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시 한편으로 오늘 하루도 몽글몽글해지는 하루였으면 좋겠어요.ㅎㅎ
혹시 필사 좋아하세요?
D-29

달빛한조각

도리
매일매일 햇살이 짧고 당신이 부족했던 적
『누군가를 이토록 사랑한 적』 누군가를 이토록 사랑한 적, 이병률 지음

누군가를 이토록 사랑한 적시인 이병률의 일곱번째 시집 『누군가를 이토록 사랑한 적』이 문학과지성사 시인선 601번으로 출간되었다. 사랑이라는 명명하에 바닷빛과 하늘빛이 절묘하게 어우러진 테두리와 낮은 채도의 소라색 바탕이 겹쳐진 이번 시집은 마치 파블로 피카소가 절친한 친구의 자살 이후 짙은 푸른색만을 고집했던 청색시대(1901~1904)를 연상시킨다.
책장 바로가기
문장모음 보기

연해
우와아... 약속 지켜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감동입니다!
글씨도 또박또박, 어쩜 이렇게 가지런하고 바른 것인가요.
근데 문장들이 다 너무 아련합니다. 누군가를 깊이 사랑해야만 나올 수 있는 문장들인 것 같아 절절하게 느껴지기도 했어요.
누군가를 좋아하는 일에 '자격'을 떠올리며 반성하셨다는 @달빛한조각 님의 말씀에 저도 같이 숙연해지는 기분이에요. 제가 지금 만나고 있는 분도, 처음에는 동경하는 마음이 컸던 것 같아요. 그럼에도 애써 부정했던 건, 자격 때문이라기보다는 잘 몰랐던 것 같습니다(제 진짜 속마음을요). 하지만 오히려 만나면서는 자격을 종종 떠올려요. 제 연약한 모습을 발견할 때마다, 이런 내가 감히 누군가를 만날 자격이 있나 생각하게 되더라고요. 기차역에서 울어본 적은 없고, 주차장에서 울면서 갔던 적은 있는 것 같...ㅋㅋㅋ
저도 이 시를 읽으며 과거의 저와 지금의 저를 각각 떠올리며 생각이 깊어지는 것 같아요. 다시 한번 감사합니다. @달빛한조각 님:)

달빛한조각
저도 과거가 떠오르는데...지금 생각하면 제가 제 마음에 떳떳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어요.ㅋㅋㅋ 좋아하는 사람에게 이별을 이야기하고 나니 저도 모르게 눈물이 맺히더라구요.
(눙물이 앞을 가리...ㅜㅜ)

장맥주
낮에 자전거를 타고 왔는데, 이제 낮에 자전거를 타면 안 되는 계절이 되었더라고요. 땀을 흠뻑 흘리고 돌아와서 이 시를 골랐습니다. 세상 모든 것을 어둡고 무섭게 묘사하는 최승자 시인님의 ‘무서운 초록’입니다. 그렇게 어두운 곳에서 세상을 두려워하며 계셨던 걸까요.


달빛한조각
비밀의 열기를 뿜는다는 내용을 보니 오래전 무더운 여름철(아마도 그날 기온이 40도였던걸로 기억되는...) 농구장 바닥 위에서 피어오르던 아지랑이가 생각납니다.

장맥주
오늘 제가 달렸던 자전거도로에서도 아스팔트 열기가 후끈하게 올라오더라고요. ^^

연해
오늘 낮은 햇살이 정말 강렬했는데 자전거를 타셨군요!
"이제 낮에 자전거를 타면 안 되는 계절이더라고요."라는 작가님의 말씀에 가만히 끄덕끄덕해봅니다. 하지만 길을 지날 때마다 가지런히 주차되어 있는 따릉이에게 눈길이 가는 건 어쩔 수 없...
초록을 생각하면 푸릇푸릇한 색감에 몸도 마음도 청량해지는 느낌인데, 최승자 시인님의 시 속 초록은 제목처럼 '무서운 초록'이네요. "마침내 초록의 무서운 공황이 쏟아진다"라는 문장이 특히요. 작가님이 필사해 주시는 최승자 시인님의 시를 읽을 때마다 어둠에 잠식되어가는 서글픔이 느껴지기도 해요.

도리
최승자 시인님은 샘솟는 초록에서까지 절망과 공포를 보셨군요. 제가 가끔 존재의 생명력이 징그럽다고 느낄 때가 있는데 비슷한 마음이셨을지 모르겠어요. 끝까지 치닫는 절망의 표현이 뭔가 속시원하기도 하고요.

하뭇
쓰기는 아침에 썼는데 이제야 올리네요. 시어머니 병원 투어로 하루가 참 길었습니다..ㅜㅠ



연해
에고, 시어머님 병원 투어를 다녀오셨군요. 몸이 편찮으신 걸까요?ㅠㅠ
날씨가 더워 더 힘드셨을 것 같아요. 하루가 참 길었다는 말씀에, 토닥토닥 고생하셨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어요:)
저도 (친) 오빠가 이번 주 일요일에 결혼하는데, 어제 갑자기 수술을 했다고 해서(큰 병은 아니고요) 깜짝 놀랐던 기억이 납니다. 다행히 수술은 잘 마쳤답니다.
필사해 주신 문장 중에 "우리가 사는데 흘리는 모든 눈물을 에너지로 바꿀 수 있다면!"이라는 문장이 인상 깊어요. 눈물 한 방울의 에너지라니... 눈물과 에너지, 두 단어의 연결성을 한번도 생각해 본 적 없었는데, 굉장히 신선했습니다. 그렇다면 많이 울어야 겠...(농담입니다).
아스파탐
과제랑 시험공부 때문에 바빠서 들어오질 못했네요.
박노해 시인의 <다시> 입니다. 책을 막 피다가 발견했습니다. 밑에는 책에서 ’희망을 만드는 사람이 되라‘는 시의 메시지를 해석한 내용입니다.
되게 자주 보던 메시지이고, 뻔하다고까지 생각합니다. 다만 힘들어서 시도할 염두를 못 낼 뿐이죠. 하지만 상상력으로 가득찬 시인들에게는 이러한 생각이 조금은 가깝게 다가오려나 하는 궁금함이 생기네요.
여담으로, 휴대용 독서대를 샀습니다. 얇고 적당히 넓어서 들고 다니기도 좋고 보기도 편하네요.


연해
크... 과제와 시험공부라는 단어, 정말 오랜만입니다. 이번 시는 @아스파탐 님 말씀처럼 자주 보던 메시지고, 진부한 표현일 수 있지만, 익숙함에서 오는 편안함도 있는 것 같았답니다.
"사람만이 희망이다"라는 마지막 문장이 마음에 콕 박히네요.
정재찬 교수님의 해석도 좋은데요. 개인적으로 '낙관'이라는 단어를 굉장히 좋아하는데, 그 단어가 담겨있어 더 희망차게 읽혔어요. 결국은 희망도, 절망도, 슬픔도, 다 의미 있는 경험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그 모든 걸 낙관하는 자세 또한 삶을 일으키는 마음 같기도 하고요.
휴대용 독서대를 사셨군요(짝짝짝, 칭찬 목걸이 걸어드립니다). 저는 집에서 쓰는 독서대만 있는데 말이죠. 새로 만난 독서대 덕분에 책과도 더욱 친밀한 관계를 이어가실 것 같아 제가 다 기쁘네요.
아스파탐님의 쾌적한 독서생활, 응원합니다:)

연해
오늘의 시는 <선량>이라는 시입니다.
이 시는 미끄럼틀에서의 선량함으로 이야기가 시작되는 것 같았습니다. "단단한 껍질을 가진 사람은 아무리 출렁여도 단단한 사람이 된다"라는 문장과 "강하다고 믿고 싶었겠지만 / 나는 그렇게 강하지 않다"라는 문장이 좋았습니다.


아스파탐
화자가 지난 여러 어려움들을 겉보기에는 잘 대처했던 것 같은데 속에는 여러 상처가 남아있던 것 같네요.
그때 놀이터에서 아이들이 보여주는 순수함이 화자에게 어떤 감정을 부른 건지는 잘 모르겠네요. 그들의 순수함을 보며 어느 정도의 그리움을 느끼는 것 같긴 한데, 그것만으로 그 감상이 끝날 것 같진 않아요.
오늘 시도 재미있게 봤습니다!

연해
저도 이 시를 읽으면서 어릴 때 자주 갔던 놀이터와 그 안에서 뛰어놀던 시간들이 떠오르기도 했는데, 화자처럼 순수했던 그 시절을 그리워하는 것 같기도 했어요. 하지만 "이제는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할까", "아이들이 모였다가 흩어진다"라는 문장에서 @아스파탐 님 말씀처럼 감상이 끝나지 않을 것 같은 여운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함께 읽으니 생각이 더 풍부해져 좋네요.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하뭇
박완서 작가님은 나무를 닮고 싶다 하셨네요. 생전에 댁에서 많은 식물을 키우셨다고 하죠. 저는 난이도 최하라는 선인장이나 틸란드시아도 죽이는 망손이라 식물 잘 키우시는 분들 신기한데, 근본적으로는 관심과 애정의 문제인 것 같아요.


연해
하하, 저도 식물계 마이너스의 손이라, @하뭇 님 말씀 정말 공감합니다. 식물 잘 키우시는 분들 보면 신기해요. 회사에 꽃꽂이 동아리도 있는데, 자리를 온실처럼 잘 가꾸시더라고요. 하지만 관심과 애정의 문제라는 말씀에 가만히 고개를 주억거려봅니다(숙연).
박완서 작가님도 생전에 댁에서 식물을 많이 키우셨군요. 꽃과 잎새, 낙엽과 나무 등 자연을 묘사하는 다양한 표현에서도 애정이 듬뿍 묻어나는 느낌이에요. 나무를 닮고 싶다는 마지막 문장에 잔잔한 울림도 느껴집니다.
GoHo
왠지 맑음 맑음해지는 꽃.. 내사랑 금계국~ㅎ
참고로.. 생태계 유해종이라는 말이 있지만.. 한국외래생물정보시스템에서 찾아보니 그렇지 않네요..
집 주변을 봐도 생태계 유해종은 아닌 듯.. 망초꽃이랑 어우렁더우렁 해마다 잘 어울려 피더라구요~ㅎ



연해
금계국 사진이 선명하고 화사하게 잘 나왔네요. 금계국에 대해 잘 몰랐는데, 찾아보니 '상쾌한 기분'이라는 꽃말도 참 예뻐요.
말씀하신 것처럼 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에서 생태계교란 생물과 생태계위해우려 생물을 찾아봤는데, 금계국이 표함되어있지는 않더라고요. 근데 또 기사를 여럿 검색해 보니 금계국과 달리 큰금계국은 왕성한 번식력을 바탕으로 다른 식물의 자리를 빼앗는다는 의견도 분분하네요.
그럼에도 시 속에 담긴 문장들은 몽글몽글 따사롭네요. 6월에 피는 꽃이라 "들길 걸으면 따라오고"라는 문장과 "시리도록 아름다운 노랑"이라는 표현이 특히 좋습니다. 이번에는 초록색 펜으로 필사해 주신 @GoHo 님의 필체와도 잘 어울리는 것 같아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