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된 감정이론을 읽다보니, 어려서 엄마한테 빗자루로 맞곤 했는데... 엄마가 "빗자루 가져와" 그러면 맞는줄 알고 무서워 했죠. 성인이 되어 엄마 집에 놀러갔는데, 엄마가 "빗자루 가져와" 하는데 갑자기 심장이 철렁하고 땀이 났던 기억이 있습니다. 엄마의 그 목소리와 억양, 특정 단어가 감정을 불러일으킨거죠 ㅎㅎ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04.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D-29
오구오구
borumis
아아 빗자루가 이리도 무섭게 느껴지는..;;; ㅠㅠ
새벽서가
세상에!
오구오구
당신이 당신 자신의 감정경험을 구성할 경우, 나는 이것을 감정사례라고 부른다. 나는 공포, 분노, 행복, 슬픔 등을 일반적으로는 감정범주로 언급한다.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1%,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감정은 우리가 만들어낸다. 우리는 감정을 인식 또 는 확인하지 않는다. 우리는 여러 체 계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통해 필요 할 때마다 즉석에서 우리 자신의 감 정 경험을 그리고 다른 사람의 감정 에 대한 우리의 지각을 구성한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1% ,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항상웃는바보
드디어 함께 합니다. 책은 주문했고, 미리보기로 1장을 부분적으로 읽어보았습니다. 쉽게 흥분하고, 쉬운 감정이입으로 대인 관계에 많은 손해를 봤고, 반면에 많은 상처도 주었습니다. 과학으로 인문학을 하는 느낌의 책인 것 같습니다. 천천히 끝까지 함께 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점점점
제가 감정에 대해서 생각한 것과는 완전히 다른 구성된 감정 이론이 흥미롭게 다가옵니다. (특히 저자는 요리, 동물등을 비유에 들면서 이해하기 쉽게 글을 써서 그나마 가까스로 정신줄 잡으며 따라갑니다) 다음 내용도 기대가 됩니다.
옆집토토로
‘공포’ 같은 하나의 감정 범주 안에 이렇게 다양한 안면 움직임이 포함되어 있다면, 어째서 우리는 눈을 크게 뜬 얼굴이 공포의 보편적 표현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을까? 그 이유는 이것이 우리의 문화 안에서 잘 알려진 ‘공포’라는 주제에 어울리는 고정 관념 또는 상징이기 때문이다. 이미 유아원이나 유치원에서부터 “노려보는 사람은 화난 사람이고 입을 삐죽 내민 사 람은 슬픈 사람이다”라는 식으로 고정 관념을 아이들에게 가르친다. 이런 고정 관념은 문화적 약식 기호 또는 관습이다. 46쪽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생각연구소
엘린
도입부를 읽다보니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을 읽을 때 느꼈던 위화감이 다시 기억나네요.
경험적이거나 직관적이지 않아서 그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기도 어려웠고, 실은 완전히 받아들이지 못해서 인용하듯이 설명을 전하며 마음이 찔렸던 기억이 나네요.
이 책 다 읽고 다시 한 번 읽어봐야겠어요.
borumis
오 그 책도 나중에 함 읽어봐야겠습니다.
오손도손
에크먼의 문제의 그 연구법이 언급되는데요. 사실 심리학적 연구방법론은 상당히 변혁적인 변화를 겪어왔고 겪고 있기 때문에 '고전'으로 대접 받는 연구들이라고 할지라도 현대 심리학적 연구방법적 관점으로 보면 제대로 된 연구가 있을까요? (없다고 확신해요.) 방법론적 문제는 차치하고, 고전이라는 연구들도 윤리적이지 않은 연구도 얼마나 많은가요.. 암튼 자꾸 언급이 되는데, 감정에 의한 신체적 변화는 감정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 보다 감정이 가지는 valence(?)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되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분노와 같이 애초에 높은 valence를 가진 감정이 아니고서는 다 신체적 변화에 따라 구분하기는 어려운 게 아닌가 깊어요.. 이것이 저자가 말하는 '다양성'인 것 같고요.
borumis
안그래도 2장에서 나온 비윤리적 연구 Schachter & Singer 가 몰래 실험대상자들에게 아드레날린을 주입했던 것도 60년대지만 참 끔찍하더라구요.. 74년에 National Research Act에 의해 연구 IRB가 필수가 되었으니..
https://how-emotions-are-made.com/notes/Schachter_and_Singer_(1962)
goodboy
“ 시뮬레이션은 당신의 뇌가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을 추측하는 과정이다. 당신은 깨어 있는 매순간 눈, 귀, 코, 그 밖의 다른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오는 잡다하고 애매모호한 정보에 둘러싸여 있다. 이때 당신의 뇌는 당신의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가설을 세우고(시뮬레이션) 이것을 당신의 감각을 통해 전달되는 불협화음과 비교한다. 이런 방식으로 당신의 뇌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잡음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중요한 것을 선택하고 나머지는 무시한다. 1990년 후반, 시뮬레이션의 발견은 심리학과 신경과학을 새로운 시대로 이끌었다. 과학적 증거를 통해 밝혀지고 있듯이 우리가 보고 듣고 만지고 맛보고 냄새 맡는 것은 대부분 세계에 대한 반응이 아니라 세계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다. 게다가 앞서 가는 사상가들의 추측에 따르면 시뮬레이션은 지각의 공통 메커니즘일 뿐만 아니라 언어 이해, 공감, 기억, 상상, 꿈, 기타 많은 심리 현상의 공통 메커니즘인 듯하다. (…) 시뮬레이션은 모든 정신 활동의 기본 모드다. 또한 이것은 뇌가 어떻게 감정을 만들어내는 가 하는 수수께끼를 푸는 열쇠이기도 하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p.74 ch.2 우 리는 우리의 경험을 설계한다,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goodboy
“ 깨어 있는 매순간 당신의 뇌는 개념으로 조직된 과거 경험을 사용해 당신의 행동을 인도하고 당신의 감각에 의미를 부여한다. 관련 개념이 감정 개념인 경우 당신의 뇌는 감정의 사례를 구성하는 셈이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p.80 ch.2,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goodboy
“ 구성된 감정 이론은 당신의 경험과 행동이 매순간 당신의 뇌와 신체안에서 일어나느 생물학적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고 보는 이른바 구성이라는 더 포괄적인 과학 전통에 속한다. (…) 감정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은 두 가지 핵심 견해에서 출발한다. 하나는 분노나 혐오 같은 감정 범주에 지문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분노의 한 사례가 분노의 또 다른 사례와 비슷한 형태나 느낌을 포함할 필요가 없으며, 똑같은 뉴런에 의해 야기될 필요도 없다. 다양성이 표준이다. (…) 또 다른 핵심 견해는 당신이 경험하고 지각하는 감정이 당신이 가진 유전자의 필연적 결과가 아니라는 것이다. 오히려 세계 안에 있는 당신의 신체에서 생기는 감각 입력에 의미를 부여하는 몇몇 종류의 개념을 당신이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당신의 뇌는 이런 용도로 배선되어 있기 때문이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p.83-84 ch.2 ,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goodboy
“ 구성된 감정 이론은 이 세 종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사회적 구성의 관점에서 이 이론은 문화와 개념의 중요성을 드러낸다. 심리적 구성의 관점에서 이 이론은 감정이 뇌와 신체의 핵심 체계에 의해 구성된다고 본다. 그리고 신경 구성의 관점에서 이 이론은 경험에 따라 뇌의 배선이 달라진다는 견해를 받아들인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p.87 ch.2,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goodboy
“ 구성된 감정 이론에서 슬픔, 공포, 분노 같은 감정 범주별로 뚜렷이 구별되는 뇌 위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감정의 각 사례는 뇌 전체의 상태로서 연구하고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우리의 감정이 어디에서 만들어지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라고 묻는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p.89 ch.2,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세바공
“ The activity increases in response to any face—whether fearful or neutral—as long as it is novel (i.e., the test subjects have not seen it before).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장,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세바공
전 이문장 읽을 때... 남자들의 이상현은 처음본 여자라는 우스개소리가 생각나서 한참 웃었네요. 남자 뇌에만 한한게 아니었다니^^
borumis
아항..! 근데 첫사랑도 결혼해서 자꾸 보면 지겨워지는 거 아닐까요..ㅋㅋㅋ 이루어지지 않아서 더 아름다운 그 사랑..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