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벌써 3쇄! 축하드립니다!
[박소해의 장르살롱] 13. 추리소설로 철학하기
D-29
무경
박소해
세상에!!!!!!!!
<추리소설로 철학하기> 3쇄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100쇄까지 가즈아!!!! 🤣🤣🤣🤣🤣🎉🎉🎉🎉🎉🎉🎉👏👏👏👏👏👏👏👏🥰🥰🥰🥰🥰🥰🥰🥰🥰🥰
파랑나비
인스타그램에서 곧 3쇄 찍을거라고(댓글) 말했는데,
그 말대로 이뤄졌어요.
롱런하는 책이 되리라 확신합니다.
나비클럽마케터
맞아요, 그때 그렇게 말씀해주셨었죠:) 역시 말에는 힘이 있지 말입니다.
감사합니다!
박소해
후후 정말 잘 됐습니다! 다시 한번 축하드려요.
박소해
역시 말엔 힘이 있는 거 맞습니다. 맞고요. :-)
바나나
와 벌써 3쇄라니 축하드립니다. 제 책도 오늘 배송될것 같아요. 얼른 읽고 싶네요.
박소해
@바나나 님 감사합니다. 적극적인 참여 기대하겠습니다. :-)
무경
저는 폴 오스터 파트 읽는 중입니다. '뉴욕 3부작' 읽은지 십 년은 넘은 듯한데, 그때의 기억이 희미하게나마 되살아나는 기분이었습니다. (이 책의 영향을 받아서 '부산 3부작'이라는 가칭 달고 일제강점기 연작 세 편을 썼었습니다...^^) 조금만 더 지나가면 드디어 한국 작가님들 이름이 보이겠군요!
박소해
There is no place like home.
화제로 지정된 대화
박소해
@모임
제가 2박3일 동안의 서울 일정을 마치고 방금 제주집에 도착했는데... 넘 아늑하고 편안하네요.
역시 집보다 좋은 곳은 없네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박소해
@모임
안녕하세요?
<추리소설로 철학하기> 진도표를 발표하겠습니다.
1주차) 3/11~ 3/17 프롤로그부터 6부까지
2주차) 3/18~ 24까지는 7부부터 11부까지
3주차) 3/25~31까지는 12부부터 에필로그까지
[프롤로그]
나는 왜 추리소설로 철학을 해왔는가
1. 진리란 표면에서 발견되는 것이다
: 에드거 앨런 포와 보르헤스
2. 삶은 가면놀이다
: 애거사 크리스티와 니체
3. 생존감각을 확보하는 법
: 레이먼드 챈들러와 사르트르
4. 악인이란 가장 사회적인 인간이다
: 추리소설가가 된 철학자, 줄리아 크리스테바
5. 탐정은 기호학자다
: 움베르토 에코가 앓는 형이상학적 질병
6. 미로 속에서는 자신이 어디 있는지 중요하지 않다
: 형이상학적 추리소설, 폴 오스터의 《뉴욕 삼부작》
화제로 지정된 대화
박소해
@모임
지금부터 프롤로그와 1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볼까요?
먼저 읽으신 분들부터 자유롭게 의견을 부탁드리겠습니다. ^^
일단, 프롤로그는 어떠셨어요? 어려우셨나요?
이해가 안가는 내용이 있었다면? 감탄한 부분도 있었나요?
우주먼지밍
책을 받자마자 프롤로그를 한 숨에 읽었습니다. (몇 페이지 안되니까요>_<) 이 책에 처음부터 끌렸던 이유는 추리소설과 철학은 과연 무슨 관계일까였어요. 제가 철학에는 좀 많이 간절히 관심이 있어서(아는 건 극히 미약합니다~) 이것저것 더디게 읽어오고 있는데 아직까지 읽은 내용 중 ‘추리소설과의 관계‘에 대한 글은 만나보지 못했거든요.
프롤로그 중 ‘서구 추리소설은 사유의 근거가 이항 세계관(신/피조물)에서 일항 세계관(피조물)로 변해갈 때 생격난 문화적 산물이다’ 라는 문장에서 우선 깨달은 바는 제가 문화적 산물에 대하여 아는 것이 거의 없다는 것이었어요. 저 역시 추리소설은 재미난 이야기에 끌리는 호모 사피엔스종이 좋아하는 소설장르 정도라만 이해했었는데 이렇게 깊은 철학적 함의가 있는 지는 전혀 몰랐어요. 흥분하기 시작했습니다. 새로운 걸 알게 되어서요+__+
추리소설 속 ‘탐정’이 ‘안다고 가정된 주체’, ‘이성’ 등에 대한 은유라는 것을 읽으면서.. ‘아..’하는 순간이 찾아왔어요. 너무나 똑똑해 보이는 ‘탐정’들이 철학적으로는 이렇게 탐구될 수 있구나…
한편
13페이지에 책의 저자이신 백휴 선생님께서 ‘범죄를 다루는 추리소설이 기존 사유를 전복하거나 적어도 보완하는 역할을 해왔고 앞으로도 해줄 것으로 나는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적으셨는데, 앞으로는 추리소설에 관심이 생겨서 손이 갈 것 같아요.+_+
박소해
@우주먼지밍 님 안녕하세요? 합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계속 장르살롱에 관심 가져주세요. :-)
프롤로그를 읽으면서 흥분하기 시작하셨다니 ‘추리철학가’ 자격 획득입니다.
저 역시 추리소설이 철학의 대상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학자들이 직접 뛰어들기까지 했다니... 장르적 자부심이 머리끝까지 치솟고 있습니다.
백휴 작가님 덕분에 그동안 문학적 엄숙주의와 순혈주의에서 받았던 상처가 치유되는 느낌입니다.
저 역시 우주먼지밍님처럼 순수한 마음으로 추리소설을 더 사랑할 수 있게 될 것 같습니다. :-)
poiein
개인적인 사정으로 어제 책을 구입해서 읽기 시작했어요. 늦게 합류해서 죄송합니다.
프롤로그부터 내용이 압도적이어서 신나게 읽었습니다. 추리소설이 '은유와 결합한 동일성의 서구 사유'가 해체되는 시기에 생겨난 소설 장르(p.12)라는 대목에서 제가 특히 좋아하는 19세기에 추리소설도 탄생되었다는 데서 혼자 기뻐했습니다. 다만, 추리소설을 안 읽은 지 너무 오래되다 보니 읽은 추리소설이 몇 권 안되고 그나마 읽은 기억만 흐릿해서 앞으로 읽어야 할 책들을 꼽아보았어요.
특히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사유와 추리소설은 공히 위반의 문제'(p.14)라는 발언이 매우 강렬했고, 추리소설로서 철학함이 무엇인지 집중해서 읽어봐야겠다는 마음이 일어났습니다.
박소해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때입니다. @poiein 님의 합류를 환영하며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합니다. 저도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사유와 추리소설은 공히 위반의 문제’란 발언에 매우 공감하며, 앞으로 소설을 구상할 때 경계 없는 상상력을 펼쳐봐야겠다고 다짐하게 되었습니다.
되도록이면 금요일 라이브 채팅 땐 꼭 와주세요~^^ 저녁 8시에 여기에서 합니다.
poiein
사유란 극단적인 것이다. 그래서 사유는 낭만주의적인 성격을 띤다.(…)나에게 진정한 사유란 가장 근원적이고 원초적인 것을 다루기에 흥미롭다. 철학에서 허용되지 않는 질문은 없다.
『추리소설로 철학하기 - 에드거 앨런 포에서 정유정까지』 p.14, 백휴 지음
문장모음 보기
김정환
역사적 배경 지식을 기반으로 철학을 한다는 게 프롤로그에 언급되어 있었습니다. 제가 기자출신인데 배경지식을 많이 가진 분들이 추리소설도 잘 쓰시더군요. 그래서 기자분이나 학자분들이 소설이나 책을 쓰시면 해박하게 쓰시더군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