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Y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로 잘 알려진 로버트 맥키의 비교적 최신작(2021년)인 <로버트 맥키의 캐릭터>를 읽어봅니다. 원래 작법서나 기술서 등은 교재 같아서 읽기 싫어지기 마련인데 부담 없이 읽어볼 생각입니다. 완독하게 되면 2022년에 출간된 액션도 읽어볼 예정.
[작법서 읽기] Character : 로버트 맥키의 캐릭터 함께 읽기
D-29
메롱이모임지기의 말
메롱이
총 17장인데 1주에 4장씩 진도를 나가봅니다. 그럼 오늘부터 주말을 끼고 19일 일요일까지 4장 캐릭터에 대한 영감 : 밖에서 안으로까지 클리어하겠습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메롱이
1장 캐릭터 vs 인간
메롱이
“ 우리는 현실의 사람들보다 캐릭터에게서 더 풍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 꼼꼼히 관찰할 수 있도록 캐릭터가 얌전히 기다려 주기 때문이다. 우리 눈앞에서 캐릭터가 말하고 움직일 때는 그 말과 행동 너머에 있는 말해지지 않은 생각과 욕망, 소리 없이 흐르는 궁극의 서브텍스트, 캐릭터의 잠재의식까지 꿰뚫는 투시력이 생기는 듯 하다. ”
『Character : 로버트 맥키의 캐릭터』 p19, 로버트 맥키 지음, 이승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메롱이
“ 인간 본성의 단면은 엄혹한 모순을 담고 있다. 선과 악, 사랑과 잔학, 아량과 이기심, 지혜와 아둔함 등등 수많은 것들이 상충한다. 하지만 자기 내면의 역설을 극한까지 탐색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우리 중 누가 감히 토니 모리슨의 빌러비드 속 세서처럼 분열된 자아의 어두운 심연까지 파고들겠는가? ”
『Character : 로버트 맥키의 캐릭터』 p20, 로버트 맥키 지음, 이승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메롱이
“ 잘 못 쓴 글에는 상투적인 인물과 곧이곧대로 쓴 대사보다 더 통탄할 결함들이 득시글댄다. 허접한 잡문은 감상주의, 자기도취, 잔학성, 방종, 거짓말 따위의 윤리적인 결점들로 병들어있다. 마음을 독하게 먹어야 진실한 글을 쓸 뿐더러 진실한 삶을 살 용기가 생긴다. ”
『Character : 로버트 맥키의 캐릭터』 p26, 로버트 맥키 지음, 이승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메롱이
“ 뭔가 색다른 걸 해 보려는 충동은 알고 보면 별로 대단치 않을 뿐더러 서사의 질까지 떨어뜨리는 '다름'으로 귀결될 때가 많다. 획기적인 시도가 거의 대부분 실패한느 이유는 사실상 이미 이전에 시도해 보고 진부하다고 판명이 났기 때문이다. ”
『Character : 로버트 맥키의 캐릭터』 p27, 로버트 맥키 지음, 이승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메롱이
세상에 가장 쓸모 없는 독서 가운데 하나가 작법서 읽기. 이건 마치 벌거벗은 트레이너 사진들이 실린 근육 키우는 방법 책을 읽거나 브런치 만들기 같은 요리책을 읽는 행위와 비슷하다. 이런 책을 읽는다고 해서 근육이 생기거나 내 배고픔이 채워지진 않는다. 그저 내 삶이 근육을 키우는 방향성을 갖고 있어 정도의 자기 암시 정도. 글쓰기 책을 읽어도 내 글이 개선되진 않는다. 어찌보면 상당히 무용한 독서지만 시간 보내기엔 좋다.
그럼에도 로버트 맥키는 직설적으로 내뱉는 남자라서 글 읽는 맛이 있음. 재혼한 와이프가 한국인이라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한국에서 스토리 세미나를 열었던 적이 있었는데 그때도 직설적이었고 다혈질이었고 카사블랑카 이야기를 하다가 울었다. 아니 대체 저런 노년의 강사가 어떻게 스스로의 감정을 컨트롤 못하고 강연장에서 울 수가 있지 싶었음.
화제로 지정된 대화
메롱이
2장은 아리스토텔레스 논쟁은 스토리계의 오랜 다툼 가운데 하나인 캐릭터 중심이나 플롯 중심이냐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최악의 국문 번역 작법서로 기억하는 앤드류 호튼의 캐릭터 중심의 시나리오가 떠오르는데 이것도 시간이 되면 다시 읽어보겠습니다.
캐릭터 중심의 시나리오 쓰기1994년 초판 발행 이래 수많은 작가들의 '필독서'가 되어 있는 〈Writing the Character - Centered Screenplay〉의 최근 개정판을 번역한 책. 작가 자신의 '캐릭터'를 중심에 둔 글쓰기에 대해 설명한다. '생성의 역동적 과정'으로서 캐릭터를 이해하고, 각 캐릭터의 역사, 욕구, 취향, 한계, 즐거움, 리듬 등을 살려야 한다는 것.
책장 바로가기
메롱이
“ 플롯과 캐릭터 중 어느 것이 더 창작하기 어렵고 미학적으로 중요한가하는 질물은 범주적 오류를 범한다. 둘의 우위를 따지는 것이 논리에 맞지 않는 건 그 둘이 본질적으로 같기 때문이다. 플롯이 캐릭터이고 캐릭터가 곧 플롯이다. 이 둘은 스토리라는 동전의 양면이다. ”
『Character : 로버트 맥키의 캐릭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