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당시 해봤지만 실패를; 반면 제 동갑내기 사촌은 성공했었습니다. 구부린 숟가락을 제 눈 앞에서 보여줬었어요! 이게 되는구나 오오. 하지만 그 아이는 자라서 멀쩡히 과학자가 되었습니다. 인생무상~
메가박스 왕가위 감독 기획전 기념... 왕가위 감독 수다
D-29
느려터진달팽이
장맥주
제 주변에도 숟가락 구부리기나 시계 고치기에 성공한 사람이 몇 있었어요. 유리 겔러가 사기꾼으로 판명이 되었는데 당시 숟가락을 구부린 지인들의 사례는 도대체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할지... ^^
Henry
네. 공감합니다...
투자자에 대한 스트레스 때문일지, 아니면 너무 길게 늘어진 제작기간과 지난한 과정 때문에 <동사서독>이 그리되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물론 그 나름의 묵직한 멋짐이 그 시대에 적절했다 싶기도 합니다.
그에 반해, 나름 복잡한 머리를 비우고 정나미 떨어지는 공간을 떠나, 어쩌면 더 절실한 마음이었는지도.., 만든 <중경삼림>이 상대적으로 가볍지만 더 독창적인 스타일로 태어나면서 그 모호함의 스탠스에 음악이 소구하는 매력까지 더해지면서 말씀하는 결과가 나왔다 싶습니다.
장맥주
예술적 야심이 너무 크면 그 무게에 짓눌리기도 하는 걸까요. 비치보이스의 브라이언 윌슨이 비틀즈의 《Revolver》 앨범을 듣고 그 못지않은 앨범을 내려고 오래 칩거했다가 스트레스로 정신질환에 걸려버리고 만 일화가 떠오릅니다. 배우들도 죽을 노릇이었겠지만 왕가위 감독도 《동사서독》 만들면서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었을 텐데 후유증 없이 오히려 《중경삼림》 같은 훌륭한 부산물(?)을 냈으니 관객 입장에서는 그저 감사할 따름입니다.
Henry
비치보이스 이야기, 가슴 아프네요. 예술적 경쟁심과 그 노력 끝에 마주한 절망 때문이었을까요? 때론 끊임없는 나르시즘이나 무념무상으로 툭 털어낸 제로 베이스에서 무언가 새로운 것이 태어나기도 하나 봅니다. 작가님이 더 많이 고민해보신(?) 분야일테지만요.
사계리서점
저는 동방불패에서 임청하님이 종이로 입구 를 막은 동그란 술독을 손으로 종이를 툭 쳐서 열고 벌컥 벌컥 마시는 장면에 치여 한동안 그 분이 나온 모든 영화를 보았었어요.
그 술이 궁금해서 본토(중국) 갔을 때 찾아 봤는데 무려 40- 50도를 오가는 독주였던 것이에요. (순수 알코올과 뭐가 다른 건지? 🤣)
그렇게 아무 정보도 없이 본게 동사서독 였는데 여기서 제가 또 양가휘님에게 반했다지요 (왜 이렇게 청승맞은 인물을)
망각은 인간에게 축복과도 같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어요.
만약에 황약사가 “취생몽사“를 건넨다면 마실 의향이 있으신가요.
과거에 얽매여 자유로워질 길이 그 뿐이라면 저는 기꺼이 마실 것 같아요.
이런 맥락으로 ”이터널 선샤인“이 문득 떠올라요. (영화)
장맥주
취생몽사 정말 인상적이고 매력적인 장치이지요. 저는 《동사서독》의 주제가 ‘회한’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런 테마가 사물의 형태로 형상화된 게 취생몽사라고 생각해요. 《동사서독》에 등장하는 인물 대부분은 그런 회한을 뼈아프게 품고 있죠. 사랑한다는 말을 들어야겠다는 자존심이나 최고의 고수가 되고 싶다는 욕망, 자신을 배신한 배우자를 용서할 수 없는 마음, 가문을 이어야 한다는 의무감 등등 때문에 가장 소중한 것을 버리고는 돌이킬 수 없는 지경이 되어서야 그 사실을 아프게 깨닫는... 유일한 예외가 홍칠공인데 그래서 홍칠공의 에피소드가 상쾌합니다. 장국영과 장만옥의 사연을 소개하기 전에 ‘회한 없는 사람’을 보여줘서 대비시키기 위한 에피소드라고 해석하고 있습니다.
저도 살다 보니 회한 한두 개 정도는 생겼는데 가끔은 그냥 떨쳐버리고 싶어서 괴롭습니다. 그런 때 취생몽사가 옆에 있다면 마실 것인가. 머리로는 그게 슬픈 일이며, 흉터도 제 개성의 일부라고 여기는데 어느 날 갑자기 들이켜게 될지도 모르겠어요. (상처도 삶의 일부라는 메시지를 담은 영화가 《이터널 선샤인》 아니었나 싶습니다.)
그런데 한국어에서 취생몽사라는 사자성어는 전혀 다른 의미더군요.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술에 취하여 자는 동안에 꾸는 꿈 속에 살고 죽는다는 뜻으로, 한평생을 아무 하는 일 없이 흐리멍덩하게 살아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장맥주
왕가위 감독은 그런 회한의 감정을 잘 묘사하는 예술가라고 생각합니다. 양조위가 앙코르와트 사원의 구멍에 얼굴을 대고 관객에게는 들리지 않는 말을 속삭이는 《화양연화》 마지막 장면이 대표적이고요. 영화 자체는 별로였지만 《일대종사》에서 장쯔이가 “만일 인생에 후회가 없다면 사는 게 얼마나 재미없을까요?”라고 하는 대사도 인상적이었습니다. 《2046》에서 양조위는 취생몽사가 없어서 시작부터 끝까지 회한에 몸부림치는 것 같았습니다.
종종 왕가위와 하루키가 비교되는데, 하루키의 ‘상실감’은 왕가위의 ‘회한’에 비하면 다소 나른하다고 생각합니다.
미스와플
여기 홍콩과 중국을 아우르는 영화와 소설들의 대가들이 찐 내공을 겨루시어 무협을 능가하는 천하의 대결을 보는 것 같습니다. 달팽이님은 느려터지기는 커녕 몇개의 산을 뛰어 넘으시고 사계리 서점님도 서점과 비디오 대여점서 쌓으신 내공으로 천하를 주유하십니다. 조용한 가운데 깊은 내공 쌓으신 헨리님 계시고요. 마디마디홉~~~
장맥주
《동사서독》에서 알 것 같기도 하고 모를 것 같기도 한 장면이 하나 있는데... 양조위가 죽으러 가는 길에 갑자기 양채니에게 강제로 키스를 하잖아요. 이 장면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
Henry
가물거리긴 하는데... 제 기억으로는 다른 사람(아마도 황약사)을 사랑하게 되버린 아내를 닮은 여인, 양채니를 아내로 여기며 죽으러 떠나기 전에 키스하는 느낌이었습니다. 그렇게 떠나는 양조위를 보며 양채니가 흐느껴 울기도 한것 같은데, 그건 왜였는지 모르겠습니다.
장맥주
제 기억에는 양채니가 운 것은 그냥 성추행을 당한 분함에 운 거 같았습니다. ^^
느려터진달팽이
부끄러움도 없이 이걸 여기에 올려봅니다;
https://youtu.be/kaWj0kr1dlQ?feature=shared
지금
우오ㅓ아.. 너무 잘들엇어요!
느려터진달팽이
감사합니다 👍 동사서독이 그런 깊은 영화였군요
장맥주
오, 멋집니다. 영웅본색 영화는 안 봤지만 저 음악은 자주 들어서 익숙하네요. 그런데 저 악보를 아직도 가지고 있으시다는 점이 제일 신기합니다. ^^
미스와플
아아 이 노래! 이 노래에요! 이걸 피아노로!
느려터진달팽이
어제도 내친 김에 문득 쳐보았어요~ 마침 비도 오고 말이죠^^ 그런데 피아노를 쳤음에도 왜 스트레쓰가 안 풀리지;; 공무원 사회 적응하기 힘든가 보다 ㅋ 싶었어요.
수북강녕
@느려터진달팽이 앗 ^^ 이탈리아그림책방 뚜띠(=다국어 도서관 안디아모)에서 달팽이님 연주를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
느려터진달팽이
앗 역시 그때 오셨었죠? 제가 그 전해 그믐날에 그믐밤에 처음(이자 마지막 at present)으로 갔었을 때 팥죽을 안드셔서 얘기도 잠시 나눴던 것 같은데, 그 때만 해도 우린 마스크를 쓰던 시절이었고 마스크를 벗으니 그 분이신가 아리까리 했었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