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터 한트케의 어머니는 1971년 수면제를 다량으로 복용하여 자살한다.
소망 없는 불행
D-29
정성언모임지기의 말
정성언
나는 소개란에 쓸 문장을 고르다 페터 한트케로 시작하는 문장을 지우고 주어를 그의 어머니로 바꿨다.
자살이라는 사건에 있어 주어가 행위자 본인이 아니면 누가 되어야 하냐는 물음이 들어서였다.
따지고보면 '소망 없는 불행'은 한트케의 어머니가 아니라 한트케의 관점에서 확인된 그의 어머니를 이야기하지만, 나는 문장과 현실의 간극을 줄이려는 오래된 버릇을 꺼낸다.
한트케는 문학이란 언어로 만들어진 것이지 그 언어로 서술된 사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고 말했지만.
정성언
케른텐에서 발행되는 신문 《폭스차이퉁》 일요일 자 부고란에 다음과 같은 기사가 실렸다.
<토요일 밤 A면 (G읍)의 51세 가정주부, 수면제 과다복용으로 자살>
『소망 없는 불행』 p.9, 페터 한트케 지음, 윤용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정성언
“ 왜냐하면 누구에게나 지금 막 체험한 것을 이해시킬 수도 전달할 수도 없다는 감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오로지 그래야만 그 체험에서 느낀 끔찍함이 의미 있고 실질적인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
『소망 없는 불행』 p. 10, 페터 한트케 지음, 윤용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정성언
어머니의 죽음 이후 바르트는 일기를 쓴다.
'10.31.
나는 이 일들에 대해서 말하고 싶지 않다. 그러면 결국 문학이 되고 말까봐 두렵기 때문에. 혹은 내 말들이 문학이 되지는 않을거라는 사실에 대한 자신이 없기 때문에.'
문장을 통해 얼개를 맞추어 문학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무엇은 더 나아지나 더 나빠지나. ('무엇'이라는 자리에 정말 무얼 넣어야 할까? 대상, 현상, 실재? 오늘은 확실하게 '한트케와 바르트 각각의 어머니'를 그 자리에 놓으면 되겠지만 그 다음은?)
쉽게 생각을 멈추고 싶다면 문학은 문학만을 위한다는 말만 하면 되겠지만, 문학이 읽히는 이유가 그게 전부일까
정성언
한트케 역시 양가적인 감정을 가지고 글을 쓰고 있다
정성언
여담이지만 나는 이 책을 어느 대학 연합 독서토론 동아리에 가져갔다. 그리고 방금 기억난 꿈을 이야기라도 하듯이 페터 한트케는 노벨문학상 수상자라고 말했다.
정성언
“ 만약 <이야기는 ...... 로 시작되었다> 라고 서술하기 시작한다면 모든 것이 꾸민 것처럼 보일 것이며 듣는 사람이나 읽는 사람에게 사사로운 공감을 불러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당히 환상적인 느낌을 자아낼 이야기를 전하게 될 것이다. ”
『소망 없는 불행』 p.13, 페터 한트케 지음, 윤용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정성언
이야기는 나의 어머니가 돌아가신 곳과 똑같은 곳에서 50여 년 전에 태어나신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그 당시 그 지역에 쓸 만한 땅은 교회나 귀족 지주의 소유였다.
『소망 없는 불행』 p.13, 페터 한트케 지음, 윤용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정성언
한트케가 어머니의 역사를 (개인의 역사라는 말이 성립할 수 있을까?) 이야기하는 내용을 나 자신의 언어로 요약하고 싶지만 내 시도는 계속 나의 어머니를 이야기하게 되는 결과로 대체된다.
정성언
개인의 역사라는 말이 성립할 수 있을까?
한트케는 어머니의 배경을 이야기하는 몇 페이지 동안 어머니와 그 이전 세대의 사회, 경제적 상황을 설명한다.
농노, 머슴, 소유할 수 있게 된 토지, 1920년대의 대공황, 저축, 세계 대전, 그리고 한트케의 어머니는 여자로 태어난다. 한트케의 어머니는 이러한 사회적 조건 아래 놓였다.
(애도일기 14p
- 당신은 분명 여자의 몸이 어떤 건지 알 수 없으시겠지요!
- 나는 병들어서 죽어가는 내 어머니의 육체를 알고 있습니다)
개인의 역사라는 말을 생각하면 한 사람이 역사 위에 서있는 모습이 소유격 아래 연상된다.
하지만 역사는 개인이 감당하기에 무거운 단어다.
정성언
나는 롤랑 바르트의 '애도 일기'를 소망 없는 불행과 함께 읽는 중이다. 아마 틈틈이 인용할 듯하다.
정성언
“ 소망 없이 사는 게 어떤 식으로든 행복하다고 여기는 사람은 아주 드물었으며, 소망 없이 사는 걸 모두가 불행하게 생각했다. 다른 사람의 형태와 비교할 가능성은 없었다. 그렇다고 더 이상 욕망도 없었을까? ”
『소망 없는 불행』 p. 19, 페터 한트케 지음, 윤용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정성언
“ 이런 환경에서 여자로 태어난다는 것은 애당초부터 치명적인 일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어떤 경우에도 미래에 대한 걱정은 안 해도 좋다는 안이함을 의미할 수도 있다. ...... 모든 것은 이미 정해져 있었고 가능성이란 없었다. ”
『소망 없는 불행』 p. 17, 페터 한트케 지음, 윤용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정성언
“ 문제는 어머니가 갑자기 무언가에 대한 욕망을 갖기 시작했다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녀는 배우고 싶어했다. ......어머니의 이야기에 따르면, 그녀는 할아버지께 무엇인가 배우게 해달라고 <애걸복걸했다>고 한다. ”
『소망 없는 불행』 p.19, 페터 한트케 지음, 윤용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정성언
한트케는 어머니의 삶을 몇 개의 단어를 나열하는 것으로 빠르게 요약한다. 설거지 보조원, 객실 하녀, 주방장 조수, 주방장, 짧은 원피스, 하이힐, 파마 머리와 귀걸이.
그리고 곧바로 등장하는 안슐루스, "1938년 독일로 합병!"
일상과 정치가 교차되는 서술이 인상적이다.
정성언
“ 횃불 행렬 시위, 대중 집회 시위, 나치 깃발이 걸린 건물 앞에서 사람들은 부동자세로 경례를 했다. 숲과 산꼭대기엔 장식이 되어 있었다. 그 역사적 사건들이 시골 사람들에게는 자연의 드라마로 여겨졌다 ”
『소망 없는 불행』 p. 22, 페터 한트케 지음, 윤용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정성언
“ 그녀는 아직도 정치엔 관심이 없었다. 눈에 확 띄게 벌어지고 있는 것은 그녀에게는 모두 정치와는 전혀 무관한 것 ...... 어쨌든 <정치>는 색깔도 없고 추상적인 것이었다. ...... <정치>는 무엇이었나? 그건 단어였을 뿐 어떤 개념도 아니었다. ...... 정치와 관련된 모든 것이 무언가를 포착할 수 있는 현실과 관계 없는 표어가 되어버렸고, 지금까지 사용되던 이미지들도 그림으로는 나타나도 인간적인 내용을 상실했기 때문이었다. ”
『소망 없는 불행』 p.23, 페터 한트케 지음, 윤용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kontentree
어머니의 집게손가락에는 칼에 벤 흉터가 부풀어 올라 있었다. 그녀와 나란히 걸어갈 때면 난 그 손가락을 꼭 잡고 다녔다.
『소망 없는 불행』 eBook P.37, 페터 한트케 지음, 윤용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kontentree
올려주신 책 그리고 적어주신 좋은 문장 잘 읽었습니다.
kontentree
마음에 와닿은 한트케의 문장을 적다보면, 어느새 페이지 전부가 옮겨지곤 한다. 그 중 몇 몇을 고르는 일은 텍스트 아래 덮여 숨죽이던 것들을 폭로하고 소생시키며, 새로 읽게 만든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