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고 보니 같은 구절! ㅋㅋㅋㅋ
밤책
D-29
Hyoung
DAL
“ 쉬는 걸 보이지 않아야 쉴 수 있는 사람들이 있다. 고쳐져야 하는 건 보이는 인프라나 환경만이 아니라 이들을 어둑한 땅속으로 밀어넣고서 깐깐한 고용주라도 된 것처럼 노동과 쉼을 고작 자신의 눈에 띈 장면만으로 평가하는 무례함이다. ”
『고통 구경하는 사회 - 우리는 왜 불행과 재난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가』 p.124, 김인정 지음
문장모음 보기
Hyoung
마음이 아팠던 문장...아파트 뿐만아니라 학교에도 회사에도 마트에도 어디에나 있고 대게는 비슷한 상황에 놓여있는, 우리 주변에 아주 가까운 사람들...
모리이
“ <공감의 배신>에서 폴 블룸이 이갸기했득, ‘공감은 형편없는 도덕 지침’이다. 그의 말에 따르면 ‘공감은 지금 여기 있는 특정 인물에게만 초점이 맞춰진 스포트라이트’와도 같아서 ‘그 사람들에게 더 마음을 쓰게 하지만, 그런 행동이 야기하는 장기적 결과에는 둔감해지게 하고, 우리가 공감하지 않거나 공감할 수 없는 사람들의 고통은 보지 못하게 한다.’ ”
『고통 구경하는 사회 - 우리는 왜 불행과 재난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가』 148, 김인정 지음
문장모음 보기
모리이
“ 오드리 로드는 ‘내 말 좀 들어달라고 울부짖는 곳에서, 우리는 이들의 언어를 적극적으로 찾아내 함께 읽고 서로 나누며, 그 말이 우리 삶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고 말했다. 이 문장의 주어는 ‘여성들’이었지만, 어떠한 다른 고통받는 타인으로 바꾼다해도 그 의미는 통할 것이며, ‘우리 삶과의 관련’은 닮음이라는 단순한 공통점 너머에도 분명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
『고통 구경하는 사회 - 우리는 왜 불행과 재난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가』 155, 김인정 지음
문장모음 보기
모리이
“ 상실의 과정에서 인간은 기억을 재료로 애도를 이어간다. 우리가 잃은 것이 무엇인지를 끊임없이 논의하고 되새겨야 하는 공적 애도의 상황에서, 언론이 들려주는 이야기가 대개 기억에 관한 것이라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이때의 애도는 문장으로 완성하고, 이음새를 잘 봉합해야 한다. ~ 파편으로밖에 남을 수 없는 외로운 사적 애도를 위해 공동체가 함께해 줄 수 있는 일은, 왜, 무엇을 어떻게와 같은 구성성분이 제자리를 찾도록 하여 이야기를 완성시키는 것 정도다. 공적 애도에서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자주 화두가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
『고통 구경하는 사회 - 우리는 왜 불행과 재난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가』 260, 김인정 지음
문장모음 보기
DAL
요 문장 나도 밑줄쳤어요.
Hyoung
나도!
conormj
“ 그렇지만 우리는 정말 약자를 위해서 말하고 있나. 자신의 고통을 특별한 서사로 만들어줄 것을 기대하며 취약한 부분을 드러낸 사람들을 제대로 지키고 보호하고 있나. 뉴스 뒤에 이어질 그 사람의 삶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나. 모자이크를 하면 될까. 이름을 가려주면 그만일까. 재연 배우를 썼다면 조금 더 과감하게 카메라를 움직여도 되는 걸까. 나는 다시 저울을 들고서, 보여줌의 효용성과 유해성 사이에서 취해야 할 균형이 무엇인지를 따져보게 된다. ”
『고통 구경하는 사회 - 우리는 왜 불행과 재난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가』 224, 김인정 지음
문장 모음 보기
conormj
“ 그래도 드물게, 크고 작은 문제들이 매듭지어지는 순간들이 있었다. 그래서였을까. 뉴스룸의 속보 경쟁에서 내려와 직접 카메라를 들고 다큐멘터리를 만들었을 때도 결국 고통이 보였다. 좋은 사람이 아니게 될 가능성을 겁내면서도 '직업의 땔감'으로 고통을 다루고 있는 건 아닌지 되묻게 되었지만 그쪽으로 자연스레 다시 눈이 갔다. 연민을 느껴서? 외면할 수 없어서? 해결해 보고 싶어서? 숱한 사례 중에 바로 이게 지금 이야기되어야 할 시대적 문제라는 판단이 들기 때문에?
아직 답을 다 찾지는 못했고, 여전히 타인의 고통을 집어들어 바라보고 있다. ”
『고통 구경하는 사회 - 우리는 왜 불행과 재난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가』 226, 김인정 지음
문장모음 보기
DAL
“ 고통을 언제 보여줘야 하고 언제 보여주지 말아야 하는가? 우리는 어떤 고통에서 눈을 떼지 말아야 하고 응시를 참아내야 하는가? 고통을 얼마나 보여주고, 또 가려야 하는가? 보여주기의 윤리와 보여주지 않기의 윤리는 누구를 지키는 것이며 누구를 위한, 향한 것인가? ”
『고통 구경하는 사회 - 우리는 왜 불행과 재난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가』 p.167, 김인정 지음
문장모음 보기
DAL
“ 지역민의 서울 선망과 서울에서 지역민으로서 겪은 차별과 수치의 경험, 지역 뉴스가 중앙 뉴스에서 소외되는 이유는 서로 다른 구조적 오류에서 출발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 기억들은 개인적이지만 보편적이다. 서 울 집권화는 우리 삶에 스며있다. 서울 집권화는 뉴스 산업 안팎에도 고루 배어있다. 원인에 영향을 미치고, 그 자체가 결과의 일부이기도 하다. ”
『고통 구경하는 사회 - 우리는 왜 불행과 재난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가』 p.186, 김인정 지음
문장모음 보기
DAL
“ 맥락이 있는 사회 문제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보도할 것인지가 매우 의도적인 선택이며, 맥락이 있는 사건에서 맥락을 도려낸 채 겉으로 드러난 현상만 '공평한 비율'로 나열하는 건 실상 중립과 거리가 멀다. '갈등'이나 '논란'이라는 말을 제목으로 단 기사가 (중략) 중립적인 척하는 데 불과하지는 않은지, 맥락을 자르지는 않았는지, 갈등과 논란을 단순히 중계하고 있지는 않는지, 중계한다는 명분으로 갈등을 재생산하거나 오히려 부추기고 있지는 않은지, 그러니까 언론 스스로가 갈등을 만드는 행위자가 되고 있지는 않은지 우려되어서다. ”
『고통 구경하는 사회 - 우리는 왜 불행과 재난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가』 p.202-203, 김인정 지음
문장모음 보기
DAL
최근 5년...거주지가 수도권에서 지역으로 옮겨오면서, "지역은 사정이 다르다"라는 지역사람들의 말을 완전히 이해하기까지 한...3년 정도 걸린 거 같다. '나는 완주에 온 지 5년이 넘었으니 이제 완주사람'이라는 생각을 하면서도 한 켠 '그래도 나는 서울에서 자라고 배운 사람이야'라는 생각을 아주 안 하기가 어려운 듯. 가족, 학연, 지연 등 모든 연고가 전라도인 사람들이 주변에 제법 있는데, 이주민인 나는 여기서 정말 혼자고 기댈 곳도 나를 지지하거나 지원해줄 자원도 없다는 생각을 하지만, 또 언제든 상황에 따라 여기를 가볍게 떠날 수도 있다고 생각해서 그게 아주 서운하지도 않아.
DAL
“ 저항을 무효화하는 효과적인 방식은 억압된 자들이 들고 일어났을 때 저항이야말로 갈등의 범인이라고 지목하는 것이다. 이는 원인과 결과를 뒤집는 일이다. 왜 이런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교묘하게 맥락을 지우는 일이다. 언론은 갈등상황을 '화해'가 필요하고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라며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다. (중략) 사회적 갈등의 효용은 매우 분명하다. 구조적인 오류를 수정하고 해결할 수 있는 기회다. 억압의 맥락을 자른 보도는 억압을 재생산하고 기존 질서를 공고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곤 한다. ”
『고통 구경하는 사회 - 우리는 왜 불행과 재난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가』 p.206-207, 김인정 지음
문장모음 보기
Hyoung
3장 내 원픽 문장이었는데... 중략한 부분까지 같네??? 소오름....ㅋㅋㅋ
DAL
ㅋㅋㅋ
DAL
“ 많은 경우 언어와 기술, 자원은 동등하게 주어져 있지 않다. 자신의 고통을 더 잘 말할 수 있는 계층과 계급, 무리가 정해져 있게 마련이다. 고통을 잘 말한다는 건 그러니, 때론 부족한 자원을 두고 벌이는 각축전에서 우위를 점하게 하는 방법론이 되기도 한다. ”
『고통 구경하는 사회 - 우리는 왜 불행과 재난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가』 p.223, 김인정 지음
문장모음 보기
DAL
“ 그들의 살갗과 나의 살갗의 색이 비슷하지 않다는 감각은 나와 덜 닮은 고통에서 나를 분리하고, 몰아내고는 했다. 모국의 공동체 안에서는 허우적대지 않고 바로 잡아채 느낄 수 있었던 직관적인 감정이입으로부터 나를 걷어차 내는 것만 같았다. (중략) 이러한 염려 위로, 백인 기자들이 세계 분쟁 지역 어디에서든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그 사안의 최고 전문가인 양 특파원으로서 보도를 한다는 사실이 불편스레 포개져 올 때도 있었다. ”
『고통 구경하는 사회 - 우리는 왜 불행과 재난에서 눈 을 떼지 못하는가』 p.246, 김인정 지음
문장모음 보기
DAL
“ 한 공동체가 슬퍼하기로 결정한 죽음을 들여다보면 그 사회가 욕망하는 사회의 모습을 알 수 있다. '우리'가 무엇을 잃었는지를 생각하도록 주어의 영역을 확장해준다. '무엇을 애도하는 사회인가', '이 죽음은 애도할 만한가'라고 질문을 던지고 답변하는 과정은, 적어도 그 사회에 무엇이 결핍되어 있는지 정도는 눈치챌 수 있게끔 한다. ”
『고통 구경하는 사회 - 우리는 왜 불행과 재난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가』 p.259, 김인정 지음
문장모음 보기
참여 제한 모임입니다
참여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