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장에서 영어로 번역하기 어려운 비영어 문화권의 감정에 대해 나오는 걸 보면서 저는 한국인의 ‘미운 정’을 떠올렸습니다. ^^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04.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D-29

장맥주

오구오구
모든 지각은 지각하는 사람이 구성한 것이며, 이때 세계에서 들어 온 감각 입력은 보통 이런 구성 과 정의 한 성분일 뿐이다.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31%,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식물은 자연에 객관적으로 존재하지만, 꽃과 잡초는 이것을 지각하는 사람이 있어야만 존재한다. 이것은 지각하는 존재에게 종속된 범주다.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31%,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당신의 근육 움직임과 신체 변화가 감정 사례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은 오직 당신이 이것들을 그렇게 범주화 할 때이며, 그래서 이것들에게 경험과 지각의 새로운 기능을 부여할 때다. 감정 개념이 없으면 이런 새로운 기능도 없다....... '자연에 실재하는' 것 대 일종의'착각'인 것의 구별은 잘못된 이분법이다. 공포와 분노는 신체, 얼굴 등의 특정 변화가 감정으로서 의미 있다고 동의하는 사람들에게 실재한다. 다시 말해 감정 개념은 사회적 실재social reality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31%,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사회적 실재 social reality는 socially shared (constructed) reality라고 이해해도 되는 걸까요. 즉 감정은 공유된 실재이고 객관적으로 절대적으로 존재하는 실재는 아니라는 것이 저자의 핵심인거죠? 맞게 따라가고 있는건지... ㅠㅠ

장맥주
정동이라는 건 물리적 실재이고, 정동을 바탕으로 사회적 실재인 감정이 만들어지고, 사회적 실재도 실재이므로 감정은 실재한다고 이해했습니다. 맞게 이해한 건지는 저도 잘... ^^;;;

오구오구
- 사회적 실재란? 창조과정이 범주화를 통해 작동한다는 것. conceptualization .. 그리고 그것을 전파 --> 뇌를 서로 배선 wire 하는 것
- "감정이 실재하는가?" --> "감정이 어떻게 실재가 되는가?"
- 감정범주는 집단지향성 collective intentionality을 통해 실재가 됨
- 새로운 실재를 창조해낼 수 있는 것은 언어 language 때문임
- 언어와 집단지향성 두가지를 통해 협동적 범주화 collaborative categorization??

오구오구
- 감정의 기능 1) 의미구성 2) 행동을 명령 3) 신체 예산을 조절
- 감정개념의 기능: 감정 소통, 사회적 영향력 행사
- 감정의 기능을 위해서는 맥락화가 중요

himjin
“ 당신이 깨어 있는 매순간 뇌는 개념으로 조직된 과거 경험을 사용해 당신의 행동을 인도하고 당신의 감각에 의미를 부여한다. 나는 이 과정을 ‘범주화’라고 불렀지만, 과학에서는 이것을 경험, 지각, 개념화, 패턴 완성, 지각적 추론, 기억, 시뮬레이션, 주의, 도덕성, 심리 추론 등 수많은 이름으로 부른다.
우리가 일상적 삶에서 사용하는 퉁속심리학에서는 이런 단어들을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과학자들은 종종 이것들을 상이한 현상으로 취급하면서 마치 이것들이 제각기 별개의 뇌 과정을 통해 산출되는 것처럼 가정한다. 그러나 실제로 이것들은 모두 똑같은 신경 과정을 통해 일어난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6장, 242쪽,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himjin
“ 감정은 의미다. 감정은 당신의 내수용성 변화와 이에 따른 정동적 느낌을 상황과 관련시켜 설명한다. 감정은 행동 지침이다. 개념을 실행하는 뇌 체계들은, 내수용 신경망과 통제 신경망 같은 체계들은 의미 구성의 생물학적 메커니즘이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6장, 243쪽 ,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휴... 가슴을 쓸어 내립니다. ^^
화제로 지정된 대화

YG
오늘 금요일(4월 12일)은 어제 예고해드린 대로 7장 '감정은 사회적 실재다'를 마저 읽습니다. 이렇게 2부까지 읽고서 주말은 쉬고(다른 책도 뒤적이고) 다음 주부터 3부를 들어갑니다.

빨간리본
“ 감정 개념이 있어야만 관련된 감정을 경험하거나 지각할 수 있다. 이것은 필요 조건이다... 꽃의 개념이 없는데, 누가 당신에게 장미를 보여준다면, 당신은 식물을 경험할 뿐이며 꽃을 경험하지는 않을 것이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7장. 감정은 사회적 실재다,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빨간리본
이런 차이만 서로 이해하더라도 사회에서 일어나는 충돌이나 반목은 많이 줄어들지 않을까.. 싶기도 했어요. 또 뜬금없이 마리앙뜨와네트가 "빵이 없으면 케익을 먹으면 되잖아."라고 해서 시민의 분노를 샀다(잘못 알려졌다고 하긴 하지만)는데 마리앙뜨와네트 입장에서는 그런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당연한 것이 아니었을까.. 말이죠.

YG
오늘(4월 12일) 읽을 부분을 시작하자마자 '칩부재감(Chiplessness)'이 나오죠. 그런데 일상생활에서 기존에 있던 단 어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미묘한 하지만 존재감이 또렸한 감정이 꽤 있죠. 그런 감정의 종류도 따져보면 좋겠고요.
저는 이 책을 읽으면서 다른 문화권의 좋은 감정 단어로 'Fago'를 메모해뒀어요. 보고 나서 찝찝한 영화 <Fargo>와 발음이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의미의 단어라더군요. :)

장맥주
오늘은 맥주 마시지 말아야지 하고 굳게 다짐했지만 맥주 캔을 따서 첫 잔을 마시면서 난 쓰레기구나 하고 죄책감에 시달리면서도 맥주가 너무 맛있어서 이게 사는 맛이지 하고 즐거워하는 그런 묘한 감정에 ‘장맥주감’이라는 이름을 붙여 봅니다. 영어로는 beerjang-mood.

오구오구
- 필리핀 일롱고트족이 경험하는 집단적 열광적인 공격성의 느낌이 리제트 감정이라고 나오네요. 이부분 읽으면서
마오리족의 하카가 생각났어요. 비슷한거 같네요~
- 사회적 집단 생활을 통해 뇌배선이 가능하도록 한다고 나오는데, 이부분을 읽으며 지금 읽고 있는 poor things 에서 주인공 벨라는 사회적 집단생활이라는 뇌배선을 경험하지 못한 상태로 사회에 던져졌고, 그렇기에 느끼는 것, 감정표현들이 사회적 실재와 달랐던 것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재밌네요 ㅎㅎㅎ
- 한국문화에서의 독특한 감정??으로 눈치보기가 생각났어요. 영어로는 sensing others? 정도로 번역될수 있을까요. 한국의 동질성이 강한 문화에서 눈치보기는 한국(동북아시아?)만의 감정 개념이라고 봐도 될까요?
- 문화적 동화 acculturation, 감정의 문화적 동화라는 것도 있군요. 저는 dietary acculturation이란 개념을 듣고 경험한 적이 있어요 ㅎㅎ 미국에서 5년정도 살았던 적이 있는데, 처음에는 veggie pho, small 한그릇에 엄청 놀라고 남기고 그랬었는데 5년후 미국을 떠날때는 X-large 도 국물까지 마시곤 했습니다. 돼지되서 귀국 ㅠㅠ diatary acculturation이라고나 할까요.. 잡생각이 연상되어 마구 떠오르고 감정이 떠오르는 것을 보니, 감정의 뇌배선이 활성화 되었습니다.

borumis
필리핀 말 중에 gigil (너무 귀여워서 꼬집고 싶어지는 감정) lihi (임신했을 때 평소와 다른 이상한 걸 막 탐내는 욕구) 등 재미있는 말이 많더라구요. 우리 말에서 눈치보는도 희한하지만 전 예전부터 어리광이나 애교도 매우 독특한 느낌의 표현이었어요. 전 진짜 애교가 없어서 남편이 좀 아쉬워(?)할 때도 있는데 생각해보니 제가 미국이나 유럽 살 때 애교란 표현이 없던 것 같아요. 그나마 비슷한 게 coquettrie나 flirting인데 그건 한국어 '애교'가 갖는 것처럼 자신을 어린애처럼 표현하는 느낌이 없거든요.

오구오구
정말 그러네요~ coquettrie는 어감을 잘 모르겠고,. 진짜 그런 어린애 느낌은 없네요 ㅎㅎ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