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잘하겠습니다. 어렵습니다만. ㅎ
[장맥주북클럽] 2. 『괴로운 밤, 우린 춤을 추네』 함께 읽어요
D-29

고래고래

거북별85
저도 궁금한 점이 예전 쌍용차도 생산직에서는 노조가 있는데 연구직은 노조가 없다더라구요 노조는 현장직분들이 주로 가입하는지 의문이었습니다

고래고래
“ 왕고들빼기, 물봉선, 한련초, 해당화……. 뭐 하고 사느라고 이 좋은 걸 모르고 살았나. 이름 없는 꽃이 하나도 없었다. 나는 가만히 서서 천천히 눈을 감았다. 잔잔하게 부는 바람에서 풀냄새가 느껴졌다. 오가는 사람 하나 없는 길은 고요하고 평화로웠다. 문득 살아 있다는 건 참 좋은 일이란 생각이 들었다. 그때 느낀 기분을 윤하에게도 전해주고 싶었다. ”
『괴로운 밤, 우린 춤을 추네 - 정진영 소설집』 <안부> p287, 정진영 지음
문장모음 보기

고래고래
너는 정말 대단한 일을 했던 거구나. 그리고 무척 외로웠겠구나. 너는 내게 먼저 손을 내밀어줬는데, 나는 너를 끝까지 외롭게 만들었구나.
『괴로운 밤, 우린 춤을 추네 - 정진영 소설집』 <안부> p290, 정진영 지음
문장모음 보기

고래고래
<동상이몽>의 고진에 대한 시비를 보면서 문득 생각났던 건 잠실입니다. 지금은 '강남3구'라고 부르지만, 한 10년 전만 해도 강남 사는 친구들은 강남/서초에 잠실까지만 포함시키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비교가 되냐'고 반문하면서. 서울 어디든 다락같이 집값이 오른 지금은 정말 옛날 얘기 같네요. 부동산 얘기가 많은 사람들에게 일종의 '분노 버튼'이 되어버린 지금은 또 다른 얘기를 하고 있을 것 같기도 합니다.

장맥주
저는 강남 안에서도 테북(테헤란로 북쪽)이 테남 무시한다는 이야기 듣고 한 대 맞은 듯한 기분이었습니다.

고래고래
아.. 테북과 테남... 전 이 이슈를 사실 잘 이해는 못했습니다. 테북이라봐야 압구정/청담/삼성이고, 테남은 대치동/개포동/도곡동 정도로 대표되려나요. 테남은 국내 최고 학원가라는 장점이 있지 않나? 하며 갸우뚱한 기억이 납니다. 물론 재건축 전망과 한강뷰를 따지면 테북이 압도적입니다만.

장맥주
테북이 보기에 테남은 신흥 부자들이고 자기들은 좀 더 오래됐다, 뭐 그렇다고 합니다.

고래고래
아 그렇군요. 근데 다들 고만고만하지 않나요? 72년인가 구반포를 시작으로 강남개발이 시작됐고, 그게 잠실 마지막 착공까지 15년 정도 이어갔고, 그 나이 동서축 넘어 남북축으로 개포, 일원까지 이어졌으니까요. 원래 논두렁, 밭두렁 하던 땅이 상전벽해하기까지 15년 정도면 초반에 들어왔든 나중에 들어왔든 강북 부자들 보기에 우스운 드립인 것 같은데요. ㅎㅎ

장맥주
네, 한 걸음 떨어져서 보면 코미디도 이런 코미디가 없는데... 모르겠습니다. 정말 테북 테남이라는 구분이 있고 테북이 테남 무시하는 건지, 그냥 누가 지어낸 말인 건지요. 저는 '잠실 부심' 같은 것도 어리둥절하더라고요.

고래고래
모든 게 '카더라~' 수준의 얘기이니 정확치 않지만, 강남3구에 송파구를 빼려는 쪽도, '강남-서초-잠실'까지만 인정한다고 얘기했던 쪽도 모두 '잠실 부심'이라고 들은 것 같습니다. ㅎ

느려터진달팽이
어릴 적에 영등포에서 살았는데, 공부 좀 하니까는 팔학군으로 이사가자고 할 때 집을 알아보니 강남은 너무 비싸서 잠실로 왔다는 이야기를 들은 게 생각나네요. 그런데 잠실부심이라니 경기도 사는 이십 년 동안 역전됐나봐요.

고래고래
앞서도 몇 번 얘기했지만, 개인적으로 저는 정진영 작가의 팍팍함(사회파)보다는 따뜻한 이야기를 더 애정합니다. <안부>는 그 중간선을 잘지나가는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몇 년 전 사석에서 전국 자전거 종주를 했다는 얘기에 감탄하면서 듣기도 했고, 다음에 갈 땐 꼭 저도 끼워달라고 해놓고 막상 재작년인가 다시 출발할 때는 이런저런 핑계로 못 따라갔던 아쉬운 기억이 있습니다. 그리고 아마 곧 출간될 장편도 자전거 여행을 메인 소재로 하는 작품임을 알고 있어선지, 꼭 예고편 같은 작품이라는 느낌도 듭니다. 아쉽게도 저희 출판사에서 나오는 소설은 아니지만, 저도 어깨 너머 볼 기회가 있었는데 역시 재미있었습니다. 역시 팍팍함과 따뜻함의 중간선을 잘 지나고 있는 작품이니 기대하셔도 될 듯합니다.

여름섬
필요악이라는 단어를 공간으로 만들면 흡연실이 아닐까 싶다.
학연, 지연, 혈연만큼이나 직장동료와 친해질 수 있는 연줄이 흡연이라지 않던가
『괴로운 밤, 우린 춤을 추네 - 정진영 소설집』 정진영 지음
문장모음 보기

조영주
아오 <안부> 보고 나니 목포에 있다는 평양냉면집과 떡볶이집에 너무 가고 싶슴다. 그나저나 정말이지 뭔가 쌍욕이 나올 뻔한 이야기입니다... ㅂㄷㅂㄷ

꿀돼지
평양냉면집은 참고로 이 집입니다. 목포에 내려가실 때 꼭 드셔보세요. 평양냉면이면서도 평양냉면 같지 않은 맛이 독특합니다.
https://naver.me/GMRmrnO6

거북별85
엄청납니다! 작가님한테서 맛집도 공유받고~~~작가님의 음식묘사에 침이 고이는군요~☺️

꿀돼지
제가 소설을 쓸 때 가장 잘하는 게 음식 묘사여서.
혼자 묘사하면서 침을 질질 흘리곤 합니다.
산문집 『안주잡설』을 쓸 땐 많이 괴로웠습니다.
쓰면서 배가 고파서요 ㅎ

거북별85
아! 그러니까요~ 여름이 다가와서 <안주잡설>은 아무래도 나중으로 미뤄야 할거 같네요~^^;;(다이어트는 아니더라도 체중증량은 피해야하니~)
@푸른태양님이 추천한 <소설은 실패를 먹고 자란다 >를 먼저 읽어야겠어요~~^^

조영주
감사합니다! 목포 한번듀 안가봣심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