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 싶어 언젠가 사두었던 책 가운데 골라 읽어봅니다. 책 읽기가 꾸준하지 못하여 [혼자읽기]가 익숙해지면 [함께읽기]로 나아가려 합니다.
리베카 솔닛의 <그림자의 강> 읽기
D-29
ICE9모임지기의 말
ICE9
“ 1872년 봄, 한 남자가 말 한마리의 사진을 찍었다. (...) 1870년대 말이 되자, 이 실험들을 진행했던 사진가는 활동사진의 핵심 요소들을 발명했다. (...) 그는 이전에 누구도 할 수 없었던, 시간을 통제하는 일을 해냈다. 과학, 예술, 오락, 그리고 의식의 영역에서 신세계가 열렸고, 이전의 세계는 멀리 물러났다. ”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9p, 1장 시공간의 소멸,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ICE9
저자 리베카 솔닛은 이 특이한 인물 머이브리지를 소개하면서 동시에 ‘시공간의 소멸’이란 표현을 고찰합니다. 이 표현은 원래 19세기 중반 전후의 신기술에 적용되던 표현이라고 하내요. 철도처럼요.
ICE9
시공간을 소멸시킨다는 것은 가장 직접적으로는 통신과 교통 수단을 가속화함을 의미한다. 말을 가축으로 기르고 수레바퀴를 발명했을 때도 운송의 속도와 양이 각각 한차례씩 도약했다.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22p, 1장 시공간의 소멸,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ICE9
기술 세계의 가장 큰 특징은 자연의 경계가 사라진다는 점이다. 사람들은 그 순간, 그 지역에만 머무르지 않아도 된다.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22p, 1장 시공간의 소멸,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ICE9
이 ’시공간의 소멸‘을 가장 극적으로 보여주는 기술이 바로 철도라고 솔닛은 이야기해줍니다. 이전까지는 겪어보지 못한 새로운 경 험이 ‘표준화’되었다(23)는 표현도 새롭네요.
ICE9
철도는 자연을 경험하는 방식뿐 아니라 풍경 자체를 바꾸 어 놓았다.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23p, 1장 시공간의 소멸,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ICE9
“ 현대의 물리학이나 오늘날 유전학처럼, 빅토리아 시대에는 지질학이 가장 주된 학문이었고, 대중소설보다 지질학 서적이 더 많이 팔리는 일도 종종 있었다. 그 중에 찰스 라이엘 Charles Lyell의 <지질학 원 리 Principle of Geology>도 있었는데, 이 책의 초판은 머이브리지가 태어나고 켐블이 처음 기차를 탔던 바로 그해(1830년)에 출간되었다. ”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25p, 1장 시공간의 소멸,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ICE9
“ 철도가 도입되었던 1830년대의 끝자락에 시간관을 변화시킨 세번째 발명품, 즉 사진이 등장했다. (...) 사진 역시 동시대의 기술이었지만, 증기기관이나 철도만큼 당시의 풍경이나 사람들에게 인상을 남기지는 못하고 있었다. ”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27p, 1장 시공간의 소멸,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ICE9
그것(사진)은 단절을 통해 과거를 계속 유지하는 기술, 늘 앞으로 나아가지만 또한 늘 뒤를 돌아보는 기술이었다.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29p, 1장 시공간의 소멸,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ICE9
과거는 기억과 해석 속에서만 존재했고, 개인의 경험을 벗어난 세계는 대부분 이야기로 존재했다. 부자들은 회화를 주문했고, 그보다 돈이 적은 사람들은 판화를 살 수 있었다.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31p, 1장 시공간의 소멸,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ICE9
“ 자본은 공간의 장벽을 찢어발기고 개입하며, 교환을 통해 온 세계를 시장으로 지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시간을 통해 그 공간을 소멸시키려고 애쓴다. 즉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32p, 1장 시공간의 소멸 - 칼 맑스의 말 ,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ICE9
맑스의 견해에 따르면 자본주의 자체가 시공간의 소멸을 이끄는 동력이었으며, 기관차는 그러한 동력의 구체적인 상징이었고, 시간과 공간은 이윤을 늘리기 위해 소멸되고 있었다.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32p, 1장 시공간의 소멸,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ICE9
“ 순진한 철학자는 증기기관이라는 위대한 발명품이 인류에게 여가를 제공해주었다고 할지도 모른다. 그들을 믿지 마시라. 증기 기관은 단지 열망이 달려들 어떤 공백을 제공했을 뿐이다. 이제 심지어 게으름까지 열망이 되었다. 오락을 향한 열망이 나들이 기차, 미술박물관, 정기간행물의 문학작품, 그리고 흥미 위주의 소설 등에 빠져들고 있으며, 심지어 과학적 이론이나 현미경을 통한 겉핥기식 관찰에까지 퍼져 있다. ”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37p, 1장 시공간의 소멸, 조지 엘리엇의 소설 <Adam Bede>에서 재인용한 문구,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ICE9
“ 1851년 경제 개발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미 육군과 지원병들이 요세미티 계곡을 습격해 원주민들을 몰아냈고, 1000피 트 높이의 폭포와 반마일짜리 절벽은 캘리포니아의 상징이 되었다. ”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49p, 2장-구름 낀 하늘 아래의 남자,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ICE9
“ 1854년 당시 뉴욕에서 샌프란시스코까지 배로 이동할 때 최단 시간은 88일이었다.
황금이 이 모든 사태를 불러왔다. 1848년 아메 리칸강에서 황금이 발견되면서 자신의 운을 시험하려는 사람들이 전세계에서 몰려들었다. 전례가 없는 일이었다. ”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49p, 2장-구름 낀 하늘 아래의 남자,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ICE9
19세기 중반, 미국 대륙에서 벌이지고 있던 일들, 미국사의 한 단면을 보다 생생히 이해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ICE9
“ 황금광시대와 함께 캘리포니아는 춤추듯 탄생했지만, 그 춤의 무대는 이전부터 있던 것들이 잘려나간 자리였다. 숲의 나무들이 기관차에 쓸 땔감이라는 형태로 속도가 되었듯이, 시에라네바다의 언덕들은 돈이 되었다. 1857년까지 금 750톹이 채굴되었다. 주광맥 인근의 원주민들은 무자비하게 사냥당했고, 무분별한 삽질로 풍경이 여기저기 파헤쳐졌고, 수은으로 오염된 강에는 찌꺼기가 쌓였고, 광부들은 아무렇지도 않게 서로를 죽였다. ”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50 p, 2장-구름 낀 하늘 아래의 남자,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ICE9
”초기에 사진은 ‘자연의 연필’ 혹은 ‘태양이 그린 그림’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이는 자연 자체가 예술의 주체임을 암시하는 표현이었다.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66p, 2장,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ICE9
사진이 예술인지 아닌지의 논쟁이 20세기 초•중반의 논쟁주제인줄 알았는데, 솔닛은 이 주제가 이미 19세기 중빈부터 있었다는 점을 짚어줍니다. 머이브리지는 이미 사진 을 찍는 자신을 예술가라는 정체성으로 여기고 있었다는 점도 놀랍네요. 사진이라는 매체의 가능성을 이렇게나 일찍부터 확고하게 믿고 있었군요.
ICE9
“ 포경산업 때문에 바다의 거대 생명체는 응접실 등에 쓰는 기름이나 바다의 거대 생명체은 응접실 등에 쓰는 기름이나 코르셋에 들어가는 심이 되어버렸고, 1879년 록펠러가 스탠더드 오일사를 설립하고 쥐라기에 형성된 시커먼 잔해들을 전례 없이 대량으로 퍼올리기 전까지, 고래는 거의 멸종 위기에 처하게 된다. ”
『그림자의 강 - 이미지의 시대를 연 사진가 머이브리지』 101p,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문장모음 보기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