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와, 아슬아슬한 발제를 하십니다. ^^
저는 민주주의나 시장경제가 운용법을 제대로 익히기 어려운 매우 섬세한 시스템이라는 생각을 해요. 그래서 국민들의 평균적인 소득과 교육 수준이 절망적으로 낮고 정치적으로도 무정부 상태나 다름없는 저개발국가에는 차라리 국제기구가 들어가서 몇 년간 신탁통치를 하면서 치안도 유지하고 인프라도 건설하고 교육 사업도 활발히 펼치는 게 낫지 않을까 하는 그야말로 위험한 생각을 가끔 해보기도 합니다.
조금 결은 다르고 제 기억도 정확치 않은데 또 다른 프리드먼인 토머스 프리드먼이 9.11 직후 이라크나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미국의 군사 개입을 반대하면서 차라리 거기에 학교를 많이 세워주자고 했던 게 생각납니다. 모든 면에서 군사작전보다 훨씬 더 좋은 결과를 나았을 제안이었다고 봅니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02. <경제학자의 시대>
D-29

장맥주

소피아
신탁통치하면서 치안유지+해외원조했던 대표적 예가 아프가니스탄이었잖아요? 아프가니스탄에 십년 넘게 돈 퍼부은 미국이 두손 두발 다 든 이유가 탈레반도 탈레반이지만, 아프가니스탄 지도부의 부정부패 때문이었대요. 밑빠진 독에 물붓기하다가 오바마 행정부때 부통령이었던 다혈질 바이든이 날아가서 만찬장에서 “니들 이따위로 할래? 이런 투로 벌컥 화를 낸 걸 다큐멘터리에서 봤어요. 그래서 2-3년 전에 욕 많이 먹으면서도 바이든이 예정대로 아프간에서 철군한 것도 (철군 약속은 트럼프가 했음에도) 부정부패에 넌더리 나서라고.. 현재도 여러 곳에서 비슷한 예가 많지 않을까요?

장맥주
앗... 사실 제가 잘 모릅니다. ^^;;; 그런데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을 말씀하시는 거라면 미국의 원조를 받는 친미 정권이었고 또 미군이 내내 주둔하고 있기는 했어도 미국이 신탁통치를 한 건 아니지 않았나요? 행정과 통치는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이 스스로 한 것 아닌지요? 저는 코소보 전쟁 때 서방이 개입해서 이후 UN이 코소보를 관리하면서 정치 체제를 만들었던 거 같은 형태를 생각했었어요.

소피아
맞아요. 행정과 통치는 스스로 했으니 신탁통치는 아니고 (미국 이 넌더리낸) 친미 정권이었습니다. 제가 “신탁통치”개념이 정확히 없네요..

느려터진달팽이
그랬었군요.

소피아
저..저기, 저기요.. 제가 모르는 사이에 ‘고수’라는 단어 뜻이 바뀌었거나 (그냥 아무 말 많이 하는 자?), 말씀하신 고수가 쌀국수에 첨가하는 고수가 (이것도 이상하다..) 아니라면, 저기에 제 아이디 태그는 잘못 들어간 듯 합니다.
제가 벽돌책 모임 4개월차인데 (헉, 벌써 4개월?) 4권의 책 분야 모두 정식으로 배운 적이 단 한번도 없고, 심지어 출판계도 몰라요. 11월에 따라읽기 시작할 때는 그나마 관심있는 역사 분야라 (아마추어 애호가 수준?) 엉겹결에 했는데, 12월 철학 분야 —> 모름, 1월 & 2월 경제학 분야 —> 진짜 진짜 문외한으로 힘겹게 따라가는 중입니다. 독자 포지션으로도 다독가 아니고 (아, 요즘엔 워낙 독서 인구가 줄어드니 한 달에 한 권이상 읽으면 다독가 취급받을 수도 있겠군요?), 그냥 꾸준히 읽는 무지렁이 독자일뿐인데, 고수라니, 고수라니, 고수라니요.. 잘못 태그하신거라 믿습니다.
앞에 태그하신 두 분은 고수 맞고요, 심지어 셀럽이신 분들.

장맥주
저도 고수 전혀 아닙니다... ㅠ.ㅠ 문외한으로 힘겹게 따라가고 있는데 너무 부끄럽습니다. (쌀국수 먹을 때 고수 듬뿍 넣어 먹기는 해요.)

롱기누스
ㅎㅎㅎ 저에 비하면 고수이시 니 고수라고 한 것인데, 어찌 고수를 고수라 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필력과 글빨에 느껴지는 포스가 남다르십니다.

롱기누스
9장의 마지막 문단은 윤석렬 정부에게 들려주고 싶은 말들로 가득차있네요…

느려터진달팽이
읽어야겠네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YG
벌써 목요일(2월 22일)입니다. 오늘부터 내일 금요일(2월 23일)까지는 본문의 마지막 장 10장 '종이 물고기'를 읽을 차례입니다.
이 장의 빌런은 그 유명한 앨런 그린스펀입니다. 그린스펀은 1986년 로널드 레이건이 연준 의장으로 임명하고 나서 2006년에 물러났죠. 그래서 1980년대에 초등학교(국민학교)를 다녔고, 10대와 20대 사회생활을 시작할 때까지 뉴스에 등장하는 연준 의장은 그린스펀입니다. 저는 성장기에 그린스펀이 아주 경제를 잘 운용하는 현인인 줄 알았어요. 공화당, 민주당 할 것 없이 그를 중용하는 모습을 보면서 '역시 시스템의 미국' 그랬던 적도 있었고요.
10장에서 제 또래 저자는 조금은 짜증 섞인 목소리로 그린스펀의 가면을 벗기고 있습니다. 애초 예금과 대출 업무만 할 수 있었던 은행이 어떻게 투자 업무에 뛰어들 수 있었는지, 그런 규제 완화를 주도하고 또 그에 따른 위험 신호를 외면한 결과로 얼마나 많은 서민 피해자가 생겼는지, 그 결과 2008년 금융 위기가 어떻게 초래되었는지가 생생히 묘사되고 있어요. 마지막, '종이 물고기'가 진짜 물고기를 대체한 아이슬란드 사례는 덤입니다.
10장까지 읽고서 주말에 쉬고 다음 주 초에 '나가는 글'을 읽으면서 이번 벽돌 책 함께 읽기도 마무리하는 일정입니다. 마지막까지 즐겁게 수다 떨면서 감상과 의견 그리고 소소한 정보 나눠요.

YG

장맥주
3월에 마감이 연달아 있어서 망설이고 있습니다. ^^;;; 역자도 제가 좋아하는 분인데...

YG
아, 김승진 선생님 최고죠! 그나저나 @장맥주 작가님 함께 하는 벽돌 책 읽기가 재미있는데. 마감이 연달아 있으시다니 강권하기도 망설여지네요. 부담 갖지 마시고 여건 허락하시는 대로. 하지만 앨버트 허시먼 평전은 정말 좋아하실 거예요. :)

장맥주
사석에서는 선배라고 부르고 폭탄주도 몇 번 마셔 본 사이입니다! (이렇게 자랑을...) 저는 김승진 번역가님이 선택하는 책들이 다 좋아서, 그 안목을 무척 신뢰하고 있어요. 실은 제가 3월에 단편 마감이 두 편 있는데 아직 구상도 안 해서 정말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 ^^;;; 다음 벽돌책 읽기에 참여하겠습니다~.

롱기누스
'앨버트 허시먼' 도 완전 벽돌책이던데요? 무려 1200페이지가 넘어가는... 이번 처럼 누가 멱살잡고 끌고가주지 않으면 좀처럼 끝내기 어려울 것 같다는...

롱기누스
'4321' 구매완료 했습니다. ^^ 말씀하신 '앨버트 허시먼 평전'도 읽어보겠습니다.

YG
@장맥주 나중에 투자 실패담 들려주 세요. 아, 저도 정말 암호 화폐 놓고서는 할 말이 많습니다. 2014년에 '비트코인을 아십니까'라는 글을 써놓고 심지어 신기한 거니 한 번 채굴도 해보고, 사보기도 해보렴 해놓고서 정작 자기 손에 쥐고 있을 생각은 못한 바보가 여러분 앞에 있습니다;;; 그때 비트코인 한 개가 300~700달러 수준이었었죠.

장맥주
투자 실패한 게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피눈물 납니다. ㅠ.ㅠ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