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이라고 되뇌일 때 나는 소리가 너무 예쁘다는, 말씀도 너무 예쁘십니다!
@새벽서가 님의 말씀을 읽고 보니 정말 그러네요. 저도 그럼 행복을 그대로 두겠습니다(귀가 얇은 편).
오, 맞아요! 저도요. 만년필은 종이에 살짝만 닿아도 잉크가 슥슥 나와서 확실히 손에 힘이 덜 들어가더라고요. 만년필만의 부드러운 느낌이 있는 것 같아요.
손목과 팔꿈치에 무리가 가지 않게, 우리 건강하게 오래 필사해요:)
혹시 필사 좋아하세요?
D-29

연해

새벽서가
넵!

지금
@장맥주 맞습니다!! 두 눈 색깔이 달라요, 알아보시다니 신기해요! 오드아이라서 이름을 ‘오디’로 정했는데 기억하실지 모르겠지만 전에 ‘오디누나’라는 이름으로 작가님 사인을 받아간 적 있답니당..ㅎㅎ @새벽서가 맞아요 저도 데려오고 나서 공부하게됐는데 귀가 안들리는 아이들이 많다고 해서 저도 걱정했거든요.. 다행히 괜찮더라구요. 타자치는 고영희 집사들 무지 많을 것 같습니다 ㅎㅎ @연해 으악 탭이 안전하였길 바랍니다.. 저희집 고양이가 한번 노트북 액정을 해먹은 적 있어서 노트북 파우치 필수가 됐습니다..😂😂 저도 카프카 팬심으로 샀지만,, 시는 너무 어렵습니다.. 다른 분들 필사본 읽으며 배워가고 있어요 ㅎㅎ

새벽서가
3년전에 새로 구입한 맥북 펼쳐놓고 세팅하던 중간에 화장실을 다녀오느라 잠시 자리를 비웠는데, 즤집 막둥이냥이 컴터 화면 오른쪽 윗모서리를 자근자근 씹었지 뭡니까. 사자마자 에플케어오 서비스 받아야했어요. 히힛
저희집에서 처음에 모셨던 니콜라스라는 고양이가 백범처럼 미끈하고 아름다운 녀석이었는데, 소리를 1도 못듣는 녀석이었거든요. 제가 진공청소기 사용하면 위에 타서 진동을 즐기던 아이였어요. 아드아이 너무 매략적이라 언젠가 한 번은 키워보고 싶다는 생각 종종 합니다.

지금
헉 ㅠㅠ 맥북모서리 잘근잘근이라니 .. 마음이 심상치 않으셨겠는디요.. 저도 보자마자 ‘이눔스키ㅜㅠ귀여워서 화낼수도 없고’ 했더랬습니다.. /니콜라스는 과거형인 것을 보니 조금 슬프네요.. 그래도 진동즐겨가며 지냈다니 웃음나요. 아이들이 이렇게 웃음나고 좋은 기억들을 주고 가네요😸

새벽서가
살아있으면 27세. 그래도 18세까지 장수하고 병없이 고양이별로 이사갔으니 다행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장맥주
저는 @지금 님 고양이 이름이 '고영'인 줄 알았어요. 오디라는 이름도 친근하네요. 그나저나 고양이들은 애플 제품을 좋아하는군요. ^^

연해
오드아이라서 이름이 '오디'라니, 너무 귀엽습니다. 오디 눈을 다시 보니 정말 그렇네요! 바로 알아보신 장작가님도 놀랍습니다.
다행히 저의 탭은 무사했어요. 다만 다름이가 제 커피에 발을 담갔다가, 그 발로 탭을 밟고 지나가는 바람에 기기에 커피 발자국이 꾹꾹 남았더랬죠. 노트북 파우치가 필수가 될 수밖에 없었던 @지금 님의 경험담에도 쓴웃음이 났습니다(허허허).
요 녀석들 정말ㅋㅋㅋ

bookulove
안녕하세요! 저도 필사 좋아해서.. 구경만 하다가 필사했던 것들 한 장씩 올려보려고 합니다! 정재율 시인의 두 번째 시집 『몸과 마음을 산뜻하게』에 실린 시 중 특히 좋았던 구절을 필사했어요.


몸과 마음을 산뜻하게민음의 시 298권. 정재율 시인의 첫 번째 시집. 섬세하고 투명한 ‘마음’을 닮은 시편들로 꾸준한 주목을 받아 왔던 정재율 시인의 작품들이 시집이라는 ‘몸’을 가지게 된 것이다. 마음을 담은 이 한 권의 몸은 혼자인 듯 혼자가 아니고, 흔쾌히 산뜻하지만 한없이 가볍지 않으며, 불현듯 슬프지만 곱씹을수록 용감하다.
책장 바로가기

bookulove
앗 첫 번째 시집인데 왜 두 번째라고 썼을까요 😛

연해
앗, 안녕하세요. @bookulove 님. 환영합니다!
정재율 시인님의 시집은 처음 알았는데, 시집의 제목이 봄과 잘 어울리는 것 같아요.
부표에게 생명력을 불어 넣은 것 같은 표현은 귀여웠지만, "무언가를 보호하려고 태어난 것처럼 내게도 지켜야 할 것들이 있다"는 마지막 문장에는 가슴이 뭉클해지네요.
자진해서 오타까지 수정해주시는 센스도 귀여우시고요.
모임 기간 동안 마음에 드는 구절을 만나시면, 편안하게 자유롭게 또 나눠주세요:)
뇽뇽02
자정이 넘은 시간이지만 오늘도 올리고 싶어 남깁니다:)
오늘은 ‘별의 먼지’입니다. 3일밖엔 안됐지만, 필사의 좋은 점을 느끼고 있어요~ 손글씨로 꾹꾹 눌러담으며 쓰면 마치 시의 내용이 마음에 새겨지는 것 같아요ㅎㅎ
‘사랑만이 우리가 가져갈 수 있는 유일한 것’이라는 글귀가 사회생활을 할수록 속물적으로 변하는 저 자신을 돌아보게 하네요.
다들 굿나잇입니다 :D


연해
으아, @뇽뇽02 님의 말씀에 제가 다 감동받네요. 아직 3일차지만, 필사의 좋은 점을 가~~득 느끼고 계신 것 같아 정말 기뻐요. 저도 말씀하신 것처럼 시 한 편을 손글씨로 꾹꾹 눌러 담다 보면 시의 내용이 제 마음에 콕콕 새겨지는 것 같아 좋더라고요. 자정이 넘은 시간임에도 이렇게 정성스러운 손글씨로 아름다운 문장들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사랑에 대한 문장이 가장 와닿아요. "사랑만이 우리가 가져갈 수 있는 유일한 것"
세상살이 가끔은(어쩔 때는 꽤 자주) 각박하다 느껴지지만, 그럼에도 사랑. 역시나 사랑입니다:)

연해
오늘의 시는 <여름 끝물>이라는 시입니다. 본격적인 여름은 아직 시작도 안 했는데, 벌써부터 '여름 끝물'을 생각하고 있는 저도 참. 사실 저는 여름을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아니, 싫어하는 것에 가깝죠. 추위를 지독하게 타는데도 여름은 왠지 싫더라고요. 근데 올해는 좀 달라요. 변하는 계절을 온전히 느끼면서 있는 그대로 감각하자고 결심했답니다.
그래서 원래는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시기를 가장 두려워(?)했는데요(딱 지금 시기죠). 올해는 이 시기의 온전함이 좋습니다. 햇살은 따갑지만요.
서론이 길었는데, 이 시도 어제 제가 필사했던 시처럼 슬픔과 아픔을 꾹꾹 눌러 담고 있는 느낌이 들었어요.
"쓰지 않는 시간을 겪고 있다고 한다면 / 이해가 될까"라는 문장과 "불행과 고통에 대해선 웃는 얼굴로 밖에 말할 수 없어서 / 아무 말도 하지 않기로 다짐한 사람"이라는 문장이 유독 아릿하게 느껴졌습니다. "우는 사람에겐 더 큰 눈물을 선물하고 싶다"는 문장에 물음표가 떴는데, 다음 문장을 읽고 이해가 됐어요.
"어느 것이 자신의 것인지 모르게"
저에게는 어제 하루가 살짝 버거웠습니다. 슬픔의 정서라기보다는 무언가를 꾹꾹 억지로 누르는 느낌이었는데요. 그 정서를 오늘은 조금 더 기쁨 쪽으로 이어가고 싶어집니다.
자, 그럼 저는 이제 출근하겠습니다:)


여우달
생각 훈련 6가지 방법
내면이 단단해지고 싶어요...



인간은 노력하는 한 방황한다인문학자 김종원 작가의 100번째 책으로 세상에 내놓은 《김종원의 세계철학전집》. 여기에는 저자 김종원이 지난 16년 동안 같은 텍스트를 접하면서도, 사람들의 변화가 제각각인 이유에 관해 사색한 답이 들어있다.
책장 바로가기

연해
어머낫, 오늘은 종이를 가득 채워서 필사하셨네요!! 요 이틀 짧은 문구로 필사해주셨는데, 또박또박 바른 글씨로 빼곡하게 적어내려가신 긴 노트가 새롭게 느껴집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2번과 4번 문장이 마음에 쏙 들어왔어요:)
저도 내면이 단단한 사람이 되고 싶은데, 아직 내공(?)이 더 필요한 것 같아요. 내면에서 휘몰아 치는 소리를 경청하고, 그 가치를 믿으라는 문장이 힘 있게 읽힙니다.

하뭇
문순태 님의 시 <멸치>와 김승희 님의 시 <새벽밥>이에요.
<새벽밥>은 네 문장으로 쓰인 시인데, 세 번째 문장에만 마침표가 있는데, 이것도 어떤 의미가 있는 거겠죠?



연해
외람된 말씀이지만, <멸치>와 <새벽밥>이 연달아 있다 보니, 새벽밥의 반찬으로 멸치를 생각하는 제 자신이 너무 엉망이라는 생각이...(죄송합니다)
하얀 별들이 밥이 되어 으스러져라 껴안고 있다는 문장이 귀엽기도 하지만, 이 아이들에게 처해진 운명이 슬프기도 하네요(결국에는 끼니로). 이렇게 말하는 저는 밥알 하나하나 꼭꼭 잘 씹어 먹을 테지만요(또 낭만파괴).
오른쪽 위에 타임스탬프라고 표시된 건 어플의 일종인가요? 처음 봤는데, 신기합니다!
그리고 @하뭇 님 말씀처럼, 마침표도 시인님의 의도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제 기억에도 시에서 보통은 마침표가 잘 없지 않았나 싶어요. 눈썰미가 좋으십니다:)

하뭇
네, 어플 이름도 '타임 스탬프'예요~~
GoHo
1도의 방향을 틀다가 모닝 필사와 만났네요..
좋은 날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