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합니다! 저 언제나처럼 번역서 펴놓고 원서오디오북 들으며 읽고있는데 배지에 집착해서 ‘pinned’는 못잡아냈네요.
[책걸상 함께 읽기] #02. <4321>
D-29
이기린

borumis
전 이번에 일본 졸업식 문화에 대해서 배웠네요. ㅎ

빨간리본
추가로 성경적 설명을 곁들이자면 예수님이 인류 구원을 위해 십자가에 달리기 전 40일을 금식하며 기도하는 내용이 나옵니다. 40이라는 숫자가 어떤 일을 진행하기 전 심신을 준비하는 숫자로 대표되기도 해요.

YG
@모시모시 우와! 이건 너무 대단한 메모잖아요! :)
화제로 지정된 대화

YG
내일 수요일(3월 6일)은 2부로 들어갑니다. 먼저 2.1장을 읽습니다. 이제 여기부터 속도가 붙기 시작합니다. 저는 2.1장이 좋았어요. 특히 스탠리와 퍼거슨 부자의 관계가 뭉클했답니다. 직접 확인해 보세요.

borumis
죄송합니다. 제가 어제 글이 1.4인 줄 알고 혼동했나보네요..^^;;

YG
@모시모시 님과 2.1장을 읽은 분들이라면 이 책의 정체를 아시겠죠? 1960년에 원서 초판이 나오고 나서 63년 만에 작년(2023년) 여름에 정식 완역되었어요.
어떻게 이런 책을 10대 초반의 퍼거슨이 읽을 수 있었을까요? 실제로 인기가 있었습니다. 1960년 책이 나오고 나서 1년 만에 양장본과 보급판 각각 100만 부 이상 판매되었고, 잡지 <리더스 다이제스트>에 축약판으로 연재되어 1,200만 독자에게 읽혔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우리나라로 따지면 (1988년 출간 이래 2,000만 부 이상이 팔린) 1990년대 <이문열 삼국지>나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 열풍과 비슷했었나 봐요.

제3제국사 - 전4권 - 히틀러의 탄생부터 나치 독일의 패망까지나치 독일을 다룬 최초의 통사이자 대표적인 대중 역사서 《제3제국사》가 초판 발행 63년 만에 처음으로 정식 완역되었다. 1920년대부터 2차 세계대전 초기까지 유럽에서 나치를 직접 취재한 기자인 지은이 샤이러는 1950년대에 막 공개된 1차 사료를 바탕으로 제3제국 시대라는 드라마의 주연들과 조연들, 단역들로 하여금 스스로 말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책장 바로가기

borumis
이 책 TBR 목록에 있는데… 아치의 독서력이 후덜덜합니다;

Nana
그러니까요.. 십대가 이런 책을 읽다니요. 1245 페이지….

borumis
마태복음 4장 보시면 40 days and 40 nights 동안 예수가 사막에서 악마의 유혹과 싸웠단 얘기가 있던데 이걸까요? Lent라는 종교 holiday와 관련되었다고 알고 있어요

borumis
2.1 역시 60년대로 넘어오니 케네디 집권 당시 인권운동이 한창인 미국역사의 흐름이 보이는군요. 결국 케네디 암살로 끝이 나고.. 개인적으로 안느 마리 같은 histrionic한 사람이 너무 싫어서 일찌감치 헤어지고 에이미와 같이 시원털털한 성격의 여성을 만난 게 참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가난해졌지만 조용하고 일벌레같던 아버지와 더 시간을 보내게 되고 여친과 시간 보낼 배려도 해주는 이해심 많은 어머니 등 더 행복한 가정의 아치같습니다.

borumis
2.1 영화 보면 항상 졸던 아버지가 T.S.엘리엇의 시를 듣고 감동받다니..! 정말 의 외의 장면이었습니다. 이 시는 저도 고등학교 때 참 좋아했던 시인데요. 중년 남성의 부적응과 체념 회한과 망설임이 담겨진 시인데 반드시 중년남성이 아니어도 갈 길을 방황하는 사춘기에도 참 와닿았던 시였어요. 시에서 특히 Prufrock이 자문하던 세 개의 질문: Do I dare / Disturb the universe?; So how should I presume?; And how should I begin? 이 세 가지는 누구든지 삶과 부딪힐 때 고민할 법한 질문들이죠. 머리가 빠져서 어떻게 빗어 넘길지 살구를 먹어도 될지 고민하면서 자신의 우스꽝스러움과 늙고 초라한 모습을 직시하며 바닷가의 인어들마저 서로에게 노래하지만 자기한테는 노래 부르지 않을 거라고 체념하고 잠시 그들과 바닷속에서 꿈 같은 시간을 보내는 꿈을 꾸다가도 다시 인간들의 목소리에 의해 일어나고 빠져 죽는 매우 우울한 시인데.. 동병상련이랄까요? T.S. 엘리엇의 시들은 우울한 와중 은근히 담담한 위로가 될 때가 있었습니다. 묵묵히 운명을 받아들이는 스탠리와 잘 어울리는 시같네요.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https://www.poetryfoundation.org/poetrymagazine/poems/44212/the-love-song-of-j-alfred-prufrock
Elqn
늦은 밤에 졸면서 읽었는데, 이 시가 너무 궁금했어요~ 원문 링크 너무 감사합니다 ^^

YG
@이기린 @바나나 이건 예전에 마이클 온다치의 『기억의 빛』 방송하면서 박평이 설명했던 대목과 이어지는 것 같아요. 성장 소설의 화자를 독자는 흔히 작중 설정대로 받아들이지만, 사실은 그때의 일을 회고하는 성인이 된 또 다른 작중 화자로 생각하면 전혀 다른 각도로 이해할 수 있다고. 『기억의 빛』 등장인물 어린 시절 묘사가 흐릿한 대목을 박평이 설명하면서.

기억의 빛제2차 세계 대전기의 영향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한 시기의 영국을 배경으로 한다. 2차 대전으로 공습이 벌어지는 동안 영국의 밤은 늘 앞을 볼 수 없는 어둠에 잠겨 있었고, 소설은 그 암흑 속에서 사랑하고 싸우며 활동했던 사람들과 그 기억에 관한 이야기를 그려 낸다.
책장 바로가기
이기린
아 기억나요. 그렇네요. 현재진행형이 아니라 성인이 된 작중화자의 기억으로.. 그치만 그렇다고 쳐도 너무 생각이 깊어요! ㅋㅋㅋㅋ

borumis
저도 실은 성인이 된 제 기억으로 남아있는 거지만.. 유치원 때부터 혼자 어린이 책 뿐만 아니라 이모 삼촌 방 책장에서 무작위로 고른 어른 책도 많이 읽었는데 그때 아무 생각없이 고른 책들이 기억은 잘 안 나고 아마 제대로 이해도 못했겠지만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을지도 모르겠어요..(사르트르, 마르탱 뒤 가르, 등) 초등학교 1학년 쯤 할머니가 교회를 데리고 다니기 시작하면서 지옥과 천국, 원죄, 영혼, 신과 악마, 창조 등에 대해 여러가지 생각이 많았어요. 그리고 다소 시니컬한 성격이어서 항상 어른들의 위선이나 모순에 대해 삐딱하게 보곤 했는데.. 어쩌면 어릴 적부터 밀드레드 이모에게 양서들을 많이 받아 읽어온 아치는 더 조숙했을지도 몰라요.

YG
@borumis 『4321』 처음부터 끝까지 '돈'이 굉장히 중요한 키워드 같기도 합니다. 반복적으로 "돈이 문제였다" 같은 표현이 여러 차례 나오거든요. 돈이 강제하는 선택의 제약 탓에 바뀌는 삶들. 사실, 세상살이가 그렇기도 하고요;;;

세바공
돈 때문에 나뉘는 사회계층에 따른 같은 시대의 다른 경험도 재밌어요. 분명 등장인물들이 거의 유대인 이민 가족들과 그 주변인들인데 말이죠.
이기린
2.1 읽기 시작했어요. 화이트록이랑 랜드오레이크버터의 그림이 궁금해서 찾아봤습니다. 여기 공유해요.



borumis
하하하 맞아요. 저도 어릴적 저 버터 많이 먹었는데.. 남자애들 상상력(?)은 참 기발하죠..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