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이 지난 지금 다시 읽어봐야겠다는 마음이 드는 책입니다. 결말에서 세상 모든 게 다 허무하게 느껴지고 뒷맛이 써서 영화도 보지 않았는데, 세월이 지난 지금의 나에겐 어떻게 다가올지...전시도 보면 뭔가 또 다른 생각이 들 것 같습니다.
[초대이벤트] <위대한 개츠비>전 티켓을 드립니다. 고전 작품을 전시로 만나세요.~6/6
D-29
꼬모
청오이
청오이
개츠비를 처음 만났을 때는 배경지식이 없어 이해가 잘 안됐었는데 우연히 영화를 보고나서 애착이 갔어요.
정독하고 나니 굉장히 매력적인 서사와 심리묘사 등이 뛰어나더군요. 캐릭터 설정도 멋졌어요. 자기가 발 딛는 곳에서
자기의 목소리를 내며 이야기를 끌고 갔어요. 감동이 컸어요

고래고래
개츠비는 많은 시간이 지났지만 여전히 재해석의 여지가 많은 작품인 것 같습니다. 로버트 레드포드의 영화도,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의 영화도 모두 즐겁게 봤습니다. 전시는 또 어떤 감흥을 줄 지 궁금하네요.
희망을갖고싶어
개 : 개인적으로 삼행시를 잘한다고 생각합니다만
츠 : 츠라는 글자는 정말 어렵군요. 이번 삼행시는 입상이
비: 비관적이지만 행운을 바래봅니다.
우주왕먼지
개: 개츠비는 은빛 후추가루를 뿌려놓은 듯한 별들을 바라보며 꿈을 꾸었지.
츠: 츠렁츠렁 화려한 샹들리에가 매달린 화려한 저택을 바라보며 데이지를 생각했어.
비: 비로소 자신이 원한 것들이 손에 잡힐 것 같았을 때, 비극은 시작되고 인생은 끝이 났어. 이것은 비단 ‘위대한’ 개츠비만의 이야기일까?

티코
개: 개츠비는 오직 한 사람, 데이지만을 위해 자신의 일생을 걸어왔고, 그런 개츠비를 향해 데이지는
츠: 츠근(측은)한 눈빛으로 바라봤습니다. 둘 사이에 있었던 사랑의 관계를 짐작했던 것이겠죠.
비: 비극적인 개츠비의 죽음으로, 탐닉과 순수가 섞였던 둘의 사랑은 그렇게 끝이 났습니다.

100
아래아래

100
개츠비도 순수했어. 사랑 앞에서
츠음 시작은 그랬지
비록, 결국 탐욕으로 비춰지더라도.

100
아래에 정리정리

유진초이
개: 개츠비를 아세요?
츠: 츠은대레의 대표이지요.
비: 비운의 그가 저세상에서는 사랑을 이루기를 빕니다.
메데아
전 학부에서 문학을 전공했고, 지금은 대학원에서 인문학을 공부하고 있어요. <위대한 개츠비>는 책으로 총 두번 읽었는데, 고등학교때 처음 읽었을 때는 솔직히 '이게 왜 세계고전일까'란 생각이 들었고, 나이들고 다시 읽었을 때는 '이게 비극소설이었구나'란 생각이 들었네요. 살아가면서 제일 중요한것이 '사람보는 눈'이 란 생각도 들었고요. 사람보는 눈이 없는 자는 자신만의 환상을 쫒아 가치없는 어떤 것에 환영을 덧입히고 결국 목숨까지 잃게 되는 구나 ...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하지만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나온 영화를 보고 원작보다 더 매혹적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화려함과 사치스러움이 매력적이더군요.
이번 전시에서는 제가 느끼지 못했던 원작 해석의 풍요로움을 느낄수 있을까요?
요즘 인스타에 푹 빠져 지내는데, 다녀와서 멋진 후기도 남기겠습니다. :-)
바다의시작
개츠비의 인생이 얼마나 파란만장하고 화려한지 알기에 그 전시가 너무 기대되네요! 격정과 순수를 어떻게 표현하고, 우린 어떻게 받아들일수 있을지 궁금하네요!
개 개인의 성장에 몰두하기엔
츠 츠츠츠 혀를 차는 나이가 되어버렸네
비 비인간을 극복하려면, 개츠비같은 천둥벌거숭이에게 노출되는 문학을 계속 읽는 수밖에

MissKay
위대한 개츠비... 고등학교 영어 수업에서 재밌게 읽었었는데 후에 제가 너무 좋아하는 바즈 루어만 감독이 화력하게 영화화 해서 더 좋아하게 되었죠! 전시도 너무 기대되네요🤩
달여인
예전에 읽었던 [위대한 개츠비]를 다시 읽고 싶네요. 철없던 시기 주인공 딕처럼 많은 허황된 꿈이 멋져 보여 읽는 재미와 연민이 느껴졌던 기억이 납니다.
함께 읽고 그 동안 지나간 시간 속 저의 느낌의 변화도 체험해 보고자 합니다.
특히 <위대한 개츠비> 전시회도 꼭 체험해 보고 싶습니다. 재즈와 샴페인의 몽환적 분위기 속 주인공도 되고 싶네요.
개: 개념없던 지난 시절
츠: 츠스림 없이 꿈에 젖어
비: 비운의 개츠비를 연모하였다네 슬픔 속 헛된 인생의 주인공을.
Nanana
저는 소설은 보지 못했고, 영화로만 접하였습니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진짜 개츠비인 것처럼 워낙 역할을 잘 한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아래 개츠비로 삼행시를 만들어보았습니다.
개츠비의 화려한 삶
츠나미처럼 밀려온 파멸
비극적 종말은 피할 수 없었네

조영주
와 이거 멋짐다
막찌마
개 울가의 올챙이가 개구리 된 듯 개
츠 비는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처럼 보였지만 그의 말로는
비 극이었지. 당시 세계관을 나타내고 있지만 오늘날이라고 다를 게 있을까.

찐쌤
피츠 제럴드..저와 생일이 같은 작가~ 그래서 단편선부터 다시 바라보게되었다는 이야기가..ㅎ
이번기회에 위대한 개츠비를 또다른 저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받아들일 수 있을지..

이정연
소설로 두 번 읽고, 영화로도 두 번 봤어요. 전시는 어떨지 기대되네요. 꼭 만나고 싶어요!

가든박
중학생 땐가 고등학생 땐가, 제대로 이해도 못하면서 읽었던 기억이 나는데, 어느덧 중년(?)의 나이가 되고 보니 이제야 그 당시 주인공이 느꼈을 모순된 상황과 감정들이 조금 이해가 되네요. 우리 모두 마음 한켠에는 개츠비 같은 모습을 담고 살아가는 건 아닐는지, 하고 말이죠. 생각난 김에 다시 한번 더 정독해야겠네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