니아 울프 지음, 최애리 옮김
문장모음 보기
poiein
문학에서 향유하고 싶은 것들이 나열되어 있는 문장입니다:)
서울외계인
모든 도구를 손에 든 채 예술이라는 좁다란 다리를 건널 수는 없다. 어떤 것은 뒤에 두고 오거나 아니면 중간에 물속으로 던져 버려야 한다.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p.119, 버지니아 울프 지음, 최애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서울외계인
모든 순간이 중심이며, 지금껏 표현되지 않은 막대한 지각들이 마주치는 장소이다. 삶은 항상, 그리고 불가피하게, 우리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보다 더 풍부하다.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p.121, 버지니아 울프 지음, 최애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사이
(저녁 늦게 돌아오는 일정이라 오늘도 밀리로...)
<<에세이즘>>을 사서 좀 읽다가 말았더랬는데 오늘치 글을 다시 꼼꼼히 읽는 편이 낫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시는 그들에게 너그럽게 해주던 서비스를 우리에게는 베풀지 않는다"에서의 "서비스"처럼 번역되지 않은(?) 단어들이 나올 때마다 거슬려요;
yoonshun
“…Many reasons might be given, but here let us select only one, and that is the failure of poetry to serve us as it has served so many generations of our fathers. Poetry is not lending her services to us nearly as freely as she did to them. The great channel of expression which has carried away so much energy, so much genius, seems to have narrowed itself or to have turned aside.” (“Selected Essays”, p.74)
앞뒤 맥락을 덧붙여 말씀하신 내용의 원문을 첨부해 봅니다. 시와 문학을 논의하는 흐름에서 한글로 ‘서비스’라니 그야말로 거슬리는 표현이네요.ㅠ 앞 문장의 동사 serve에 이어 나오는 말이기도 하고, ‘도움’ ‘역할’ ‘활약’?... 같은 번역어들을 활용할 수도 있었을텐데, 아쉬운 부분입니다.
poiein
세상에, 저도 저 표현이 거슬려서 잠깐 눈쌀을 찌푸렸어요.
서울외계인
고심한 것 같은 번역어가 많이 보였는데, 이 '서비스'는 왜 그랬을까 싶네요.
예전에는 '봉사'라고 많이 번역했던 것 같은데,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군요.
소금
대체 우리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말해 주는 것, 아니 짐작이라도 해보는 것이 비평가의 의무가 아닐까?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버지니아 울프 지음, 최애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소금
마음으로 무릎을 탁 친 부분. 정말로요, 어떤 책을 읽고 너무 좋아서든 싫어서든 그 책에 관해서 수다를 떨고 싶은데, 아무리 검색해도 비평 한 줄 나오지 않을 때의 답답함이란...
서울외계인
인터넷서점의 '20자평' 같은 리뷰(?)밖에 의지할 게 없을 때 참 답답하죠.
별점조차 없을 때는 참...
소금
“ 우리 모두 삶과 썩 사이가 좋지 않은 사람들을 안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좀처럼 얻지 못하는 불행한 사람들, 불편한 각도에 서서 모든 것을 다소 삐딱하게 바라보며 좌절하고 불평하는 이들 말이다. ”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버지니아 울프 지음, 최애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