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동안 『아우스터리츠』를 함께 읽어봅니다.
총 300페이지 분량을 3번으로 나누어서 읽으려고 합니다.
임의로 나눈 구분이고 중간 점검으로 생각해주셔도 좋습니다.
각 시기가 끝날 때마다 [#소감] 말머리를 달고 짤막한 소회를 남길까 합니다.
같이 읽어가면서 떠오르는 여러 가지 생각을 가감없이 얘기해보았으면 합니다:)
심지어 읽지 않아도 한마디씩 해주셔도 좋고, 다른 샛길로 빠져도 좋습니다. 관련된 다른 영상, 음악, 자료를 알려주셔도 좋습니다.
1차: 09/10-09/18
2차: 09/20-09/28
3차: 09/30-10/09
인원과 관계없이 22/09/10에 시작하겠습니다.
[제발디언 모집] 같이 제발트의 『아우스터리츠』를 읽습니다.
D-29
russist모임지기의 말
까만콩
안녕하세요. 제발트의 책을 처음 읽습니다. 밀리의 서재를 이용하려고 하는데, 전체 페이지 보기 설정을 이 리저리 바꿔서 302페이지로 만들었어요.
종이본 책과 분량이 다를 텐데, 대략 100페이지씩 나눠서 따라가도록 하겠습니다.
russist
네 감사합니다! 연휴라서 늦었습니다. 저도 오늘부터 읽어나가기 시작하겠습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russist
[#1차 시기 시작합니다] 개인적으로 처음 읽을 때 문장이 매우 길고 이국의 지명이나 고유명사가 많아서 버거웠던 기억이 납니다. 여러 번 읽으면서 책으로 들어가려는 입구를 찾으려고 노력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도 일단 한번 작가가 말하는 방식에 익숙해지면 꽤 읽을만(?)해 지더군요. 기존의 독서 경험과 조금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는 게 필요할 듯합니다. 아주 천천히 읽어봅시다. '굳이 이렇게 왜 써야만 했을까?' 하나씩 생각하면서 마치 필사를 하듯, 매우 천천히 읽다보면 아마 재미를 찾으실 수도 있지 않을까요? 흔히 말하는 페이지 터너는 아니지만, 곱씹어서 읽다보면 전혀 다른 경험을 할 수도 있을 겁니다. 저도 읽기 시작합니다! 다시 읽으려니 두근거리네요. 즐겁고 새로운 독서 경험을 해보시기를:)
russist
KCI에서 함께 읽으면 좋을 만한 논문을 발견해서 알려드립니다. (임석원, <제발트에서 나타나는 기억이미지와 알레고리적 역사서술>)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03926
까만콩
@russist 님 논문소개 감사합니다. 이제야 들어와서 죄송해요. 1회 독은 주중에 마쳤는데, 한 번 더 읽고 오려다보니 늦었습니다.
russist
[#1차 시기 ~116P] 가볍게 읽은 인상을 공유해봅니다. 전체 구성이 친절한(?) 인상은 아닙니다만 내용을 생각하면 이해가 가는 선택 이었습니다. 약표제 이후의 일러두기가 없고, 본문의 주석도 후주로 다 빠져있으며, 본문에서도 인물의 대화와 화자의 진술 사이에 따옴표도 없어서 정신 놓고 읽고 있으면 누구의 말인지 알 수 없을 정도입니다. 생소한 지명이나 고유명사가 빈번해서 읽기가 쉽지 않으며 이따금 역사적 사실을 기술한 논픽션 같기도 합니다. 한 인터뷰에서 '왜 역사연구서가 아니라 이야기 문학을 쓰는가'라는 질문에 제발트는 이렇게 답변했다고 합니다. "역사연구서가 해낼 수 없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집단적 역사진행의 메타포 또는 알레고리를 생성해 내는 일이지요."
마지막으로 제가 의미심장하게 읽은 한 대목을 인용하면서 1차 시기 마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까만콩
@russist 처음 읽으면서, (당연히) 어리둥절했습니다. 차근차근 읽어가면서 든 첫 질문은 왜 1인칭 화자가 아우스터리츠가 아닌가라는 문제였어요. 왜 화자가 아우스터리츠를 회상하는 방식으로 서술될까? 그런 의문을 품고 읽어갔습니다. 분명 소설로 알고 있는데, 실제 일어난 역사적 사실들과 간간이 나타나는 흑백의 자료-물론 저자가 삽입을 결정한 이미지-로 인해 혼동이 일어나도록, 즉 이런 혼동을 작가는 원했을 텐데요. 아마도 다큐멘터리 같은 영화처럼, 역사적 사실의 연구서와 혼동되는 소설로 독자가 읽기를 바랐나 싶었어요. 그런데 위에 russist님이 올려주신 인용문 "역사 연구서가 해낼 수 없는 것이 있습니다." 와 그 다음 문장을 읽으니 작가의 의도를 약간 알아들을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한편으로는, 서술하는 화자와 회상을 통해 등장하는 인물 아우스터리츠, 이 두 사람의 의견, 기억, 삶의 경험 등이 서술되면서 둘은 어쩌면 한 사람의 두 자아처럼 느껴지기도 했어요. 저는 이전에 제발트에 대해 자세히 몰랐고, 이번에 이 책을 읽으면서 인터넷 서점의 소개 정도만 검색해봤을 뿐입니다. 그런데 작가의 자전적 삶과 두 인물의 삶의 배경에서 유사점이 보여서 재밌었기도 했고요. 무척 밀도가 있는 문장들에 독특한 한 개인, 그러니까 타인과 구별되는 한 인간의 내밀한 기억들이 마치 자동연상처럼 (맥락 이탈한 듯)이어지는데, 이러한 서술이 나중에 중심의 핵 주변에서 소용돌이 치던 것들이었다고 깨닫게 되리라는..(믿음)을 갖고 후반부도 읽어보겠습니다.
밀리의 서재로 100페이지를 읽었는데, 출간본하고 어떻게 다른지 몰라서 일단 100페이지 즈음에서 끊었습니다. 다음 주에는 중간 중간 들어와서 의견을 덧붙이도록 노력할 게요. 알려주신 논문도 읽어보겠습니다. 감사해요.
russist
넵넵 참고로 전체 페이지 분량은 315페이지더군요. 참고 하셔도 좋을 듯 합니다. 한 인물의 두 자아 같다는 감상은 저도 공감합니다. 소설에 대한 통념(?)을 벗어난 소설인데, 이는 20세기 동년배의 작가들처럼 '홀로코스트 이후'에 전과는 다른 글쓰기가 필요했기 때문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추측해봅니다. '1인칭화자가 왜 아우스터리츠가 아닌가' 하는 문제의식에 대한 대답을 찾고자 한 결과가 어쩌면 지금 읽고 있는 이 책이 아닐까 싶어요. 예전에 제임스 우드의 『소설은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읽다가 제발트가 소설의 인칭에 대해서 언급한 대목을 공유해드립니다.
"사람들은 '종교라 불리는 저 거대한 좀먹은 음악적 융단이 한물간 만큼이나 전지적 작가 시점이 한물갔다'고 여긴다. 제발트는 언젠가 나에게 이렇게 이야기했다. '나는 화자 자신이 불확실성을 인정하지 않는 소설 쓰기란 매우, 매우 받아들이기 힘든 사기의 한 형태라고 생각해요. 화자가 자기 자신을 텍스트 안에서 무대담당자이자 연출자, 판사이자 집행자로 내세우는 그 어떤 형식의 작가적 글쓰기도 어쩐지 용납되지 않아요. 나는 이런 종류의 책을 도저히 읽어내지 못하겠어요.' 제발트는 이어서 이야기했다. '제인 오스틴(Jane Austen)을 거론하는 것은 모든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정해진 예의범절의 기준이 있는 세상을 거론하는 거지요. 규칙들이 명료하고 어디부터가 위반인지를 알 수 있는 세상이 존재한다고 전제한다면, 그 맥락 안에서는, 무엇이 법칙인지 알고 특정 질문들에 대해 답을 아는 화자가 되는 것이 정당성을 지닐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그렇지만 우리는 이런 확실성을 역사 전개과정에서 잃어버렸으므로, 이런 문제들과 관련된 자신의 무지와 미흡함을 스스로 인정하고 나아가 그게 걸맞는 방식으로 쓰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임스 우드, 『소설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15-16쪽)
아마 제 생각에는 모든 것을 관장하고 까마득한 위치에서 내려다보는 시선을 버리고, 역사 전개 과정 자체가 통제할 수 없는 무언가라면, 소설의 화자 또한 마찬가지라고 생각했던 게 아닐까 싶습니다. 사실 소설의 아무 부분이나 펼쳐서 읽으면 그것은 3인칭으로 쓰여진 소설처럼 보입니다만, 전체적인 구도로 보았을 때 그건 '나'의 서술임이 곳곳에 드러납니다. 아마 소설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를 꼽으라면 ",라고 아우스터리츠는 말했다"를 꼽을 수도 있겠네요. 여튼 읽으면 읽을수록 잘 모르는 미궁을 걷는 것처럼 의아해집니다!
russist
위에 제가 쓴 글을 읽어보니 저도 뭔가를 아는 것 같은(?) 뉘앙스가 느껴지는데, 사실은 저도 잘 모릅니다(ㅠㅠ). 그저 이런저런 사이드텍스트를 챙겨가면서 '왜 이렇게 썼을까?’ 생각하고 구글링하면서 감상하고 있으니 편하게 동참해주셨으면 합니다. 저 역시 몇 년 전 한번 읽고 나서 늘 '다시 읽어봐야지' 마음속에 남아 있던 책인데 이렇게 같이 읽으면서 의견을 공유할 수 있어서 좋네요!
좋은 밤 보내시기를😀
russist
힐러리는 1805년 12월 2일에 대해 몇 시간에 걸쳐 말할 수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은 모든 것을 지나치게 압축해서 묘사했다고 생각했는데, 그것은 그가 여러 차례 말한 것처럼, 그와 같은 날에 일어난 것과 누가 정확히 어디에 있었으며, 어떻게 죽었고, 어떻게 살아서 달아났는지, 아니면 밤이 시작될 무렵 전쟁터는 어떻게 보였는지, 부상자들과 죽어 가는 사람들이 부르짖고 신음하는 모습을 전혀 생각할 수 없는 어떤 체계적인 형태로 보고해야 하기 때문에, 끝없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어요. 결국 알지 못하는 것을 “전투는 이쪽저쪽으로 요동쳤다”는 우스꽝스러운 문장이나 그와 비슷하게 서투르고 쓸데없는 표현으로 요약하는 것 외에는 다른 방도가 없다는 것이었지요. ⏤『아우스터리츠』 (82쪽)
화제로 지정된 대화
russist
[#2차 시기 시작합니다] 시작하자마자 맞닥뜨린, 질식할 것 같은 세부사항으로 빼곡한 문장을 함께 읽으면서 2차 시기 열겠습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