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 싶어 언젠가 사두었던 책 가운데 골라 읽어봅니다. 책 읽기가 꾸준하지 못하여 [혼자읽기]가 익숙해지면 [함께읽기]로 나아가려 합니다.
리베카 솔닛의 <그림자의 강> 읽기
D-29
ICE9모임지기의 말
ICE9
“ 1872년 봄, 한 남자가 말 한마리의 사진을 찍었다. (...) 1870년대 말이 되자, 이 실험들을 진행했던 사진가는 활동사진의 핵심 요소들을 발명했다. (...) 그는 이전에 누구도 할 수 없었던, 시간을 통제하는 일을 해냈다. 과학, 예술, 오락, 그리고 의식의 영역에서 신세계가 열렸고, 이전의 세계는 멀리 물러났다. ”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9p, 1장 시공간의 소멸,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ICE9
저자 리베카 솔닛은 이 특이한 인물 머이브리지를 소개하면서 동시에 ‘시공간의 소멸’이란 표현을 고찰합니다. 이 표현은 원래 19세기 중반 전후의 신기술에 적용되던 표현이라고 하내요. 철도처럼요.
ICE9
시공간을 소멸시킨다는 것은 가장 직접적으로는 통신과 교통 수단을 가속화함을 의미한다. 말을 가축으로 기르고 수레바퀴를 발명했을 때도 운송의 속도와 양이 각각 한차례씩 도약했다.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22p, 1장 시공간의 소멸,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ICE9
기술 세계의 가장 큰 특징은 자연의 경계가 사라진다는 점이다. 사람들은 그 순간, 그 지역에만 머무르지 않아도 된다.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22p, 1장 시공간의 소멸,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ICE9
이 ’시공간의 소멸‘을 가장 극적으로 보여주는 기술이 바로 철도라고 솔닛은 이야기해줍니다. 이전까지는 겪어보지 못한 새로운 경험이 ‘표준화’되었다(23)는 표현도 새롭네요.
ICE9
철도는 자연을 경험하는 방식뿐 아니라 풍경 자 체를 바꾸어 놓았다.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23p, 1장 시공간의 소멸,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ICE9
“ 현대의 물리학이나 오늘날 유전학처럼, 빅토리아 시대에는 지질학이 가장 주된 학문이었고, 대중소설보다 지질학 서적이 더 많이 팔리는 일도 종종 있었다. 그 중에 찰스 라이엘 Charles Lyell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