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임 스케쥴을 지키지 못하고 어젯밤에 마저 다 읽어버렸습니다. 연쇄적인 반전이 충격적(?)이었습니다. 딱 반전 부분에서 "근데 왜 매화는 계속 자고(?) 있는데 굳이 쌍둥이로 등장한 거지"라는 생각이 들고, 초반부 젊은 수염의 행보도 잘 이해가 안 되었는데 다 이유가 있었던 것이군요. ㅎㅎ
서술트릭이 있어서인지 제가 꼼꼼하게 안 읽어서 그런지 잘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몇 가지 있네요.
1. 초반부에 죽화와 짧은 수염을 만났을 때 장면이 많이 헷갈립니다. 그때 이미 죽화는 매화의 몸으로 들어간 것인지, 혼령의 상태인지.. 매화의 몸으로 등장했다기에는 이후 좀비 같은 매화는 추가로 나오고, 혼령이라기에는 패물을 넘겨주고, 아기를 들고 있는 등 육체를 가진 행동을 하고 있어서..그리고 대정은 죽화가 애꾸를 죽인 걸 어떻게 알고 있었던 걸까요? 죽화의 착란인 걸까요?
2. 결말부에 각치는 왜 아기를 두고 간 걸까요? 대마신군의 행방은 여전히 알 수 없는 상태였는데요.
차무진 작가와 귀주대첩을 다룬 장편소설 <여우의 계절>을 함께 읽어요
D-29

홍코

차무진
@홍코
아, 정말이지 멋진 질문이에요. 그 지점은 맥락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지점이기도 하고요, 또 작가와 독자의 페이크 싸움이기도 한데요, 또 작가가 영상적, 서술적 기술로 오류를 숨기는 행위이기도 해요.
1번 질문에 관한 답은 456페이지 밑에서 2번쨰 줄에서 확인될 겁니다. 그 물건은 애초부터 그 자리 그대로 있었지요. 그러니 질문의 장면은 아마도......많은 드라마, 소설, 영화 등에서 유기 속성이 아닌 것들을 형상화할때 물리를 무시하고 독자(시청자)에게 보여주는 것을 허용합니다. 흐름상 서사(플롯)이 더 중요하니 그러한 것이죠. 본격미스터리나 밀실 등의 현실 과학적 오류가 없어야 하는 추리물에서는 그것이 매우 불합리한 장치이지만, 이 소설처럼 그것보다 느슨한 것들의 서사에서는 충분히 용인하는 것이죠. 그러한 장면들은 작중에 많이 나옵니다. 법당에서 담문이 죽는 장면도 어찌보면 같은 구도일 것입니다. 캐릭터의 본질이 드러나기 전의 상황이 표현된 장에서 오직 그 캐릭터만 그러한가, 캐릭터가 만진 것, 던진 것, 토한 것 들은 왜 물리적이지 않은가? 하는 의문은 독자에게 당연히 존재합니다. 주머니 또한 동류의 기질로 이해해주세요. 짧은 수염과 둘이 만날 때 죽화는 늘 자신의 본질상태였을 겁니다. 그때 주변의 상황, 죽화가 들고, 만지고, 하는 것들은 죽화의 본질과 함께 그러한 것으로 인용된, 마치 연기같은 것이고, 작가는 그 지점을 파고들어 서술트릭을 시전하는 것입니다.
2. 각치가 숲에 훔친 아기를 놓고 가지요. 왜 그럴까요? 이건 제가 되려 문제를 낼까요?
1) 강감찬이 대마신군은 반드시 돌아온다는 믿음의 말을 하자 더는 인질이 필요없다고 생각했기에.
2) 숲에 숨은 자를 깨닫고, 그것을 두면 목숨을 살릴 수 있다고 믿었기에.
3) 1)과 2) 둘다
4) 더는 그런 것들이 의미가 없다고 믿었기에
5) 냠냠, 먹이로 삼으려 했다가 포기했기에

장맥주
보기 중에 골라야 하면 4번, 새로 답안을 써낼 수 있다면 "6번) 멋진 남자라서"로 하겠습니다. ^^

차무진
오호호!! 그게 정답이겠군요!!! 역시 독자는 글쓴이보다 더욱 정확하다는 말이 맞는 것 같네요!!!

장맥주
오호호!! 작가님께 칭찬 들어서 좋습니다. ^^ "김유신의 머리일까?"도 순식간에 다 읽었습니다. 와... 이 작품도 뒤에 생각도 못한 반전들이 몰아치네요. 너무 재미있었습니다.

차무진
@장맥주 으아아. 작가님. 너무 과찬을 해주셔서 저 진짜 몸둘 바를....ㅠㅠ

장맥주
정말 재미있었습니다. 지금은 "엄마는 좀비"를 읽고 있습니다. ^^

조영주
아 그 영상화가 확정되었다는 명작을 보고 계시는군요!

장맥주
와, 영상화 확정 작품이군요! 머릿속으로 가상 캐스팅해가면서 읽겠습니다. ^^

차무진
으아아아. 그 책도요? ㅠㅠ 그건 청소년 소설이어서 조금은 가볍 가볍, 라이트합니다!!!!

장맥주
엄마가 좀비면 아주 암울한 상황 아닌가요. ^^

차무진
암울하죠. 엄마를 가두고 처치해야할 지경에 놓였으니까요 ㅎㅎㅎㅎㅎㅎ

장맥주
청소년 소설인데 패륜 소설... ^^

siouxsie
요새 저희집 60킬로 꼬마가 자꾸 패드립이 어쩌고 하던데....읽혀야겠네요

차무진
네 엄마는 좀비을 자녀분에게 추천해주세요. 중고등학생들에게 아주 인기 있답니다!!

siouxsie
초딩 4학년 올라가는데 괜찮을까요? ㅎㅎ 자긴 아직 글씨만 있는 책은 읽을 나이가 아니라고 우기네요

차무진
@siouxsie
네 초등4학년은 [엄마는 좀비] 즐겁게 읽을 수 있습니다. 초등 4학년이 [여우의 계절]은 무리이고요 ㅎㅎ

차무진
패륜에다가 종속살인(?) ㅎㅎㅎ까지??ㅎㅎㅎ

홍코
오, 역시 그런 상태였군요. 작가님께서 직접 설명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사실 반전 부분에서 "엥?"하고 앞으로 돌아가 다시 읽으니 죽화와 대정이 만날 때 "짧은 수염"이 아니라 "짧은 수염을 한 사내"라고 나오더라구요ㅋㅋ 얼굴이 잘 안 보인다는 묘사도 나오고. 당했구나 싶었습니다ㅎㅎ 아기를 두고 간 부분은 다 답이 될 수 있을 것 같은데(5번은 좀ㅋㅋ) 저는 왕이 준 수리부엉이조차 귀찮아하는 각치라는 인물을 봤을 때 4번에 더해서 원숭이탈과 전쟁이라는 거대한 군나를 치르기 위해서라고 해석하고 싶습니다.

차무진
좋은 의견입니다!!! 사실 이건요, 제가 느슨하게 의미를 두지 않고 쓴 바도 있습니다. 읽으신는 분들이 다양한 해석을 하실 수 있게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