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04.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D-29
이제 괜찮으신거죠? 얼른 나으시길 바래요.
저도 며칠 전부터 시작했어요. 오늘 4장까지 따라갑니다.
@개와고양이 네, 환영합니다! "아는 만큼 느낀다!"
P.17
4장의 ‘운전석에 앉아 있는 것은 정동이고, 합리성은 승객이다’라는 대목에서 도덕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의 『바른 마음』이 떠오릅니다. 하이트는 여기서 도덕적 판단에 대해 직관이 코끼리이며, 이성은 기수라고 하지요. 기수는 그저 코끼리 위에 올라타 코끼리가 가는 대로 갈 뿐이지만 자기가 코끼리를 조종하고 있다고 착각합니다. 실제로는 이성은 직관이 내린 결론을 끊임없이 합리화할 뿐이라고요.
바른 마음 - 나의 옳음과 그들의 옳음은 왜 다른가현재 영미권의 가장 ‘핫’한 사회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는 이 책 《바른 마음》을 통해 인간의 사고와 행동의 근원에 놓인 ‘바른 마음’을 발견한다. 하이트는 직접 인간의 행동을 관찰하고 “우리는 무엇 때문에 그렇게 행동하는가”에 대한 그 이유를 밝혔다.
그렇죠. 이제 이 아이디어는 여러 증거를 통해서 뒷받침되는 것으로 보여요. 사실, 그렇게 되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죠. 특히 저자는 사법 체계에 아주 강한 문제 의식을 가지고 있더라고요. 허기진 상태인지 아닌지(점심 전후)에 따라서 가석방 심사 결과가 달라지는 정도가 또렷하게 보이는 상황이라면 과연 판사 혹은 그보다 훨씬 전문성이 떨어지는 배심원에게 판결을 맡기는 게 맞는가, 이런 고민이죠.
과학이 발전하니까 처음에는 인간이 우주의 중심에서 밀려나더니, 그 다음에는 만물의 영장 자리에서 밀려나고, 의식의 주인 자리에서도 밀려나고, 이제는 자기 감정의 주인 자리에서조차 밀려나나 보네요. 이거 어디까지 떨어질지... ^^
대안은 역시 AI일까요? AI를 잘 훈련시켜서 일차로 판결을 내리고 판사나 배심원이 나중에 허가하는 건 어떨지
아니면 배심원들은 무조건 평결 전에 햄버거를 하나씩 먹어야 한다는 규정을 도입하거나... ^^;;;
금강산이 아니라 재판도 식후경이란 규정을..;;
제가 저 “배고픈 판사 연구”를 다른 책에서도 본 것 같거든요? 그래서 궁금해졌어요. 유명한 한 연구를 여기저기서 인용하고 있는 건지 아니면, 비슷한 연구가 여러 건 나와서 데이터가 쌓인 건지. 만약 후자라면 당장 현실적인 대처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 같아서요.
한국 재판이라면 선고기일 잡은 뒤 판사가 자기 사무실에서 판결문을 써 와서 법정에서 읽는 거니까 선고공판이 점심 이전인지 이후인지는 큰 상관없을 거 같아요. 즉결심판의 경우는 대부분 가벼운 범죄에 대해서 기계적으로 내리는 판결이고 정식재판을 청구할 수 있으니 큰 문제가 안 될 거 같고요. 미국 재판, 특히 배심원이 결정하는 재판에서라면 정말 어떤 보완장치가 있어야 할 거 같습니다. 저희가 모르는 보완 장치가 이미 마련되었는지도 모르겠네요.
그리고 Danziger(2011)의 식사시간과 재판과 관련된 연구를 비판하고 식사시간의 영향이 지나치게 해석되었다는 반박 자료 또한 주석에 달려있는데요. 핑커의 책에서도 그렇듯이 한 유명한 연구 결과가 나오면 보통 반대 의견이나 연구 비판 내용이 잇따라서.. 양쪽을 다 검토해보는 게 좋은 것 같아요. https://how-emotions-are-made.com/notes/World-focused_affect https://mindhacks.com/2016/12/08/rational-judges-not-extraneous-factors-in-decisions/ https://www.cambridge.org/core/journals/judgment-and-decision-making/article/irrational-hungry-judge-effect-revisited-simulations-reveal-that-the-magnitude-of-the-effect-is-overestimated/61CE825D4DC137675BB9CAD04571AE58
이 배고픈 판사 연구는 생각보다 꽤 오래 전에 발표되었네요. 전 5년 이내 연구인줄.. 그렇담 지금엔 반박할거 반박하고 타당하다면 대책이 벌써 만들어졌겠네요.
오호 이 책도 재미있어보이네요.. 함읽하면서 읽어보고 싶은 책들이 몇 배로 늘어난;;
아, 이 책은 주저 없이 강력 추천합니다. 읽고 조너선 하이트의 팬이 되었습니다. 어쩌다 보니 하이트와 화상 통화도 했습니다.
와 화상통화!! 굉장한데요. 저번에 그믐 모임에서 작가분과 글로 질문하고 답변 주실 때도 확실히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더라구요.
저도 이 책 강추요. 그런데...화상통화라니 와 작가님 성덕이 되셨네요!
시사 다큐멘터리 진행을 맡으면서 화상 인터뷰를 했었습니다. 소셜미디어의 문제점에 대한 내용이었고, 『나쁜 교육』을 읽었던 제가 제작진에게 추천했어요. 섭외가 될줄 몰랐는데 어쩌면 한국계 부인 때문에 섭외됐는지도 모르겠어요. ^^
그런데 파충류 뇌인 뇌간 위에 포유류 뇌인 변연계가 있고 그 위에 피질이 있어서 이성적인 판단은 피질에서 나온다는 이론은 근거가 없는 거였군요. 하도 많은 책에 나와서 그런가 보다 했는데.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그믐북클럽X토프] 25. 지금, 한국 사회를 생각하며 ①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경계를 허무는 [비욘드북클럽] 에서 읽은 픽션들
[책 증정]  Beyond Bookclub 12기 <시프트>와 함께 조예은 월드 탐험해요[책 증정] <오르톨랑의 유령>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9기 [책 증정] <그러니 귀를 기울여>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3기 [책 증정] <지구 생물체는 항복하라>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2기
연뮤클럽이 돌아왔어요!!
[그믐연뮤클럽] 6. 우리 소중한 기억 속에 간직할 아름다운 청년, "태일"[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나 혼자 산다(X) 나 혼자 읽는다(0)
운동 독립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현실 온라인 게임
[그믐클래식] 1월1일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4월의 그믐밤엔 서촌을 걷습니다.
[그믐밤X문학답사] 34. <광화문 삼인방>과 함께 걷는 서울 서촌길
셰익스피어와 그의 작품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1. <세계를 향한 의지>[북킹톡킹 독서모임] 🖋셰익스피어 - 햄릿, 2025년 3월 메인책[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봄은 시의 세상이어라 🌿
[아티초크/시집증정] 감동보장!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아틸라 요제프 시집과 함께해요.나희덕과 함께 시집 <가능주의자> 읽기 송진 시집 『플로깅』 / 목엽정/ 비치리딩시리즈 3.여드레 동안 시집 한 권 읽기 13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STS가 궁금하다면?
STS SF [응급실 로봇 닥터/책 증정] 저자들과 함께 토론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①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브뤼노 라투르 외)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③ 판도라의 희망 (브뤼노 라투르)고려대X포스텍 <STS, 과학을 경청하다>독서모임
AI로 난리인 요즘!
[도서 증정]《미래는 생성되지 않는다》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김영사/책증정] <AI 메이커스> 편집자와 함께 읽기 /제프리 힌턴 '노벨상' 수상 기념『AI 2045 인공지능 미래보고서』 혼자 읽기AI 이후의 세계 함께 읽기 모임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