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02. <경제학자의 시대>

D-29
그러게요. 저도 찾아보느라 재미있고 하나 배웠어요. 유익한 질문 해주셔서 감사해요~~!!♡
어휴, 제가 감사합니다. @모시모시 님 아니었다면 찜찜하게 뜻 모른 채로 영영 넘기고 말았을 겁니다. 궁금한 거 생기면 또 여쭤볼게요! ^^
@장맥주 @모시모시 가톨릭 성인 보스웰(Boswell)을 말하는 것 같아요. 아서 래퍼와 기자 주드 와니스키가 나서서 먼델을 도왔다는 의미. (오전에 바빠서 이 정도로만;)
@장맥주 @모시모시 원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Fortunately for the cause of supply-side economics, a pair of Technicolor Boswells emerged to help Mundell sell his ideas in the United States."
@장맥주 @모시모시 영어가 짧아서 "Technicolor"가 이 문장에서 무슨 의미로 쓰였는지 정확하게 모르겠어요. 영어 고수 여러분이 도움을 주시죠!!!
@모시모시 아, 다시 차분히 살펴보니 모시모시님께서 알려주신 두 번째 용례 같네요. 이렇게 또 배웁니다!
@모시모시 @장맥주 @YG 아~모시모시님 귀여우세요 ^^ 그믐 포스트 삭제 안되는 거 좋기도 하고 싫기도 하죠 하하. 저는 휴대폰으로 쓰다보니 포스트 마다 오타 나와서 그믐이 흥해서 앱 나오면 좀 낫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원문에 St.가 없으니 성인은 아닌 거니까, 저도 2번 같고요.. (근데 번역문에서 “성인”은 어디서 왔을까요?) Technicolor는 쓰임을 찾아보니 (1) flamboyant 의 의미로도 쓰이고 (brightly colored and easily noticed) (2) 영화 필름에 여러 가지 컬러를 입히는 프로세스라는데, 번역자는 (1)번을 택한 거 같아요. 뒤에 이야기까지 살펴보면 래퍼와 와니스키가 먼델의 아이디어에 색채를 입히고 양념을 쳐서 그럴듯하게 만들었다는 의미인 것 같네요. 한 문장 이해하기 위해 이렇게까지 공부해야 하다니! 저는 저 다음 문장에서 혼란스러웠어요. 분명 한 쌍이라고 했는데, “첫번째는 -” 한다음에 한참 후에 와니스키 이야기가 나와서 ‘두 번째는 어디 있음?’ 이렇게 되더라구요.
저도 ‘두 번째가 누구야?’ 하고 한참 페이지를 두리번거렸어요. Technicolor에서 T를 대문자로 쓴 걸 보면 무슨 브랜드 이름을 패러디한 건가 싶기도 한데... 잘 모르겠습니다. ‘먼델이 미국에서 자신의 이론을 납득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는 문구도 ‘먼델의 이론을 미국에 널리 퍼뜨렸다’ 정도로 쉽게 풀어썼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좀 듭니다.
영화에 색채를 입히는 시스템 혹은 프로세스가 상표 등록이 되어 있는지 사전에도 “trademark”표시가 되어 있어요. 그래서 대문자 T를 쓴 거 같은데..그런 프로세스에 동원되는 20세기 초 기계 이름도 Technicolor라고 쓰곤 하지만, 정확히는 시스템 혹은 프로세스를 일컫는 말이라고 하네요.
4장 후주 30번에 나온 에피소드를 제가 최근 (2-3년?) 다른 책(혹은 인쇄물)에서도 읽었거든요? 어디서 읽었는지 전혀 기억이 안나는데, 여기서도 또 나오니 매우 유명한 스캔들인 거 같네요..
저도 이거 제가 아는 이야기인데... 하고 기억을 더듬어 봤는데, 제가 기억하는 건 에드워드 케네디의 스캔들이었네요. 1969년에 있었던 차파퀴딕 사건인데 윌버 밀스의 사건과 대단히 흡사합니다.
제임스 보스웰이 스코틀랜드 사람이라 평범한 미국 사람들도 모를 것 같은데 자연스럽게 써놓은 걸 보면서 여러 가지 생각이 들었는데요. 한 편으론 ‘뉴욕타임스 편집위원 티가 나는군’ 싶기도 하고, 또 다른 한 편으론 ‘이 책이 외국에도 팔릴 거라고는 생각 못했나?’싶기도 하다가, ‘ 이 양반아, 꼭 그렇게 썼어야 했냐?’ 욱 하기도 했네요. 5장에서도 비슷한 예가 있습니다. “디렉터는 마크 로스코비츠 Mark Rothkowitz라는 친구와 함께 동부로 향했다. 로스코비츠는 곧 대학을 중퇴하고 성에서 마지막 네 글자를 떼어낸 이름으로 예술의 길을 걸었는데 훗날 유명한 예술가가 되었다.” ==> 저는 (이 부분에서는 다행히도) 로스코를 무척 좋아해서 이 문장보고 ‘헉 로스코!’하면서 무한 검색에 들어갔지만, 별다른 설명없이 “유명한 예술가가 되었다” 이렇게 끝내는 건 뭐지? 했어요. 필요해서 넣은 것도 아니고, 미술에 관심없는 독자에게는 설명도 없고 의미도 없는 에피소드이고.. 내 독자층은 이 정도는 다 알아들어!하는 애펠바움의 플렉스인가..하는 생각까지 드니, 내가 모르고 지나치는 부분은 엄청 많겠구나 싶었습니다.ㅠㅠ
저도 그 대목 읽고서 피식 했어요. 이 책을 읽는 독자라면 로스코 정도는 알아야지, 이런 마음가짐이었나 봐요. :)
독점적인 합병 때문에 사람들은 자신의 경제적 복지를 결정하는 힘을 잃어 가고 있다. 사람들이 경제적 복지를 결정하는 힘을 잃으면 정치적 미래를 결정하는 수단도 잃는다. (에스테스 키포버 민주당 하원의원 1947년 연설중)
경제학자의 시대 - 그들은 성공한 혁명가인가, 거짓 예언자인가 5장, 235쪽 , 빈야민 애펠바움 지음, 김진원 옮김
경제학이 부상함에 따라 미국인의 삶에서 반독점법이 맡은 역할도 바뀌었다. 20세기 후반기 동안 경제학자는 연방 법원과 사법부가 반독점법의 본래 목적은 제쳐 놓고 대신에 가능한 한 가장 낮은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자는 단 한 가지 목적에만 집중하도록 차츰 설득해 나갔다.
경제학자의 시대 - 그들은 성공한 혁명가인가, 거짓 예언자인가 5장, 237쪽 , 빈야민 애펠바움 지음, 김진원 옮김
@장맥주 @모시모시 @소피아 성 발렌티누스 축일(2월 14일) 오전의 영어 공부를 흐뭇한 마음으로 복기하고 보니 원서를 사 놓길 잘했다고 괜히 혼자 으쓱해 합니다. :)
해피 발렌타인! @YG 님이 원서 사신 덕분에 이것저것 많이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We would have been lost without our Boswell (= @YG 님).—> @모시모시 님께서 공급해주신 대사 예문 복습.
판사는 경제학자에게 귀 기울일 준비를 마친 셈이었다. 이 같은 추세를 강화하기 위해 디렉터의 또 다른 제자인 헨리 맨이 1971년 로체스터 대학에 법학 교수를 대상으로 하는 일종의 ‘신병 교육대’를 세웠다. 맨은 유수한 법학대학원에서 온 교수들이 경제학 강의에 참석하면 1000달러를 지급했는데 이 돈은 엑슨, 제너럴일렉트릭, IBM을 비롯한 여러 기업에서 나왔다. ~<중략>~ 1980년까지 연방 판사 가운데 거의 20%가 맨의 과정을 들었고, 1990년에는 이 수치가 40%에 이르렀다. 이 과정에 참석하기 전과 후 판사들이 내린 판결을 비교 검토해 보면 시장 신뢰 판결 쪽으로 상당히 기울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경제학자의 시대 - 그들은 성공한 혁명가인가, 거짓 예언자인가 5장, 259~260쪽, 빈야민 애펠바움 지음, 김진원 옮김
카터는 인플레이션이 미국 국민이 낭비한 탓이라고 비난한 반면에 레이건은 인플레이션이 정부가 낭비한 탓이라고 지탄했다.
경제학자의 시대 - 그들은 성공한 혁명가인가, 거짓 예언자인가 p. 151 ch.3 인플레이션과의 전쟁, 빈야민 애펠바움 지음, 김진원 옮김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텍스티] 텍스티의 히든카드🔥 『당신의 잘린, 손』같이 읽어요🫴[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도서증정][작가와 함께]그리하여 사람은 사랑에 이르다-춤.명상.섹스를 통한 몸의 깨달음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의 재미, 다시 한 번 더!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바쁘지만 책은 읽고 싶어 by Oncoazim
올해 가을엔 산에 가야지 머리는 차갑게 좋아하는 것들을 찾기
💰 비트코인과 달러, 같이 공부해요!
『트럼프 시대의 비트코인과 지정학』 함께 읽기 (비트코인, 그리고 달러의 지정학의 개정판)책 [레이어드 머니 돈이 진화한다] 읽기 모임
극과 극은 통한다!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