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아요. 시대에 따라 어떤 장치가 아주 예전 것이 되어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죠. 하여 작가가 어느 시대를 배경으로 그리는지 생각해 그 장치를 같이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CCTV나 도청 장치도 때에 따라서 맞거나 아니면 허술한 장치가 되어버리니까요. 그것도 작가의 고민 중 하나라 정말 어렵네요.
[📕수북탐독] 1. 속도의 안내자⭐수림문학상 수상작 함께 읽어요
D-29

이정연

장맥주
이제 경찰을 주인공으로 삼으면 안 될 거 같다는 생각을 진지하게 해요. 과학수사 기법이 발달해서 추리라는 게 의미가 있나 싶어서요.

이정연
그런 이유로 요즘 회귀 드라마, 소설이 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종종 해요. 연락이 안 되고, 과학은 그만큼 안 따라가고. 재미 있는 건 기술이 없을 수록 사람이 하는 것이 늘어나 이야기는 더욱 풍성해지는 아이러니가 있죠.

장맥주
일리 있는 분석이네요. 만들기도 해결하기도 간편한 역경이니까요. 저는 회귀물이나 빙의물은 잘 몰입하기가 어려운데, 그런 역경 만들기가 너무 안이하게 느껴져서 그런 거 같아요. 그 와중에 환생물은 거부감이 덜한 건 왜 그런지 모르겠네요. 환생이라는 개념은 보다 오래 되어서 그럴까요.

이정연
환생은 아무래도 더 힘든 것이라, 그러니까 우주의 풀리지 않은 미스터리와 같은 개념으로 그냥 받아들이기로 마음 먹는 게 아닐까요. 저는 어릴 때 '스타워즈'를 보며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하면서도 이해해버렸던(?) 것 같아요.

새벽서가
오호! 비슷한 감정을 갖고 계시다니 놀라워요. 저도 빙의물은 귀신이라던가, 빙의, 굿, 이런 것들에 공감이 안되어서인지 이번에 ‘파묘‘라는 영화를 보면서도 이건 뭐지? 라는 생각밖에 안드는거에요! 그런데, 전 윤회라는 건 믿어요. 온집안 식구가 100년 가까이 천주교 신자이지만 한 분, 어머니은 불교신자시고 어릴 때부터 성당보다는 절에 갈 때 더 편안한 느낌을 갖기도 하고 사람이 한 번만 살고 말지는 않을거 라는 묘한 믿음(?)도 있어요. ^^;
다음 생애엔 그늘을 크게 만들 수 있는 나무로 태어나고 싶다는 희망을 갖고 있어서일지도 모르겠어요.
소설쓰는지영입니다
@김하율 휴대폰만 해도 쓰지 않는 기능이 더 많은데 계속 뭔가 더 업그레이드 되잖아요. 전 지금도 충분, 아니 넘치는데 말이죠. 근데 제가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서 모른 체로 지내기엔 소설을 쓰는 입장에선 알아야 하고... 저도 정말이지 어렵습니다.

이정연
앗, @장맥주 님. 어떻게 아셨어요? 실은 요즘 부쩍 스릴러나 범죄 장르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본격'까지는 아니지만 다음에 발간할 소설도 심리 스릴러를 표방해 쓰고 있어요.

장맥주
오, 심리 스릴러 기대됩니다!

이정연
응원, 감사히 받겠습니다!

새벽서가
심리 스릴러, 추리소설. 좋아하는 장르여서 작가님의 다음책이
기대됩니다!

이정연
잘 써야 할 텐데요. 열심히 고민해서 쓰겠습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소설쓰는지영입니다
이제 3장 '황금사과를 품은 거위'에 관한 이야길 나눠볼까요. 저에게 3장에서 인상적이었던 장면은 '채윤'이 약을 배달하러 갔던 집에 있던 '아이'가 '배인성'의 체포 이후 승원 어린이재단의 지원으로 정신상담과 건강검진을 받게 된 것과, '채윤'이 약국에서 두통약을 사던 것인데요. 승원이 사회에 뻗고 있는 세력이 어마어마하며 신약과 직접 관련이 없기에 나와는 별개의 일이라고 생각했던 게 아닐 수도 있다는 의심을 하게 했어요. 서늘함은 채윤뿐만 아니라 저 역시 느낀 감정입니다.

메이플레이
승원의 세력이 참 느껴졌던 것에 공감합니다. 우리 주변에도 이런 무시무시한 세력은 없다 돌아보게됩니다. 권력, 재력으로 사회전반을 마음대로 휘두른다는 것은 그로 인해 힘없는 사람들이 당한다는 것이겠죠. 3장 제목에서 '황금사과를 품은 거위'에서 제목이 의아했어요. 무엇을 상징하는지 잘 모르겠더라구요. 그저 이 거위가 언젠가 사람들의 욕심으로 배 갈리는 위험이 오겠구나정도로 짐작하게되요.

바나나
저도 제목이 의미하는 바가 뭘까 고민하면서 읽었어요. 황금알도 아니고...황금사과? 뒤로 가면 답이 나올지 찾아보겠습니다.

새벽서가
이 부분 읽을 때 새삼 돈의 힘에 대해 생각해봤습니다.
소설쓰는지영입니다
“ 같은 약이 아닐지 모른다. 포장도 여덟 알이 아니라 열두 알이었다. 그런데 두통처럼 불쾌한 기시감이 느껴졌다. 내내 피하던 일이 기어이 벌어진 것 같은 서늘함. 채윤은 간신히 정신을 차려 값을 치렀다. ”
『속도의 안내자』 115, 이정연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소설쓰는지영입니다
오늘의 질문입니다. "한성태와 채윤, 모두 과거에 갇힌 사람"(130쪽)들입니다. 이후에 더 자세히 이야기되는 '명은주' 역시 그렇고요. 이 소설에서 인물을 추동하는 힘은 '과거'에 있습니다. 그러고 보면 저 역시 지나온 시간을 곱씹으며 지낼 때가 많고요. (가끔 소설이 되기도 합니다...!) 여러분에게도 갇혀 있다는 느낌을 받거나 붙들고 있는 과거가 있나요? 지금까지도 영향을 미치는 과거가 있는지요.

연약마녀
누구나 그런 과거 하나쯤 있지 않을까요? 저는 요즘 스레드를 해요. 그곳은 텍스트 위주고 아직 마이너해서인지 광고가 없어서 좋더라고요. 각설하고, 스레드에 자기의 과거를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많더라고요. 이렇게 쓰면서 털어내려고, 혹은 치유할려고 쓴다고 하더라고요. 아픈 이야기가 많았고, 분노하기에도 미안한 슬픈 이야기도 많더라고요.

지구반걸음
붙잡고 갇힌 과거라기보다는
제가 삶을 가꾸어가는 태도를 한결같이 유지하게 해주는 것이 있지요
10대의 막바지때 역사의 진실을 알게되고
많이 혼란스럽고 힘든 시간을 보냈지요
근현대사의 아픔들에 박혀서...
그런시간들을 품고서 사람답게 어른답게 사는것을 늘 고민하며 살고있네요
큰 힘은 아니지만 할 수 있는 것들을 찾아서
무심하지만 꾸준하게 하려합니다
지구라는 곳에 태어난 생명체로서 주어진 몫은 다하려고합니다.
이렇게 나에게 주어진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해준 것이
바로 10대에 겪은 아픔 덕분입니다
이런것도 어쩜 과거에 묶여있는 것잇지도 모르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