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2] "같은 지구라도 어디를 가느냐에 따라(심지어 같은 사회 내에서도) 도덕성은 차이가 난다. 이 단순한 사실을 아는 것이 바른 마음을 이해하는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믐북클럽Xsam] 15. <바른 마음> 읽고 답해요
D-29
선경서재
siouxsie
제발, 우리 서로 사이좋게 지내요. 우리는 다 같이 사이좋게 지낼 수 있어요. 어차피 한동안은 이 땅에 다 같이 발붙이고 살아야 하잖아요. 그러니 서로 노력을 해나가자고요.
『바른 마음 - 나의 옳음과 그들의 옳음은 왜 다른가』 조너선 하이트 지음, 왕수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그믐클럽지기
A-3. 저자는 1장에서 도덕적으로 당혹스러운 시나리오를 여러 개 만들어서 독자들에게 보여줍니다. 1장 초입에 아래 두 가지 시나리오가 나오지요. 책 내용을 본격적으로 읽기 전에 저희도 이 도발에 응해볼까요. 책의 문장들을 그대로 옮깁니다.
(1) 어느 날 한 가족이 기르던 개가 집 앞에서 차에 치여 죽었다. 개고기가 맛이 좋다는 소문을 익히 들었던 이 가족은 죽은 개를 가져다 몸뚱이를 발라 요리를 했고, 그것으로 저녁상을 차려 먹었다. 가족의 이런 행동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2) 여기 한 남자가 있다. 그는 일주일에 한 번 마트에 가서 생닭을 산다. 그런데 닭을 요리하기에 앞서 그는 닭에 대고 성행위를 한다. 그러고 난 후 그것을 요리해서 먹는다.
여러분은 이 시나리오들을 어떻게 읽으셨나요? (1)의 가족과 (2)의 남자가 도덕적으로 잘 못을 저질렀다고 보십니까? 도덕적으로 잘못했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윤리를 어긴 거라고 생각하시나요? 정답은 없습니다. 별 잘못이 없다고 생각하는 분도 계실 수 있습니다. 자유롭게 생각을 들려주세요.
Liobataste
(1) 도덕적으로 당혹스럽습니다. 그 개가 가족의 구성원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시간과 공간을 공유하며 지냈던 한 생명체에 대한 존중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마음과 행동을 가진 사람이 이웃이라면 가까이 지내고 싶지 않습니다. (2) 도덕적으로 당혹스럽습니다. 나와 가까운 사람(가족)이 이런 행동을 한다면 이해는 할 수 없고, 인정도 힘듭니다. 왜냐하면 성욕의 대상이 닭인 사람과 가정을 이루고 아이를 교육하는 것은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못하다고 생각하기 때 문입니다.
마키아벨리1
(1) 별로 마음이 편한 내용은 아니지만 도덕적으로는 크게 문제가 될 것 같지 않습니다. 아마 우리나라에서도 어직까지 많이 벌어지는 일이라 생각되기도 합니다. (2)도덕적으로 당혹스럽습니다. 성욕과 식욕의 대상이 하나가 될 수 있다는 것은 인류가 살아가는 방식과 대치되어 많은 문제를 (가치관의 혼선 등을 비롯하여) 낳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모시모시
(1),(2) 모두 당혹스럽고 불쾌하지만 비난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보다 (2)가 한층 당혹스러운데,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 "보는 사람이 없다"는 전제가 동일한데 그 이유가 무엇일지 생각해봤습니다.
아마도 동물을 '먹는다'는 것과 동물을 '성행위의 대상'으로 삼는다(그 다음에 먹긴했지만)의 차이가 제 혐오감의 차이를 낳았다고 생각해요. "동물=먹었다"는 그나마 받아들일 수 있지만, "동물=섹스의 대상"은 받아들이기 더 어렵네요.
신이나
(1),(2)는 정말 알고 싶지 않은 개인사라 이 시나리오를 읽을 때 거부감이 드는 게 사실이에요.
애완동물을 기르지는 않지만 기르는 입장이라면 아무리 맛이 좋더라도 절대 먹지 않을 것 같고,
개인의 취향이지만 먹는 음식에 그러한 행위를 하는 남자를 이해도 받아들이기도 어렵네요.
두 경우 모두 드러나지 않으면 타인에게 해를 입히는 건 아니지만 인간성에 대한 근원적인 물음표가 뜨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J레터
아, 이런 도발은 처음 접합니다. 신선한 충격입니다. 기르던 개에 집중하게 되면 차마 그럴 수가 없다고 그래서는 안된다고 생각하게 되고, 또 정육점에서 파는 풀밭에 뛰놀던 소라면? 집에서 기르던 닭이라면?거위 간이라면? 순한 양이었다면? 생각이 달라질까요? 주변 사람이 보고 안 보고의 차이를 떠나 그런 행동을 한 그 (1)번의 가족과 (2)의 남자에게 도덕적으로 잘못했다고 비윤리적이라고 탓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때때로 심각한 오류도 이상 행동을 하기도 또한 온전하기도 하니까요.
조영주
저는 좀 어떤 상황이든 객관적으로 보기 때문에 둘 다 상황에 따라 가능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고 생각하겠구나, 정도까지만 생각했습니다.
프렐류드
(1)에 대한 생각은 세대별로 다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몇달전 동네 수영모임에서 나이드신 선생님이 얘기해주셨는데, 본인이 3수끝에 대학을 갔고, 아주 예뻐하던 개는 동네 잔치에 쓰였다는 얘기였습니다. 그분 나이를 고려할때 아마도 1970년대 후반일 것 같은데요.
(2)는 도덕보다는 문화적인 인식으로 역겹다는 생각이 들지만, 한편으로 개인의 은밀한 취향을 욕해야 하나 하는 생각도 들긴 합니다. 하지만, 이 글을 쓰는 순간에도 좀 기분은 안좋네요.
CTL
도덕이란 정의하기 나름이니 저 상황이 일어난 문화권이나 사회가 규정되지 않는 한, 저 두 행위가 도덕적이냐 아니냐는 판단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역겨운 행위라 생각합니다. 이유는 탐욕을 우선적으로 한 배반적인 행위이기 때문이고요.
1번은 먹기 위해서가 아닌 가족으로써의 애정을 준 대상에 대한 배반,
2번은 먹기 위해서 산 것을 성적인 배설 욕구로써 푼 것으로써 의도한 목적을 배반한 행위라고 봅니다.
둘 다 식욕이라는 탐욕을 채우기 위해서 과정을 무시하고 결과만 중요시하여 역겹게 느껴지고요.
커피벌레
(1)실제로 어릴 때 겪은 일입니다. 시골 할아버지댁에 큰 개가 있었는데 집앞에 신도로가 생기고 니서 예전처럼 생각없이 건너다가 차에 치어 죽었지요. 운전사는 차로 치어놓고 재수없다고 툴툴거리면서 가버렸고 할아버지는 그 개로 친구분들과 저녁술약속을...그 때는 어린 마음에 할아버지와 한달동안 말도 섞지 않았지만 생각해보면 그시절 개는 반려느낌보다는 가축에 가까웠으니 그랬을 것이다 생각됩니다. 먹도 싶어서 살아있는 개를 몽둥이로 두들겨 패는 사람들도 많던 시절이니까요. 머리로는 그렇게 이해하려고 노력했지만 가슴으로는 몇십년이 지난 지금까지 몹시 슬픈 기억으로 남아 있습니다.
(2)저 음식?을 누굴 대접한다면 문제라고 생각되지만 혼자 먹는다면 독특한 취향이겠거니 생각하렵니다. 먹으려고 산건지 행위를 위해 산건지는 모르겠지만 행위를 위해 샀더라도 먹지도 않고 그냥 버리는 것도 뭔가 낭비일 것 같고. 가까운 사람이 이런다면 헉하고 많이 놀라긴 할 것 같습니다.
GoHo
혐오스럽다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도덕적인 잘잘못을 따질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혐오 정도의 차이도 1의 사례가 덜 하다고 느껴지는 것은 아마도 우리나라에서 개를 식용으로 하는 문화가 있기 때문에 사회적 인지에 기인하지 않을까 합니다.
우리와 달리 개의 식용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문화권에 있는 사람들은 어쩌면 1과 2의 사례에 같은 정도의 혐오감을 느낄지도 모르겠습니다.
2의 사례, ‘일주일에 한 번’ 주기적 단서로 이성이 제로인 상태는 아닌 것으로 판단하며, 자연적인 성행위는 같은 종끼리 이루어지는데 아무리 동물적인 성적 충동의 분출이라고 하더라도 이해하기는 어려운 사례인 것 같습니다.
인간 이외의 동물도 종을 벗어난 성행위를 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압니다.
모시모시
아. 좋은 지적이신것 같아요. 1번과 2번에 느끼는 혐오감을 문화권별로 비교해본다면 우리나라가 더 1번에 관한 수용성이 더 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goodboy
본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전제를 고려하면 (1)의 가족이 도덕적 판단의 대상이 되는 것 같지 않네요. (2)의 남자도 같은 전제라면 도덕적 판단의 대상이 될 것 같지는 않군요.
Alice2023
1번 2번이 우열을 가릴수 없을 정도로 불편한 상황이었습니다
분명 누구에게 피해를 준 것은 아닌 듣는 사람이 불편하다면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는 거긴 하겠죠
키우던 강아지는 가족과 같은데 죽자마자 잡아 먹었다면
분명 다른 행동에서도 그런 가치관이 드러날 것 같은데요
두번째 사례도 마찬가자에요 저런 행동을 하는 사람이
다른 상황에서는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동을 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생각합니다
호식
(1) 저 가족이 개를 가족이 아닌 가축으로 생각했다면 잘못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개가 아니라 키우던 닭이나 돼지였다면 어땠을까요? 마찬가지로 그 동물이 가족이었다면 비난받겠지만 가축이었다면 비난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많이 줄었다고는하나 개를 식용하는 문화가 있어 이렇게 생각하는것 같아요.
(2) 저 닭을 요리해서 혼자만 먹는다면 잘못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지만, ‘역겨움’을 느껴서인지 ‘잘못됐다’ 라고 얘기하고 싶어요. 개인의 취향이라고는 하지만 압도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주는 행동이라면 잘못된 행동이지 않을까라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생각하니 언젠가 사회가 변하면 (1)도 ‘잘못됐다’라는 도덕과 규약이 생겨날 것 같아요.
도리
(1), (2) 둘 다 일단 불쾌했는데요. 이유를 계속 생각해봤는데 마땅히 합리적인 근거를 들 수가 없어요. 그냥 (1)은 가족 같은 반려동물을 먹었다고 생각하니 인육을 먹는 것처럼 느껴져서 충격적이었고요. (2)는 닭... 성행위... 냠냠.... 이라니... 그냥 몹시 괴이하니 잘못됐다고 말하게 되네요... 흑흑.
쭈ㅈ
(1),(2) 모두 불편하지만 도덕적으로 잘못된 것이라고 판단하긴 힘드네요. 그런데 저는 (1)의 상황이 더 불편합니다. 그냥 개가 아닌 '기르던' 개 라는 것이 마음에 크게 걸립니다. 저는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지는 않지만 같이 살던 동물을 맛이 좋다는 이유로 잡아 먹는 것은 제 기준엔 너무 잔인합니다.
오뉴
1번과 관련된 기억이 있습니다. 어릴적 시골 할머니집에 흔히 말하는 똥개를 기르고 있었습니다. 방학때 할머니집에 방문한 저와 언니는 그 개를 열심히 훈련도 시키고 함께 산책도 하면서 친분을 다졌죠. 며칠후 뒤늦게 할머니댁에 오신 고모부들이 그 개를 잡아 죽이고 요리를 해서 상에 올렸습니다. 이전에 저는 개고기를 맛있게 먹곤 했었습니다. 하지만 그 개고기는 먹을 수 없었고 그후로도 여전히 개고기는 먹지 않게 되었습니다. 마음을 나누고 친분을 나눈 관계라면 그것이 사람이든 동물이든 상하게 하고 싶지 않은 마음이 기본적인 도덕적 정서가 아닐까 싶습니다.하물며 잡아 먹는 것은....
2번은 성행위까지는 그렇다 치는데 그것을 요리해 먹는다. 도덕적인 면보다는 위생적인 면에 있어 너무나 비위생적이어서 거부감이 듭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