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무진 작가와 귀주대첩을 다룬 장편소설 <여우의 계절>을 함께 읽어요

D-29
둘 다 재미있는데요! (아직 다 안 읽었지만요.) "김유신의 머리일까?" 도입부가 엄청 강렬합니다. ^^
저는 김유신도 좋았심다. 참고로 해인-모크샤 시리즈는 진짜... 세 번 봐야 하는... ... 왜지 무협지도 아닌데... ... 스아실 작고하신 저희 친할머니께서 이순신 장군 후손중 현충사서 태어난 마지막 후손 연배 때이신데 할머니 생각이 자꾸 나더라고요... 그래서 작가님이 말씀하시는 "이순신 안 잘생겼다"가 뭔지 막연히 알겠더라고요. 저희 할머니 사진이 한 장도 안 남아있는데(제 수중엔) 희한하게도, 사람들이 말하는 "실제 이순신의 얼굴"과 상당히 닮은 꼴이십니다... (아 이거 우리 할머니 욕보이는 일인가...) 이순신 영정 그림은 오히려 저희 외가쪽 삼촌들이랑 비슷하시더라고요.
<엄마는 좀비> 가볍게 재미있게 보았었는데 그런데 언급되는 다른 소설들과는 완전 다른 분위기, 의외의 작품이셔서 어랏?! 했어요~
[엄마는 좀비]는 청소년 소설로, 분위가가 가볍고 즐겁게 잡았습니다 ㅎㅎㅎ
화제로 지정된 대화
독서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구주성과 구주대첩이 있던 당시의 지도를 올립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이쯤에서 슬그머니 @차무진 작가님 허락맡은 북신의 얼굴을 공개합니다! 자세한 이야기는 작가님이 해주실 거라며.
화제로 지정된 대화
독서에 참고하시라고 내륙길과 해안길을 표기한 지도를 올려봅니다.
오, 이렇게 보니 바로 이해가 됩니다. 면지에 이 지도가 있었으면 유용했을 것 같습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마지막으로 북신의 이미지를 올립니다. 74페이지를 읽으실 때 참조하세요 북신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제가 상상한 이미지입니다. ^^ 왼쪽 칼을 들고 있는 존재가 [부동명왕] 이고 오른쪽이 아미타불입니다. 소설 속에서 설명이 되어 있지만, 고려 북계에 사는 토민들은 이 두 존재를 합친 형상을 만들어 북신이라고 믿었습니다.
74페이지와 더불어 99페이지에도 북신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습니다.
오호~ 이런 자료 좋아요. 책 읽는 재미를 더해 줄 듯 합니다. 작가님과 함께 하니 더 풍성하네요. ~^^
와 진짜인 줄 알고 읽었는데 창작이라니. 대단하세요👏
제가 본 신의 이미지 중에 젤 멋졌어요. 반반씩 섞인 얼굴...게다가 설파하신 종교관?도 마음에 들었고요.
감사합니다. 이 종교 진짜로 창시할까봐요 ㅎㅎㅎㅎ
아까...창시라는 단어가 생각이 안났는데...감사합니다 ㅎㅎ
진심 창시하시면 전세계적으로 k종교...?
동북 3성에서 포교를...
화제로 지정된 대화
『여우의 계절』 함께 읽기 일정표 ~2/17: 소설을 이미 읽으신 분, 또는 읽을 준비를 하시는 분, 읽고 계신 분 상관없이 자유롭게 썰을 풉시다. 차무진은 소설 속에 등장하는 여러 테마들을 이미지로 선 보일 수 있고, 또 관련된 이야기를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이야기라도 좋습니다!!! 글 써주세요!! 2/18~2/19: 프롤로그 ~ 북신사당(90페이지)까지의 이야기 (전부 읽으신 분들은 스포가 되지 않은 선에서 자유롭게 엔딩까지 이야기해요!) 2/20~2/23: 남경말을 쓰는 노인 ~ 원숭이탈의 비밀(240페이지)까지의 이야기 (전부 읽으신 분들은 스포가 되지 않은 선에서 자유롭게 엔딩까지 이야기해요!) 2/24~2/25: 소금전각 ~ 현무의 끈(373페이지)까지 (전부 읽으신 분들은 스포가 되지 않은 선에서 자유롭게 엔딩까지 이야기해요!) 2/26~3/1: 엔딩 3/2~3/12 : 자유롭게 토론
아무 이야기나 자유롭게 해도 되는 기간이라고 하셨으니 작가님께 궁금한 것들 여쭤봅니다. (1) 당시 물건이나 풍습이 정말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자료 조사를 어떻게 하셨는지 너무 궁금합니다. 영업 비밀을 알려달라는 느낌이라 여쭤보기 송구하네요. (2) 고려사, 고려사절요, 고려도경, 요사, 송사, 손자병법, 맹자 등 다양한 문헌에서 인용문이 나오는데 이 책들을 전부 다 읽으신 건가요? (3) 이건 약간 농담성 질문인데요, 책에서 묘사되는 강감찬 장군의 모습에 대해 관악문화재단이 어떤 반응이었는지 궁금합니다. ㅎㅎㅎ
@장맥주 (1) 네, 풍물집과 제례집, 그런 책들을 보이는 대로 구입합니다. [국학도감]이라는 1970년에 일조각 사에서 나온 책이 있어요. 어렵게 구했는데 거기에는 그림과 우리 조상들이 사용하던 물품들이 이름과 함께 잘 정리되어 있어요. 또 성곽과 우리건축, 토목에 관한 책도 닥치는 대로 사모았어요. (그건 늘 필요하더라구요) 주로 당대에, 또는 그 명칭에 맞는 단어를 찾아서 소설 내에서 쓰는 건데요, 사실 소설에서 일반 독자에게 낯선 단어와 사물을 적시하는 거여서 거부감이 들거나 위험할 수 있지만 그런 작업이 나름 내용의 풍미를 더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낯선 단어이기에 주를 달아 이해하기 편하게 설명을 해드려야 하구요) 아무튼 그런 책도 참고하고...그리고 고려시대 군사제도, 복식, 기마전연구사, 거란사, 고려 식음생활사, 한국 군사사 등의 책을 사모았어요. 이런 팩션 작업을 한번 하면, 책값도 많이 들고...한두 문장을 쓰기 위해 반나절을 보내야 하는 일도 많아서....땃짓도 하고 밍기적거리면서 일했어요. ㅎㅎㅎ (꼭 자랑하는 같아서 더 쓰기 민망해요 ㅠㅠ) 국학도감의 이미지는 올려드릴게요. (2) 네, 사서의 해당 시기의 글은 전부 읽어야 했습니다. (전부가 아닌 해당 시기의 내용을 읽으면 사실 많지 않아요. ㅎㅎㅎ) 긜고 국사편찬위원회의 DB( https://db.history.go.kr/KOREA/ )를 이용했습니다. 사서들을 전부 일목요연하게, 또 검색도 쉽게 가능해요. (한글로 번역이 되어서 읽기 편해요) 나머지는 논문을 전부 출력했습니다. 다른 기록들은 구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는데 북한의 논문들과 [요사]는 구하기 힘들었어요. (3) 재단에서는 저의 작업, 그 어떤것도 관여하지 않았는데요, 관계자들이 최종고를 보시고 무척 마음에 들어하셨던 걸 기억해요. 저는 우리네 장군님 모습들이 근엄, 절체, 카이저 수염 등의 교과서 모습을 예전부터 좋아하지 않았어요. 구한 말에 영국 화가인 '엘리자베스 키스'가 남해 제승당에 걸린 진짜 이순신 장군의 초상화(아쉽게도 소실되었어요)를 보고 따라 그린 그림(그건 남아있어요)을 보면 이순신 장군의 모습은 몹시 못생겼어요. 현충사의 김무생 배우님을 닮은 이순신이 아니었어요. 이순신을 직접 보고 쓴 어느 기록에도 '이순신은 입술이 뒤집혔고 복없는 얼굴이다' 라고 나오니까요. 강감찬은 더 했습니다. 못 생겼다는 말을 아예 대놓고 기록하고 있어요. 저도 소설에서 최대한 엉망진창으로 그리려고 했고, 관악재단에도, 출판사에도 그런 엄포(?)를 놓았더랬어요. 최수종 아닙니다. 최수종으로 기대하면 안됩니다! 이렇게요. ㅎㅎㅎ 강감찬은 뒷머리에 고작 몇가닥 없는 머리카락으로 상투를 겨우 잇는 대머리 영감일거라고요. ㅎㅎㅎ 아무튼 이번 대원수의 외형은 저도 좀 마음에 들었다고나 할까요. 읽는 분들께도 멋진 강감찬 장군이 되었길 바랍니다.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그믐북클럽X토프] 25. 지금, 한국 사회를 생각하며 ①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경계를 허무는 [비욘드북클럽] 에서 읽은 픽션들
[책 증정]  Beyond Bookclub 12기 <시프트>와 함께 조예은 월드 탐험해요[책 증정] <오르톨랑의 유령>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9기 [책 증정] <그러니 귀를 기울여>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3기 [책 증정] <지구 생물체는 항복하라>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2기
연뮤클럽이 돌아왔어요!!
[그믐연뮤클럽] 6. 우리 소중한 기억 속에 간직할 아름다운 청년, "태일"[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나 혼자 산다(X) 나 혼자 읽는다(0)
운동 독립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현실 온라인 게임
[그믐클래식] 1월1일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4월의 그믐밤엔 서촌을 걷습니다.
[그믐밤X문학답사] 34. <광화문 삼인방>과 함께 걷는 서울 서촌길
셰익스피어와 그의 작품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1. <세계를 향한 의지>[북킹톡킹 독서모임] 🖋셰익스피어 - 햄릿, 2025년 3월 메인책[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봄은 시의 세상이어라 🌿
[아티초크/시집증정] 감동보장!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아틸라 요제프 시집과 함께해요.나희덕과 함께 시집 <가능주의자> 읽기 송진 시집 『플로깅』 / 목엽정/ 비치리딩시리즈 3.여드레 동안 시집 한 권 읽기 13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STS가 궁금하다면?
STS SF [응급실 로봇 닥터/책 증정] 저자들과 함께 토론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①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브뤼노 라투르 외)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③ 판도라의 희망 (브뤼노 라투르)고려대X포스텍 <STS, 과학을 경청하다>독서모임
AI로 난리인 요즘!
[도서 증정]《미래는 생성되지 않는다》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김영사/책증정] <AI 메이커스> 편집자와 함께 읽기 /제프리 힌턴 '노벨상' 수상 기념『AI 2045 인공지능 미래보고서』 혼자 읽기AI 이후의 세계 함께 읽기 모임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