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무경이라고 합니다. 이 책 무척 재미있게 읽고 이 대화방에도 조심스레 참가했습니다. 책 읽으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도 여럿 떠올렸고 예전에 읽어 익숙했던 책들을 새롭게 볼 수도 있었습니다.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참가하겠습니다.
[박소해의 장르살롱] 13. 추리소설로 철학하기
D-29
무경
추리문학
그리고 스포일러 부분에 대한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읽지 않은 독자한테는 너무 미안한 일이죠.
한데~저는 궁극적으로 한국 추리소설가의 관점이
가능한가에 대한 탐구에 관심이 있기에, 스포일러 개념을 확립시키기 위해 , 포-보르헤스 라인을 억압한 것도 염두에 두고 있어서 독자만큼 예민하지는 않습니다.
borumis
네~ 아무래도 추리소설을 스포일러 없이 서평 쓰기는 무리인 것 같아요. 그런데 신기한게 이미 읽었던 책도 잘 생각이 안 나는 게 있고 요즘은 추리소설도 그렇고 다른 소설도 반전이나 플롯을 알아도 그 플롯을 풀어가는 과정이 재미있어서 그냥 읽게 되는 것 같아요. 포나 보르헤스 폴 오스터처럼 사건의 해결보다는 그 미스테리의 분위기와 작가의 주제의식을 즐겨 읽기도 하고.. 실은 저는 어릴적부터 외국에 살아서 전 한국 소설을 많이 안 읽어서 한국 추리소설은 아는 바가 거의 없는데요. 영미권 유럽 일본과 다르게 한국 추리소설은 또 어떤 특징을 가지고 앞으로 또 어떻게 발전할지 궁금해져서 이 책을 읽어보려고 합니다. 참, 요즘 제가 아이슬란드 작가 Halldor Laxness 책을 읽고 있는데 북유럽도 자연환경 때문인지 스릴러나 추리소설이 참 많은 나라죠. 이쪽 추리소설 작가들에 대한 작가론도 재미있을 듯합니다.
박소해
보르미스님 의견이 재미있는 지점이 방금 분석에서 북유럽에 추리, 스릴러가 발달한 이유가 자연환경 때문이라고 하셨잖아요. 제가 제주도를 배경으로 하는 추리소설과 호러소설을 많이 쓰는 편인데 제주도 또한 기후가 매우 험악하거든요. 1년에 큰 장마가 2번 있고, 태풍을 자주 맞으며 항상 바람이 거세게 부는 곳이라... 제가 추리소설가가 될 거라고 예상하고 제주도로 이주한 것은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제주도의 자연이 저를 추리소설가로 만든 게 아닐까 생각해 왔거든요. 문득 보르미스님 의견 듣고 떠올라서 조잘거려봤습니다. :-)
무경
사람이 살아가는 공간이 저마다 가진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그 지역에 걸맞는 추리소설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링크 못 걸었지만) borumis 님이 북유럽 스릴러와 추리소설을 언급하신 점이나 박소해 작가님의 작품들 속 제주도가 창작자로서 많은 자극이 됩니다. 저는 부산에서 태어나 지금 부산에서 살고 있는데, 이곳이 다른 지역과 무언가 다르다는 걸 알면서도 그게 무엇인지를 명확히 생각해 본 적이 없었거든요. 창작은 그 계기가 되는 것 같아요. 내가 사는 이곳을 어떻게 온전히 담을 수 있을까? 늘 고민하고 있습니다.
박소해
전에도 말씀드렸듯이 저는 로컬리즘이 창작자에게 굉장히 좋은 자산이자 인사이트의 샘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전 인구의 2/5가 서울과 수도권에 몰려 있는 나라에 살고 있지만 여전히 더 많은 3/5는 다른 지역에 흩어져 살고 있으니까요. 게다가 제주는 전 인구가 67만(서울의 한 구보다도 적죠)밖에 안되는데 면적이 서울의 4배에 이르는 섬입니다. 그러니 자연스럽게 인구 밀도가 아주 적고 광활하고 황량한 곳이 꽤 많지요. 4.3으로 인해 잃어버린 마을(마을사람 전원이 학살 당했거나 생존자들이 떠나간 곳)도 수백 곳에 이르다 보니... 자연적, 역사적 요소들만 살펴봐도 충분히 추리, 스릴러의 배경이 될 만한 곳이라고 봅니다.
부산 또한 자연적, 역사적 요소들로 살펴봤을 때 독특한 추리, 스릴러 장르물이 나올만한 지역입니다. 좌승주 시리즈를 통해 로컬리즘으로 첫 작품을 시작한 저는, 앞으로 무 작가님의 부산 중심 작품활동을 매우 많이 기대합니 다. :-) 화이팅입니다.
추리문학
독자의 입장에서는 추리소설이라는 보편적 잣대로 작품을 평가하지만~~~한국 추리소설가는 작품을 소비재로만 보는 독자의 인식(다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과 자칭 순문학 비평가로부터 주변부 문학으로 낙인 찍힌 인식 사이에 존재합니다. 이 구조(정치적)를 받아들여야 반사체 머물고 있는
한국 추리소설가가 발광체로 가는 길을 찿을 수 있을 겁니다. 저는 보편적 추리소설은 없다고생각합니다. 나카무라 추리소설, 존슨 추리소설, 미셸
추리소설, 철수 추리소설이 있을 뿐이죠.
다시 반복해 말하면~상품으로만 바라보는 대다수의 독자와 추리소설을 하대 하는 일반소설 비평가의 사이에 끼어, 아직 자기- 반성능력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가 한국 추리소설가의 현주소라고
생각합니다.
박소해
이 말씀, 아주 중요한 지적입니다.
본격은 이래야 한다, 사회파는 이래야 한다가 아니다...라는 말씀이니까요. 그리고 사실 그 편이 수많은 추리 독자님들이 원하는 길이 아닐까 생각해보기도 합니다. 다양한 추리소설이 펼쳐지는 만화경이야말로 추리 마니아들이 꿈꾸는 세상이겠지요. :-)
추리문학
박소해 작가님도 잘 계시죠?
모든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날카로운 지적들에 대해서는 저도
뜨끔하고 있습니다. 문자로 하니 답답해서
오프를 하고 싶을 정도입니다. 좋은 논의
계속 부탁드립니다~
박소해
@추리문학
안부 물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백 작가님.
전 제주에서 펜션 운영하는 틈틈이 글을 쓰면서 잘 지내고 있습니다. 겨울방학엔 서울에 체류하기도 했었는데... 제가 시골에 사는 데 워낙 익숙해져 있어서 그런지 도시보다 시골에서 글이 더 잘 써지는 것 같아요. 흑흑 이제 빼박 시골사람인가 봅니다... ㅎㅎㅎ :-)
백 작가님, 환절기에 건강 유의하시고 살롱에서 틈틈이 계속 봬요.
추리문학
무경님도 반갑습니다. 좋은 글 기대하겠습니다~
따끔한 지적두요.
미스와플
본능은 아마도 강요된 이성일 것이다.
『추리소설로 철학하기 - 에드거 앨런 포에서 정유정까지』 p.24, 백휴 지음
문장모음 보기
박소해
저도 이 문장 좋았습니다. 미스와플님, 합류를 환영합니다! :-)
미스와플
에구에구 말랑한 소설들을 읽다가 묵직한 철학서적을 읽으니 쫓아가기 숨차지 말입니다. 열심히 적어가면서 한 문단 한 문단 읽고 있습니다.
김정환
7. 일본추리소설 역사의 흐름을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본격추리소설 사회파추리소설 신본격추리소설
8.소설의 남성성과 여성성의 여정이 흥미로웟습니다.
9. 영화 이름과 동명이라서 놀랐습니다.
10.목소리에 대한 서사가 인상깊었습니다.
11. 사유의 출발점은 기이하다. 시인 추방 각자는 자기자신에게 동일도 그렇고요
박소해
각 파트 별로 촌철살인이로군요! :-)
박소해
4-6부까지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솔직히 5부는 정말 어려웠습니다. 예전에 에코의 이론이나 소설을 깊이 읽지 않았고...
하지만 4부와 6부는 무척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4. 악인이란 가장 사회적인 인간이다: 추리소설가가 된 철학자 줄리아 크리스테바>
우선 프랑스라는 나라의 특징, 그 민족성을 생각해보면 줄리아 크리스테바가 쓴 추리문학이 우리가 보통 고전문학이라고 알고 있는 영미권 추리소설과 경향 자체, 출발 자체가 다르다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었습니다. 줄리아는 사유와 추리소설이 위반의 문제와 관계되어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작품 속에서 ‘위반 = 자유=문학’이 되어버린 프랑스적 가치를 체화합니다.
애초에 그녀가 추리소설을 쓰게 된 계기가 아주 재밌었어요. 독자를 잃어가는 현대문학의 위기에 대해 에코와 대화를 나누다가, 21세기는 추리소설의 시대이므로 각자 추리소설을 써보면 어떻겠느냐는 의견이 나온 거죠. 정작 대중적 인기는 에코가 더 누렸지만, 사유와 추리소설의 관계를 제대로 탐구한 건 줄리아쪽이라고 백휴 작가님은 말씀하십니다.
크리스테바는 사유와 범죄 모두 위반이라는 점에 주목합니다. 위반이 정당화될 수 있는 유일한 조건이 사회악에 대한 저항이라고 할 때 크리스테바는 전면적으로 위반을 정당화하는 편입니다. 사회 안에서 보면 위반이 악이지만, 밖에서 보면 사회 자체가 악이라는 전도된 생각이 그것입니다. 이 전도가 불러일으키는 불안감과 위험. 우리의 정서는 그런 극한의 결과를 감당할 수 없습니다. 한국인의 유교적 상상력은 권력 중심적이고 한의 정서는 권력이 없는 백성의 정치적 한계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유교적 성숙은 인사이드적이고 반면 프랑스인의 문학적 상상력은 정신 대 육체라는 변증법적인 대립 속에서 육체를 억눌러온 정신에 반발하는 육체의 궤적을 그린다는 점에서 아웃사이더적입니다. (여기서 인사이드 <-> 아웃아이드 혹은 인사이더 <-> 아웃아이더 로 대구가 되어야 할 것 같은데 이건 일부러 그런 것일까요>)
사상가는 멜랑콜리커요, 방랑자적인 불안정성에 노출된 인간은 나그네들이자 어둠의 인간, 외톨이, 두더지로 호명되기도 합니다. 크리스테바는 이 이동의 경로를 쌩볼릭(상징계)에서 세미오틱(기호계)로 향하는 여정으로 개념화하는데요, 이 기호계 너머엔 아마 광기가 도사리고 있을 것입니다.
크리스테바는 헤겔의 부정성을 다듬어 이 여정의 에너지이자 매혹하는 힘을 엑스펄션이라고 표현하는데요, 엑스펠션은 밖으로 향하려는 그 충동성으로 인해 반가족적, 반국가적, 반사회적 특징을 지닙니다. 이 엑스펄션은 단지 ’가족, 국가, 사회’에 대한 불만이나 대립으로 그치지 않고 제한과 속박에서 벗어나는 그 어떤 과잉으로 읽어냅니다. 문학이 시니피앙(기표)야말로 이 과정을 드러내는 사건이고 시니피앙(기표)와 시니피에(기의) 관계에 개입하는, 다시 말해 합목적성이라는 이름으로 세상을 장악하려는 정치, 종교의 이데올로기성을 비판합니다.
그렇다면 가족, 국가, 사회를 버린 인간은 어디로 가는 것일까? 쌩볼릭 밖으로의 이주자들은 늘 질문합니다.
“나는 어디에 있는가?”
이성에 대한 신뢰에 기초한 추리와 논리, 합리적 추론을 통해 의심의 여지없는 결론에 도달하려는 탐정의 노력. 로고스에 대한 깊은 믿음. 하지만 그 로고스가 탐정의 수사와 추리로 빚어낸 이야기 그 자체가 단지 심연 X를 회피하기 위한 대체물이라면 어찌할 것인가? 추리소설의 낙천성이 소리만 큰 헛웃음이라면 어찌할 것인가? 줄리아는 사유를 통해 추리소설을 통해 그것을 당신에게 묻고 있습니다.
박소해
사회 안에서 보면 위반이 악이지만, 밖에서 보면 사회 자체가 악이라는 전도된 생각(...)
『추리소설로 철학하기 - 에드거 앨런 포에서 정유정까지』 백휴 지음
문장모음 보기
박소해
악이란 한마디로 ‘사회’다. 금기, 계약, 금지, 위선, 남용 따위가 만연한 악의 사회, 특히 사회의 중심인물은 가장 부패한 사람, 즉 가장 사회적인 사람들이다.
『추리소설로 철학하기 - 에드거 앨런 포에서 정유정까지』 백휴 지음
문장모음 보기
박소해
추리소설처럼 인생 자체가 읽을 만하고 견딜 만한 것이 되려면 ‘궤도이탈’이 필요하다. 같은 궤적, 같은 생각을 따라가지 말 것.
『추리소설로 철학하기 - 에드거 앨런 포에서 정유정까지』 백휴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