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합니다! 그냥 편히 말씀 주세요. 단체 줄넘기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다들 혼자서 줄넘기하는 중입니다. (저 포함...) ^^
[장맥주북클럽] 2. 『괴로운 밤, 우린 춤을 추네』 함께 읽어요
D-29

장맥주

연해
작가님마저ㅋㅋㅋ (ㅋ를 남발하고 싶지 않았는데, 이만한 표현이 없네요. 정말)

장맥주
이게 진짜 단체 줄넘기였다면 저는 누가 같이 뛰자고 할까봐 근처에도 가지 않았을 사람이에요. 몸치+내성적인 성격+민폐 끼치는 거 극도로 싫어함 쓰리 콤보...

연해
작가님이 말씀하신 그 세 가지, 저 또한 누구보다 골고루 균형감 있게 잘 갖추고 있어 격하게 공감합니다.
저는 거기에 하나 더하고 싶은데, 격한(아 근데, 줄넘기는 격한 게 아니려나) 운동 자체를 싫어하는 편이에요(정적인 걸 좋아합니다). 어릴 때 운동회날 단체 줄넘기를 박자 놓쳐서 들어갔다가 그 무겁고 둔탁한 줄에 얻어맞은(?) 적이 있는데, 몸도 아프고 욕은 욕대로 다 먹었던 기억이 불현듯 떠오르네요.
(그러니까 내가 안, 아니 못 한다고 했...)
이 방에서는 부디 그런 불상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눈치 잘 보면서 혼잣말을 중얼중얼 해보겠습니다:)
<혼자 있고 싶은데 외로운 건 싫어>라는 책 제목과 같은 느낌이랄까요(호호).

연해
하하하... @나르니아 님 글 읽고 빵 터졌어요. 너무 공감돼서요.
주말에 일정이 바빠 그믐에 못 들어왔는데, 세상에 이렇게 많은 글이 생겨났을 줄이야!
주말동안 남겨주신 글들 읽는데만 1시간이 넘게 걸렸습니다(다 읽고야 말겠다는 집념).
단체 줄넘기 비유 정말 찰떡이네요. 저도 옆에서 눈치 보면서 몸만 들썩들썩 거리고, 일일이 답글 달고 싶은 흥미로운 댓글들 넘기며 눈치만 보고 있습니다. 옆에서 뛰다가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자연스럽게 합류해야겠다... 싶었는데, 그 포문을 열어 주신 게 나르니아님이세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장맥주
@모임
그믐밤(3월 9일) 잘 보내셨나요? 오늘(10일)과 내일(11일)은 「선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코로나 사태 기간 중에 신문에 실린 엽편이지요.
5. 「선물」을 읽으면서 한 생각이나, 정진영 작가님께 묻고 싶은 질문, 혹은 인상 깊었던 소설 속 문장을 적어주세요.

마키아벨리1
나는 저항없이 해고를 받아들였다. 동종 업계가 줄줄이 무너지고 있었고, 희망은 보이지 않았다. 언제 침몰할 지 모르는 배 위에서 목숨 걸고 싸우는 일은 무의미해 보였다.
『괴로운 밤, 우린 춤을 추네 - 정진영 소설집』 정진영 지음
문장모음 보기

여름섬
재난지원금을 모두 털면, 어머니와 둘이서 배에 적당히 기름칠 정도는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괴로운 밤, 우린 춤을 추네 - 정진영 소설집』 정진영 지음
문장모음 보기

여름섬
이 부분을 읽다가 재난지원금효과로 한우 소비가 크게 늘어났다는 기사를 봤던 기억이 났네요
정말 필요한 사람들에게 지원된 것이 맞을까 어떤 방법의 지원이 맞는걸까 하는 생각을 했던 것 같아요

로미
책이 배송중일 때 전자책 대여해서 미리 읽다가 전자책 오류로 중간에 소설 뒷부분이 끊긴 줄 알았어요. 책으로 보니 정말 3장짜리 소설이었네요. ^^
'나'가 재난지원금을 쓰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참 씁쓸하게 느껴졌어요. 무기력하게 서른 살을 맞았다는 말도 안타깝게 보였습니다. 작가님, 이런 초단편과 장편 작업 중에 어떤 게 더 적성에 맞으신가요?

꿀돼지
아마도 제게 물으시는 질문 같아서 제가 답을 합니다.
저는 저를 장편 작가라고 여기고 있습니다. 장편으로 데뷔했고, 곧 일곱 번째 장편소설을 내는데 소설집은 이 책 하나 밖에 없으니까요. 그리고 시작하는 듯 끝이 나버리는 이야기를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단편을 잘 안 쓰는 편입니다.
작가 지망생이라면 단편을 습작으로 많이 쓰겠지만, 작가로 활동하는 분 대부분은 청탁을 받지 않으면 이런 미니픽션이나 단편을 따로 쓰지 않으실 겁니다. 저도 그랬고요. 제가 이제야 첫 소설집을 냈던 이유도 앞서 언급했듯이 데뷔 후 10년 가까이 청탁을 받은 일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장편은 쓸 때 실패하지 않으려고 잘 쓰는 소재를 다루려고 하는데, 단편을 쓸 때는 장편으로 안 썼던 소재를 많이 다루는 편입니다. 실패해도 크게 부담이 없고, 제가 장편으로 쓰지 않았던 소재도 소설로 쓸 수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어서요. 요즘은 오히려 단편 작업이 더 재미있습니다. 전보다 청탁도 많아졌고요.

선경서재
일기 아니시죠?.... ^^;; 너무나 현실적인 상황에 그 찰나의 순간과 감정들이 전해지네요. 저의 20대의 어느 시절이 떠오르기도 하고요.

꿀돼지
상황은 달라도 20대 중후반부터 30대 초반까지는 주인공과 비슷한 처지와 심정으로 살았어요. 이젠 주인공보다 나이를 많이 먹었지만, 쓰다 보니 그 감정이 생생하게 되살아나더라고요. 가진 건 젊음 뿐인 막막했던 시절의 감정 말이죠.

연해
엽편이었군요. 이번 편은 짧아서 아쉬운 마음이 살짝(아니 실은 많이요. 흑흑) 있었답니다. 저도 위에 로미님 댓글처럼, 전자책 오류인 줄 알았어요. 책장을 넘기다가 다음 소제목이 나와서 깜짝 놀랐버렸다죠. 소재가 너무 흥미로웠는데, 이렇게 감칠맛나게 써주시다니...(작가님, 미워요)
코로나로 온 세계가 무서움에 떨었던 게 엊그제 같은데, 소설에서 다시 만나니 굉장히 먼 과거처럼 느껴졌어요.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라고, 그 말을 다시 한번 실감했습니다.
코로나가 한창 기승을 부릴 때는 마스크를 쓰지 않은 사람들이 두려웠는데, 이제는 길을 걷다가 마스크를 쓰고 계신 분들을 마주치면 혹시 감기? 코로나? 라는 생각에 괜히 주춤하게 되는 괴상한 행태를 취하고 있습니다(제가요).
소설과는 전혀 무관한 말이지만, 저는 결국 코로나에 한 번도 걸리지 않았는데요(지독한 내향형의 인간이라). 회사 직원들도 종종, 너를 생체실험해봐야 하는 거 아니냐며 무서운(?) 소리를 하고, 가족들은 저보고 독하디 독하다고 하더라고요. 허허.

꿀돼지
사실 저도 안 걸렸습니다.아내가 두 번이나 걸렸는데도 저는 안 걸렸습니다. 아내가 제게 너는 왜 안 걸리냐고 화를 내더라고요. 억울하다고. 근데 코감기는 몇 번 걸렸습니다.

연해
으앗, 작가님도 생존자!
저는 혼자 살아서 그렇다 치지만, 아내분과 같이 살고 계신데도 걸리지 않으실 수 있군요. 작가님이야말로 슈퍼면역자가 아닐까요. 이유가 무엇일까, 술이였을까...!
(웃자고 하는 얘기입니다)
저도 감기는 살짝 걸렸는데, 독하게 걸리지는 않았던 것 같아요. 이렇게 팔랑대다가 뒤늦게 걸리는 불상사가 생기지 않기를 바라고 있습니다(겸손해야지, 에헴)

꿀돼지
제가 어렸을 때 몸이 약해 온갖 감기를 달고 살았습니다. 제 느낌적인 느낌으로는 그 시절에 몸에 쌓인 항체가 영향을 준 게 아닌가 싶습니다.

장맥주
다들 한번씩은 걸린 줄 알았는데... 신기하네요. ^^ 좋은 유전자를 지니셨습니다.

꿀돼지
대신 코감기와 목감기는 피해 가지 못했습니다. 코감기는 수 차례 걸렸고요. 코로나만 피했어요. 아닌가. 코로나가 저를 피한 건가요. 아내가 두 번이나 걸렸는데도 안 걸린 게 미스테리입니다.
쩡이
코로나재난지원금...그때 난리도 아니었지요...마스크부터해서 재난물품 배부, 지원자 선정 등 북새통을 이루었었네요. 지금 생각하면 코로나 그게 뭔데 싶네요. 세상 멸망할 것 같이 그러더니 이젠 뭐 어디로 가버렸는지...독감 수준의 질병 갖고 그 난리를 친건지, 세력이 약화된건지...인간들만 자기네들끼리 싸우고 물어뜯고 정작 바이러스 이거는 어디로 가버렸는지...코로나 생각하면 참 어안이 벙벙합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