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함께 읽기] #02. <4321>

D-29
@숨쉬는초록 님도 기왕에 1960년대 언급을 하셨으니 함께 읽으면 좋을 책을 몇 권 정리해 볼까요? 1960년대를 전반적으로 이해하기에 좋은 책은 얼마 전에 소개했던 김경집 선생님의 『진격의 10년, 1960년대』(동아시아)입니다. 목차만 살펴봐도 『4321』의 맥락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거예요. 이른바 '68 혁명'을 다룬 책은 읽을 만한 책이 꽤 있어요. 국내에 번역되어 있는 책 가운데 제가 좋아하는 책은 아래와 같습니다. 미국에 한정하지 않고 68 혁명의 세계사적 의미를 자신의 개인 체험과 함께 다룬 책은 타리크 알리의 『1960년대 자서전』(책과함께)입니다. 1987년에 나온 원서의 개정판이 2004년에 나왔고, 그것이 국내에 번역된 것인데요. 알리는 파키스탄 출신의 유학생으로 영국의 68 혁명을 이끌었던 학생 리더였습니다. 강정석 선생님 논문 소개하면서 언급했던 수전 왓킨스와 함께 쓴 『1968』도 좋은 책입니다. 사실 이 책이 원서(1968: Marching in the Streets) 기준으로는 1998년에 나오기도 했는데, 지금은 절판된 지 오래라 도서관이 아니면 구하기가 어려워요. 아쉽습니다. 딱 1968년에만 초점을 맞춘 비교적 최근에 나온 책으로는 잉그리트 길혀-홀타이의 『68 혁명, 세계를 뒤흔든 상상력』(창비)이 있어요. 잉그리트 길혀-홀타이는 독일 빌레펠트 대학교 교수로 독일, 서유럽, 미국의 68 혁명을 계속 연구해온 역사학자입니다. 이 책도 목차만 살펴도 『4321』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68 혁명에 대한 연구 작업으로 널리 읽히는 조지 카치아피카스의 『신좌파의 상상력』도 고전 반열에 오른 책입니다. 이 책의 4장을 읽으면 『4321』의 배경으로 묘사되는 미국 신좌파 운동의 이모저모를 한눈에 정리할 수 있어요. (안타까운 일은 이 책들을 다 서점에서 구하기가 어렵다는 점이죠;)
진격의 10년, 1960년대 - 비틀스에서 68혁명까지, 김경집의 현대사 강의현대사에 호기심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1960년대가 지닌 독특한 매력을 알고 있을 것이다. <진격의 10년, 1960년대>는 1960년대 세계 곳곳에서 일어난 현대사적 사건들을 촘촘하게 들여다보며 그 매력의 이유를 찾아낸다.
1960년대 자서전 - 열정의 시대 희망을 쏘다, 68혁명 40주년1960년대 세대의 ‘첫 번째 물결’ 좌파 지식인 타리크 알리의 《거리에서 싸우던 나날: 60년대의 자서전Street-Fighting Years: An Autobiography of the Sixties》(2005)의 완역본이다. 격동의 시대였던 60년대 한 활동가의 자서전이다.
1968 - 희망의 시절, 분노의 나날타리크 알리의 <1968: 희망의 시절, 분노의 나날>은 제목이 시사하듯이 1968년 전세계적으로 일어났던 대분출을 한 편의 다큐멘터리처럼 재현시키고 있는 독특한 책이다. 그가 '정치적 달력'이라고 불렀듯이 이 책에는 1968년에 발생했던 주요 사태들이 비교적 소상하게 묘사되어 있다.
68혁명, 세계를 뒤흔든 상상력 - 1968 시간여행
신좌파의 상상력 - 전세계적 차원에서 본 1968년<신좌파의 상상력>의 수정증보판이다. "현대세계에서는 자유로울 수 없다는 관점을 통해 신좌파는 개개인을 발전시키는 것을 뛰어넘었고, 자신들의 상상력으로 인류를 한걸음 더 질적으로 도약시켜주는 잠재력이 됐다. 신좌파의 철학적 프로젝트는 대중이 사회세계를 재구성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담당할 이성과 진리를 추구하는 것이었다.”
비문학들이네요~ 아니에르노의 <<세월>>에서도 아니에르노가 관찰한 68운동 및 1960년대도 기억에 많이 남아요~ 완전 강추합니다.
아 맞아요. 아니 에르노의 세월도! 그 당시 모습을 잘 담고 있죠.
타리크 알리의 책들은 웬만한 소설만큼이나 흥미롭고 재밌답니다.
타리크 알리의 1968은 절판되고 ebook으로도 없어 구하기 힘들지만 Street Fighting Years : An Autobiography of the Sixties를 ebook으로 구입해봤어요. 감사합니다.
오~ 그렇군요! 절판이라니.. 도서관 검색해 봐야겠네요~
책 추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구오구 @YG 귀한 추천 도서 리스트 감사합니다.
68운동 어렴풋이 알고 별로 관심없었는데...좋은 자료 추천 감사해요~
폴 오스터님... 6.3. 꼭 이렇게까지 하셔야했는지 ㅜㅠ
제 말이요 ㅠㅠ
드디어 완독!! 미국의 역사나 정치상황을 자세하게 알면 훨씬 더 재밌게 읽었을 것 같으면서, 또 원서로 읽으면 폴 오스터의 센스에 더 감탄했을 것 같으면서...도! 충분히 한글 번역본으로도 재밌었어요. 근데 이게 메모가 필수불가결하다는 점에서.. 휘리릭 술술 읽을 수 없다는 데에 너무 큰 장벽이 있긴 하네요. 특히나 평소에 책상에 앉아서 책을 읽는 일이 거의 없는 저에게는요 ㅠㅠ 어쨌거나, 폴 오스터의 역작은 맞는 것 같아요. 예전에 읽었던 책들보다 훨씬 더 깊이와 재미가 있네요. 아, 그리고 <4 3 2 1>을 읽으면서 다른 책들도 같이 읽고 싶어지더라구요. 그래서 <두 도시 이야기>는 중간에 완독했는데 역시 재미있었어요. <돈키호테>도 자주 나오는데 이건 스토리를 대충 아니까 그냥 넘어갔습니다. 다시 읽어보면 또 다른 매력이 보일려나요? 그 외에 <데이비드 코퍼필드>, <월든>, <사일런스>도 읽어보고 싶어졌습니다. <사일런스>는 게다가 아예 절판되어서 더 읽고싶어지는 이상한 욕심...!! ㅎㅎ
저도 디킨스 작품들을 다시 읽고 싶어졌어요. :)
저도 디킨스 작품들을 다 언젠가 읽어보고 싶은데.. 자꾸 다른 책들이 먼저 눈에 밟히네요. ㅎㅎㅎ
저도 4월에는 두도시 이야기 읽으려구요~
저도 보통 출퇴근길 지하철에서만 읽어서 책상에 앉아서 읽기는 힘들더라구요. 대신 책 자체에 메모를 하거나 전자책에 메모합니다. 그래서 책이 참 지저분해지죠.ㅎㅎ Silence는 한국어로는 없는 것 같은데 영어로는 전자책이 있네요. 안그래도 John Cage의 작품이 유튜브에도 올라와있는데.. 2번째 퍼거슨 챕터들 (그리고 아마 이제 3번째 퍼거슨도)이 텅 비어있는 걸 보고 케이지가 매 악장마다 피아노 뚜껑을 덮고 침묵 속에서 시간을 재는 공연이 생각났어요. 마치 동양화의 여백의 미처럼 침묵 자체가 음악이 되는 그의 논란이 된 작품 4'33"은 도덕경의 동전의 양면과 같은 무와 도 같은 느낌이 들었어요. 또한 이 작품에서 나온 퍼거슨 할아버지의 이름의 유래나 Howard나 Luther 등의 소리를 이용한 언어유희들 (Hick Funn)이나 그의 작품들에서 나오는 인물들이나 제목 등 (sole mate, 등) 소리와 리듬의 다양함을 실험하는 듯한 게 엿보입니다. 심지어 3번째 퍼거슨이 군대에서 거부당한 이유 4F에서도 4가지 퍼거슨이 연상되고 그리고 4,3,2,1(1,2,3,4가 아닌 마치 count down같은)에서도 어떤 리듬감과 구조감을 보여주는데요. 존 케이지의 First Construction in Metal이라는 작품은 4+3+2+3+4=16 section으로 나뉘고 그 section또한 4+3+2+3+4 measure로 나뉜다고 하는데 케이지는 이것을 macro-microcosmic structure라고 했는데 이런 반복적인 수적인 구조가 책에서 이곳저곳에서 보였는데 아마 다시 읽어보면서 다시 찾아보면 좋을 것 같아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주말에 6.3장 읽고서 많이 놀라셨죠? 3번 퍼거슨을 안쓰러워하셨던 분들은 특히 더 그랬을 것 같습니다. 폴 오스터가 가능성을 닫으면서 작품을 마무리하는 방식을 놓고서 저마다 다른 감상이 있을 텐데 한번 다양한 의견 나누고 싶습니다. 오늘 월요일(3월 25일)은 6.4장을 읽습니다. 소설가로서 자신의 길을 개척해가던 4번 퍼거슨의 삶도 우연한 일로 꼬이기만 하고;
화제로 지정된 대화
이번 주는 내일 화요일(3월 26일)부터 7부를 시작해서 완독하는 일정입니다. 화요일 7.1장, 수요일(3월 27일) 7.2장, 목요일(3월 28일) 7.3장, 금요일(3월 29일) 7.4장. 이렇게 29일 동안 총 29장을 완독하는 일정입니다. 하지만, 이제 다들 아시다시피 7.2장과 7.3장은 여백이니 수요일 3월 27일 정도에 완독하시고 서로 감상 나누시면서 모임 마무리하는 식으로 해요. :)
저는 완독하고 다른분들 완독 수다 기다리고 있어요^^
기다리시는 동안 이전 챕터에 대해 토론이나 덧글 언제든 환영합니다~ 전 일단 읽어가면서 계속 메모한 것들을 주절주절 써놓긴 하는데..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다산북스/책 증정] 『공부라는 세계』를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그믐북클럽X토프] 25. 지금, 한국 사회를 생각하며 ①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그믐북클럽X연뮤클럽] 28. 뮤지컬 안내서 읽고 공부해요 ①<뮤지컬 익스프레스 슈퍼스타>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경계를 허무는 [비욘드북클럽] 에서 읽은 픽션들
[책 증정]  Beyond Bookclub 12기 <시프트>와 함께 조예은 월드 탐험해요[책 증정] <오르톨랑의 유령>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9기 [책 증정] <그러니 귀를 기울여>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3기 [책 증정] <지구 생물체는 항복하라>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2기
연뮤클럽이 돌아왔어요!!
[그믐연뮤클럽] 6. 우리 소중한 기억 속에 간직할 아름다운 청년, "태일"[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노란 책을 찾아라!
안노란책 리뷰 <초대받은 여자> 시몬 드 보부아르안노란책 리뷰 <time shelter> 게오르기 고스포디노프안노란책 리뷰 <개구리> 모옌안노란책 리뷰 <이방인> 알베르 카뮈
[그믐클래식] 1월1일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4월의 그믐밤엔 서촌을 걷습니다.
[그믐밤X문학답사] 34. <광화문 삼인방>과 함께 걷는 서울 서촌길
스토리탐험단의 5번째 모험지!
스토리탐험단 다섯 번째 여정 <시나리오 워크북>스토리탐험단 네 번째 여정 <베스트셀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스토리 탐험단 세번째 여정 '히트 메이커스' 함께 읽어요!스토리 탐험단의 두 번째 여정 [스토리텔링의 비밀]
셰익스피어와 그의 작품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1. <세계를 향한 의지>[북킹톡킹 독서모임] 🖋셰익스피어 - 햄릿, 2025년 3월 메인책[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봄은 시의 세상이어라 🌿
[아티초크/시집증정] 감동보장!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아틸라 요제프 시집과 함께해요.나희덕과 함께 시집 <가능주의자> 읽기 송진 시집 『플로깅』 / 목엽정/ 비치리딩시리즈 3.여드레 동안 시집 한 권 읽기 13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STS가 궁금하다면?
STS SF [응급실 로봇 닥터/책 증정] 저자들과 함께 토론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①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브뤼노 라투르 외)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③ 판도라의 희망 (브뤼노 라투르)고려대X포스텍 <STS, 과학을 경청하다>독서모임
톱클래스 함께 읽어요
톱클래스 5월호 <무해로움> 함께 읽어요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