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저도 @으른 님의 글을 읽고 보니 '웃음'이라는 단어도 너무 좋은 것 같아요. 일상에서 웃을 일이 점점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바람도 담고 싶고요. 제 동료 중에도 이름이 '미소'라는 분이 계신데, 이름처럼 미소를 자주 지으시는 재미있는 분이랍니다:)
혹시 필사 좋아하세요?
D-29

연해
GoHo
최애 단어가 따로 있는 것 같지는 않고..
한결같음..을 좋아해서..
늘.. 결..

달빛한조각
ㅎㅎㅎ 단정지을 순 없지만, 우리가 습관적으로 자주 쓰는 단어들이 여러개 있을거라 생각해요. 오늘도 내일도 늘~ 행복하시길 바라요~😆

장맥주
음... 저의 최애 단어는 맥주 아닌가 싶습니다. ^^;;; 아유 부끄러워.
('책'이라는 단어, '의미'라는 단어도 좋아합니다.)

달빛한조각
내일이 월요일이 아니라면 저도 지금 당장 맥주캔 하나 가지고 와서 마시고 싶어요 ㅎㅎㅎ 6월 이 여름 더운 날씨 속에서도 생맥주가 목을 타고 넘어갈때의 시원함과 청량한 일들이 가득하기를~☆

장맥주
생맥주라는 단어도 참 좋네요!
달빛한조각님 아이디도 무척 좋아합니다. ^^

연해
저도 '책'이라는 단어와 '의미'라는 단어 좋아합니다(스리슬쩍 묻어가기).

연해
"언어는 행복을 구체적이게 해주네요"라는 문장과 "전할 수 없는 말들은 숨으로 가닿을 수 있습니다"라는 문장이 마음에 콕 들어옵니다.
크... 최애 단어라니, 저는 뭐든지 '가장'이나 '최고'라는 수식어가 달리면 고민이 깊어지곤 하는데요(좋아하는 게 많아 하나를 고르기가 어려워서요). 그렇지만! 그래도 하나를 골라보자면, 이 공간에서만큼은 "손글씨"가 아닐까 싶어요. 요즘 이 모임에 푹 빠져있는데, 올려주시는 손글씨들 보면서 마음이 몽글몽글 차오를 때 너무 좋더라고요.
그리고 @달빛한조각 님의 한국어 공부도 열렬히 응원합니다!
이 시에 담긴 "글자를 배우려는 당신은 아름답습니다"라는 문장을 살포시 전해드리고 싶어요:)

bookulove
오늘은 한 편 통필사 해보았어요. 안미옥 시인의 첫 시집 『온』에 수록된 「여름의 발원」입니다. 만년필을 간만에 잡았더니 어색하네요 😛


온창비시선 408권. 201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뒤 활발한 작품활동을 펼쳐온 안미옥 시인의 첫 시집이다. 시인은 등단 5년 만에 펴내는 이 시집에서 “타인의 고통과 슬픔을 맨살 같은 언어로 맞이하는 시적 환대”의 세계를 펼친다.
책장 바로가기

연해
앗! 안미옥 시인님의 시집이군요. 이 시집을 찾아보면서 알았는데, 『온』이라는 시집이 안미옥 시인님의 첫 시집이네요! @bookulove 님 덕분에 몰랐던 사실을 또 이렇게 알아갑니다.
작은 노트에 좋았던 문장들을 차곡차곡 모아서 적어주셨는데, 이번에는 통필사를 하셨군요! 만년필로 쓰신 필체도 좋으신데요. 이전에 쓰셨던 것과 또 다른 느낌이에요:)
"만약으로 이루어진 세계 안으로 들어가고 싶어"라는 문장이 마음에 콕 들어왔는데, 상상력으로 시작된 이야기가 가지처럼 사방으로 뻗어가는 느낌이 들었어요.
으른
오늘은 김경주 님의 '나는 이 세상에 없는 계절이다'라는 시집을 꺼내봤습니다. 페이지를 넘기며 읽다 보니 제목이 '봄밤'인 시가 있더군요! 얼마 전 봄밤이라는 시가 올라왔었던 것이 기억나 필사해 봤습니다. 저는 읽으며 무슨 말이 하고 싶은 걸까 잘 몰랐는데, 여러 해석들을 찾아보다 마음에 드는 해석이 있어서 링크해 봅니다.
https://blog.naver.com/kcsoo_33/222074011450


나는 이 세상에 없는 계절이다김경주의 첫 시집. 2000년대 한국 시단에서 김경주의 등장은 다매체적 문법과 탈문법적 언어들, 그리고 시각의 층위를 넘나드는 다차원적 시차(視差), 그러면서도 '폭력적'일 수준의 낭만의 광휘는 서정적 논리 자체가 내파되는 언어적 퍼포먼스였다.
책장 바로가기

연해
지난번에는 장작가님이 최승자 시인님의 <봄밤>을 필사해 주셨는데, 이번에는 김경주 시인님의 <봄밤>이네요. 봄이라는 단어 자체가 갖는 이미지는 사실 밝다고만 생각했는데요. 두 분의 필사를 보니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생각도 잔잔히 들어요.
그리고 해석본을 읽으니 전혀 다른 의미로 읽혀서 굉장히 신선합니다! 평범한 봄의 어느 날을 묘사한 것 같아 다시금 눈에 들어오네요:)

장맥주
오늘도 최승자 시인님의 시를 가져왔습니다. 개 같다고 했던 그 가을이 끝나갈 때를 이렇게 쓰셨네요.


연해
작가님, 왜 자꾸 개 같다는 말을ㅋㅋㅋㅋ
(핀트가 어긋난 것 같습니다만)
이제 개 같은 가을이 끝났군요(쿨럭). 그러서인지 "자 이제는 놓아버리자"라는 첫 줄이 선선하게 다가옵니다. 저는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시점을 가장 좋아하는데, 시인님은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시점에 어딘가로 또 깊숙이 향하고 계신 느낌이 들어요.
"땅속으로 땅속으로"
"한 점 무늬로 사라져야겠네."
라는 문장이 눈에 들어옵니다.

연해
오늘의 시는 <파각>이라는 시입니다.
이 시를 필사하면서 누군가가 건네는 도움의 손길은 과연 좋은 것일까, 나쁜 것일까를 곰곰이 생각해 봤어요. 말 그대로 건네는 사람은 도움의 손길일 수 있지만 받는 사람의 입장에서 원치 않을 수도 있을 테니까요. 병아 리가 깨어나기 전에 일부러 알을 깨뜨리는 사람처럼 말이죠.
그리고 저는 다음의 문장들이 좋았답니다.
"준비된 사람이 아니라 내 발은 / 깨뜨리며 나간다 / 낡아져서 좋다"라는 문장들이요. 제 스스로의 삶도 그랬으면 좋겠어요. 넘어지고 깨지고 다쳐도 그런 시련들조차 제가 선택한 삶이라면 모두 괜찮을 것 같다고 말이죠.
오늘은 6월의 첫 번째 월요일이자(이런 거 의미 부여하기 좋아해요) 첫 평일이랍니다. 오늘 하루도 각자가 계신 공간에서 무탈하고 건강하셨으면 좋겠어요:)



밍구
'깨뜨리며 나간다'는 말과 '낡아져서 좋다'는 마지막 행을 읽으면서 왠지 기운이 나서 좋네요. 6월 첫 월요일(저도 의미부여 좋아해요...!!)에 딱 어울리는 시인 것 같아요 ㅎㅎ

연해
밍구님에게도 두 문장이 마음에 드셨다니 기뻐요. 왠지 비장한 느낌도 살짝 나는데, 더 단단하게 성장하는 것 같아 좋더라고요. 강해질 테다! 약간 요런 느낌?ㅋㅋㅋ
의미 부여를 좋아하신다는 말씀에도 살포시 웃었습니다. 작은 것 하나도 의미를 담으면 더 소중해지고, 더 즐거워지고 저는 그렇더라고요. 밍구님의 6월도 더욱 밀도 있게 가꿔가시길 바라요:)

하뭇
다시 돌아왔습니다~
정지용 시인의 산문 <꾀꼬리와 국화>인데요. 쓰면서 생각해보니 요즘의 우리는 자연의 다른 생물에 대해 모르는 게 참 많은 거 같아요. 꾀꼬리도 이름만 알지 무슨 색인지 어떻게 우는지 꾀꼬리 우는 제철이 언제인지도 모르겠더라고요. 검색을 해서 사진을 봤는데도 여전히 모르겠고요.
저희집은 아파트입니다만 이런 새는 시끄럽도록 많은데 집 주변 새도 까치, 참새, 제비, 비둘기, 산비둘기 말고는 모르겠어요.



연해
우왓! @하뭇 님 다시 돌아오신 것을 (격하게) 환영합니다:)
저도 하뭇님이 필사하신 시를 읽으면서 곰곰이 생각해 보니, 그동안 새들에게 별로 관심이 없었던 것 같아요. 꾀꼬리도 마찬가지고요. 그나마 관심이라기보다는 도망치기 바빴던 게 비둘기였죠(허허허). 출근길에 비둘기 떼를 만나면 호들갑 떨면서 피해 다니던 기억이 나네요(요즘도 여전히). 내일은 길에서 만나는 새들에게 조금 더 점잖게 관심을 가져보고 싶어졌습니다.
그리고 이 시를 읽다가 '산국화'가 눈에 들어왔는데요. 찾아보니 국화를 감국과 산국으로 나눈다고 나와있네요. 이걸 몰랐다는 사실이 부끄럽습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꽃이 국화인데, 좋아하는 걸 제대로 모른다는 게 새삼 참ㅠㅠ

하뭇
저도 비둘기 넘 싫어요. 쳐다보는 것도 싫어서 길에서 보면 손바닥으로 슬쩍 눈 가리고 지나가요.
저 근데....
아주 옛날에 중국에서 비둘기 요리를 먹은 적이 있....-_-;;;
아마 한국 길거리의 비둘기랑은 다를 텐데 암튼 비둘기인지 모르고 먹었는데
음식 이름 적어와서 집에 돌아와 사전 찾아보니 비둘기 창자 요리라고..ㅠㅜ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