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견을 깰 수 있었습니다.
병원이나 요양원에서의 죽음이 너무나 당연하게 여겨지는 현대에, 저자의 할아버지가 보낸 시간이 새롭게 다가왔습니다. 마지막까지 자신의 삶에 결정권과 주도권을 가질 수 있는 방식을 고민해본 적이 없다는 점에서 생각해볼거리가 많아졌습니다.
[그믐북클럽Xsam]18. <어떻게 죽을 것인가> 읽고 답해요
D-29
호호하하
도리
“ 의사가 되면서 나는 치료를 받는 입장에서 치료를 하는 입장이 됐다. 두 분 다 의사인 부모님 밑에서 자랐음에도 병원에서 접하는 모든 것이 새롭기만 했다. 나는 이전까지 누군가 죽는 것을 한 번도 목격한 적이 없었다. 따라서 처음으로 그런 경험을 했을 때 충격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나 자신도 언젠가 죽게 되리라는 사실이 생각나서가 아니었다. 어쩐 일인지 내 또래의 죽음을 목격했을 때도 그런 생각이 떠오르지는 않았다. 나는 의사 가운을, 그들은 환자복을 입고 있었고, 서로 입장이 바뀌는 그림은 상상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내 가족이 환자가 되는 상황은 상상할 수 있었다. 내 가족들─아내,부모님, 아이들─이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병을 앓은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정말 급박한 상황이었음에도 의학 기술 덕분에 모두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 그래서인지 의학 기술로도 목숨을 구하지 못하는 환자들을 봤을 때 나는 충격을 받고 말았다. 물론 이론적으로는 내 환자가 죽을 수 있으리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그런 일이 일어날 때마다 뭔가 반칙을 당했다는 느낌이 들었다. 마치 게임의 규칙을 저쪽에서 어긴 것 같은 느낌 말이다. 내가 생각하고 있던 게 어떤 게임이었는지 모르겠지만, 그 게임에서 우리는 항상 이기도록 되어 있었다. ”
『어떻게 죽을 것인가 - 현대 의학이 놓치고 있는 삶의 마지막 순간』 아툴 가완디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비밀을품어요
서문에서부터 확 빠져들게 하는 몰입감이 굉장했어요. 여러 사례들을 통해서 지극히 현실적인 고민들을 함께 하는 동시에 죽음을 외면하는 의료가 어떤 결과를 맞이하게 만드는지, 환자 역시도 그런 죽음을 목격하면서 자신은 그런 죽음을 맞이하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했지만 막상 자신의 죽음 앞에서는 치료받는 쪽을 택하면서 원하지 않았던 형태의 죽음을 맞이하는 장면은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과연 나는 어떤 선택을 하게될까 상상해보기도 하구요,
비밀을품어요
늙음과 고령이 드물 때는 공경과 가족의 돌봄 속에서 자신이 원하는 대로 마지막까지 살 수 있었던 반면 오래 사는 것이 보편적이 되면서 개인과 사회로 돌봄의 책임이 넘어간 변화를 잘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앨리스 할머니라는 한 개인이 혼자 설수 없는 과정을 보여주는 과정이 정말 가슴 아프면서 섬뜩하기도 했어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그믐클럽지기
1-2.마음에 남은 문장을 적어주세요. (댓글창 아래 있는 문장수집 기능을 이용해 주셔도 좋습니다.)
소소한날
아주 조금 나아질 가능성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이유로 뇌를 둔화시키고 육체를 서서히 무너뜨리는 치료를 받으며 점점 저물어 가는 삶의 마지막 나날들을 모두 써 버리게 만드는 것이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 - 현대 의학이 놓치고 있는 삶의 마지막 순간』 P.23, 아툴 가완디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나르시스
재력이 있는 노인들은 거의 대부분 사회학자들이 ‘거리를 둔 친밀감(intimacy at a distance)’이라고 부르는 방식을 택했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 - 현대 의학이 놓치고 있는 삶의 마지막 순간』 아툴 가완디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여우달
“ 현대화는 사람들에게 - 젊은이와 노인 모두에게- 더 많은 자유와 통제력을 누리는 삶의 방식을 제공했다. 거기에는 다른 세대에게 덜 묶여 살 자유도 포함되어 있다. 노인들에 대한 존중은 없어졌을지 모르지만 그것이 젊음에 대한 존중이 아니라 독립적인 자아에 대한 존중으로 대체된 것이다 ”
『어떻게 죽을 것인가 - 현대 의학이 놓치고 있는 삶의 마지막 순간』 35, 아툴 가완디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독갑
“ 전공 교재는 나이 들어 쇠약해지다가 결국 죽음에 이르는 과정에 관해서는 거의 아무것도 말해 주는 것이 없었다. 그 과정이 어떻게 벌어지는지, 사람들이 삶의 마지막 순간을 어떻게 맞이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주변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것처럼 다루었다. ”
『어떻게 죽을 것인가 - 현대 의학이 놓치고 있는 삶의 마지막 순간』 서문, 아툴 가완디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독갑
죽음에 이르는 과정에 대해서도, 아이를 임신하고 출산하는 과정에 대해서도, 자식을 양육하는 과정에 대해서도, 우리는 미리 배우지 못하는 게 너무 많습니다. 아마도 그런 것들을 미리 배우면 그 과정에 뛰어들 용기를 내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일부러 가르치지 않는 것은 아닌 것인가 의문이 드네요.
독갑
“ 물론 죽음은 실패가 아니다. 죽음은 지극히 정상적인 일이다. 죽음이 비록 우리의 적일는지는 모르지만, 만물의 자연스러 운 질서이기도 한 것이다. 나는 이 진실을 추상적으로는 알고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이해하지 못했다. 그 진실이 모든 사람에게 적용될 뿐 아니라 내 앞에 앉아 있는 이 사람, 내가 책임져야 할 이 사람에게도 적용된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
『어떻게 죽을 것인가 - 현대 의학이 놓치고 있는 삶의 마지막 순간』 서문, 아툴 가완디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으른
그러나 아버지가 고향을 떠났고, 다시 돌아가지 않으리라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었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 - 현대 의학이 놓치고 있는 삶의 마지막 순간』 아툴 가완디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으른
사람들은 기존의 생활방식을 버릴 기회와 자원을 손에 넣는 즉시 떠나 버렸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 - 현대 의학이 놓치고 있는 삶의 마지막 순간』 아툴 가완디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독갑
“ 그럼에도 아버지가 결코 익숙해지지 못한 것은 바로 미국인들이 노약자들을 대하는 방식이었다. 혼자 살게 내버려 두거나 개인의 특성을 전혀 고려치 않는 획일적인 시설에 맡김으로써, 그들이 정상적인 의식을 갖고 살아갈 수 있는 마지막 순간을 자기 이름도 제대로 모르는 간호사나 의사들과 함께 보내도록 하는 것 말이다. 그것은 아버지가 자란 세상의 모습과 완전히 상반되는 것이었다. ”
『어떻게 죽을 것인가 - 현대 의학이 놓치고 있는 삶의 마지막 순간』 아툴 가완디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독갑
“ 미국에서라면 할아버지를 요양원에 보냈을 게 거의 확실하다. 미국의 의료 전문가들은 개인의 신체 기능에 등급을 매기는 형식적인 분류 체계를 갖고 있다. 이 체계에 따르면 8가지 일상 활동을 스스로 해내지 못할 경우 기본적인 신체 독립성이 결여된 것으로 판정한다. 거기에는 화장실 가기, 밥 먹기, 옷 입기, 목욕하기, 머리 손질 등 몸단장하기, 침대에서 일어나기, 의자에서 일어나기, 걷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일상생활의 8가지 독립 활동, 즉 쇼핑, 요리, 가사일, 빨래, 약 복용, 전화 사용, 외출, 재정 관리 등을 혼자 하지 못하면 독립적으로 안전하게 살 능력이 결여된 것으로 판정한다. ”
『어떻게 죽을 것인가 - 현대 의학이 놓치고 있는 삶의 마지막 순간』 아툴 가완디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슬하염
노인들에 대한 존중은 없어졌을지 모르지만, 그것이 젊음에 대한 존중이 아니라 독립적인 자아에 대한 존중으로 대체된 것이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 - 현대 의학이 놓치고 있는 삶의 마지막 순간』 아툴 가완디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Alice2023
현대화가 강등시킨 것은 노인들의 지위가 아니라
가족이라는 개념 자체였다
메이플레이
현대사회에서 고령과 노환은 함께 나눠야 하는 여러 세대의 책임에서 개인의 문제로 변화했다. 대부분 혼자 감당하거나 의사와 기관의 도움을 받아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된 것이 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 - 현대 의학이 놓치고 있는 삶의 마지막 순간』 아툴 가완디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STARMAN
“ 그럼에도 아버지가 결코 익숙해지지 못한 것은 바로 미국인들이 노약자들을 대하는 방식이었다. 혼자 살게 내버려 두거나 개인의 특성을 전혀 고려치 않는 획일적인 시설에 맡김으로써, 그들이 정상적인 의식을 갖고 살아갈 수 있는 마지막 순간을 자기 이름도 제대로 모르는 간호사나 의사들과 함께 보내도록 하는 것 말이다. ”
『어떻게 죽을 것인가 - 현대 의학이 놓치고 있는 삶의 마지막 순간』 1. 독립적인 삶 / p32, 아툴 가완디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선경서재
[1-2] "우리는 향수에 젖어 시타람 할아버지 같은 노년을 보낼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우리가 인생의 마지막 시기를 그렇게 보내지 못하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결국 우리가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역사적인 패턴은 명확하다. 사람 들은 기존의 생활방식을 버릴 기회와 자원을 손에 넣는 즉시 떠나 버렸다. p59"
이 문장 굉장히 뜨금했다. 나 또한 저자의 이야기를 들으며 시타람 할아버지 같은 노년을 보내고 싶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도시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시골에 계신 홀로 계신 아버지를 자주 뵙지 못하고, 아이의 장래를 위해 더 (팔릴) 가치가 있는 부동산을 눈여겨 보고 있는 것이 지금의 일상이라는 사실이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