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만 밖으로 내놓은 죽은 자들은 얼굴 표정이 보이지 않았다. 붉은 수건 위 까많게 탄 피부에 핏발이 선 눈. 로봇이나 거대한 매미 같은 인상이었다. 그네들끼리도 구분이 안 갔다.
『산 자들 - 장강명 연작소설』 공장 밖에서,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그 경로를 따라 상점들이 생겼다. 그것은 작은 돈의 법칙이었다. 구수동 사거리 북동쪽으로는 대형 마트가 들어섰다. 그것은 큰돈의 법칙이었다.
『산 자들 - 장강명 연작소설』 현수동 빵집 삼국지,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천명관의 고래가 생각난다.
고래 - 천명관 장편소설문학동네 한국문학 전집 시리즈 19권. 제10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지금까지의 소설 문법과 그 궤를 전혀 달리하는 작품으로, ‘노파-금복-춘희’로 이어지는 세 여인의 굴곡지고 파란만장한 삶을 농염한 묘사와 압도적인 서사로 그려내며 단번에 평단과 독자를 사로잡았다.
책장 바로가기
borumis
그녀는 자신들이 마분지로 만든 배를 타고 강을 건너고 있다고 생각했다. 무사히 강기슭에 이를 가능성은 거의 없었다.
『산 자 들 - 장강명 연작소설』 현수동 빵집 삼국지,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자신들의 가게가 목이 좋기 때문에, 문을 닫는 시각은 오히려 자신들이 정할 수 없음을 주영은 깨달았다. 목이 좋다는 것이 덫이고 함정이었다.
『산 자들 - 장강명 연작소설』 현수동 빵집 삼국지,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장사는, 돈을 쓰려는 사람을 섬기는 일이었다. 그러려면 그들의 마음을 이해해야 했다.
『산 자들 - 장강명 연작소설』 현수동 빵집 삼국지,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 발바닥이 아프거나 자신이 한심하게 느껴져 울음이 나올 것 같으면 악을 쓰는 게 유용한 요령이다. 얼굴을 찡그리면서 눈물을 땀인 것처럼 위장하면 된다. 몇 시간 동안 거울로 제 얼굴을 보지도 못하고 다른 사람과 대화도 없이 땡볕과 아스팔트 열기 속에서 고행을 하다 보면 자기 자신이 존재한다는 감각이 희미해진다. 그럴 때에는 악을 써서 제 목소리를 귀로 들어야 한다. 그렇게 해서 현실감을 되찾아야 한다. 그렇게 악을 쓰는 건 일종의 대화이기도 했다. 나 죽을 것 같지만 조금 더 버틸게, 그러니까 너희도 버텨 하는.
신은 자신이 오래전부터 악을 써 왔다고 생각했다. ”
『산 자들 - 장강명 연작소설』 대외 활동의 신,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신은 자신이 어떤 역할극을 수행하는 중이고, 그 자리에서 너무 순도 높은 진실은 피하는 게 낫다고 생각했다.
'저 학생들은 자신들의 상품성이 얼마나 떨어지는지 몰라.'
『산 자들 - 장강명 연작소설』 대외 활동의 신,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 제가 놓친 게 뭡니까? 애초에 뭔가 괜찮은 걸 노려볼 기회가 저한테 있기나 했습니까? 처음부터 컵에 물은 반밖에 없었습니다. 그 반 컵의 물을 마시느냐, 아니면 그마저도 마시지 못하느냐였습니다. 다시 대학교 1학년이 된다 해도 똑같이 할 겁니다. 대외 활동이 아니었다면 저는 대학 생활 내내 빌빌대면서 허송세월했을 겁니다. 그렇게 빌빌댈 수 밖에 없는 처지였단 말입니다! ”
『산 자들 - 장강명 연작소설』 대외 활동의 신, 장강명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모두, 친절하다>에서 굳이 쉼표를 중간에 붙인 이유는 무엇일까?
그들은 모두, 을의 입장이어서 친절했던 걸까?
그런데 서비스 센터에서 고장의 정의를 찾아보라고 분개하는 아내를 보면서 굳이 그런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분풀이라도 하는 표면 상의 갑이 되는 것이 좋은 것일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단순히 을이기 때문에 친절했을 수도 있지만 어쩌면 주인공처럼 화낼 타이밍을 놓쳐서 또는 서로의 입장을 이해할 수 밖에 없어서 수동적으로나마 친절했을 수도 있다.
borumis
러브크래프트의 소설에서 따왔을 법한 홍대 클럽.. 같이 독서 팟캐스트 (책, 이게 뭐라고?)를 진행하던 뮤지션 Y (요조?)... ㅎㅎㅎ 다른 소설들도 그렇지만 장강명 작가의 삶의 자취가 엿보이는 것 같다.
"요즘은 <산 자들>이라는 제목의 책을 연작소설 형태로 쓰고 있다고 대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