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군인들의 비중이 높아지면 이런 문제는 더 심각해지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02. <경제학자의 시대>
D-29
장맥주
느려터진달팽이
로봇이 후쿠시마 원전사태에서 인간이 목숨걸고 위험임무를 감수했을 때의 경우에서 처럼 대체가능하다~ 고로 인간은 위험의 외주화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이제 계급과 지위에 따라 위험을 옴팡 짊어졌던 때에서 ai에게 짐을 짊어주어 비로소 자유해지는게 아니구요?
장맥주
말씀하신 측면의 일도 분명 있겠지만, 저는 로봇 군대를 가진 나라는 전쟁을 더 쉽게 여길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맥도날드가 들어간 나라들끼리는 전쟁을 벌이지 않는다’는 유명한 얘기가 있죠. 맥도날드는 어느 정도 미국식 민주주의와 자본주의가 돌아가는 나라에 들어가게 되는데 그런 나라들끼리 전쟁을 벌이지 않는 이유는 국민들이 전쟁을 싫어한다는 이유가 가장 큽니다. 본인이나 자식들이 전쟁터에서 다치거나 죽는 것도 싫고, 본인이 다니거나 투자한 회사가 전쟁으로 경영 위기를 맞는 것도 싫어하고요. 그런데 로봇 군대를 소유하게 된 나라에서는 그런 국민적 저항이 상당히 약할 거 같고, 그게 집권자들의 정책 판단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합니다. 실제로는 또 어떻게 될지 모르겠네요. 하도 예측하기 어려운 세상이라. ^^
YG
드론이 전쟁에 본격적으로 도입되고 나서, 이미 현실이 된 게 아닌가 싶어요. 버락 오바마나 힐러리 클린턴 같은 자유주의 성향의 정치인조차도 분쟁 지역에 정규군이나 특수 부대를 보내는 데에는 소극적이어도, 드론을 보내서 폭격하는 데에는 주저함이 없어 보이니까요. 드론 폭격은 테러리스트 같은 타깃만 제거하는 게 아니라 민간인 살상으로도 이어지죠.
장맥주
저도 드론 생각했습니다. 드론 도입과 미국의 해외 군사작전 양 사이에 어떤 비례관계가 있지 않을까, 의미 있는 연구거리겠다 싶기도 한데, 데이터를 구하기 쉽지 않겠지요? 드론 가격이 더 낮아지고 기술이 더 보급되면 어떤 일들이 벌어질지도 궁금합니다. 다시 힘의 균형이 맞춰질까요.
느려터진달팽이
아니 이 정도 층위의 시각이 벌써 오바마 때부터 진행중이었군요. 알아들은듯 하면서도 역시 못 알아들은 이런 기분이라니요;;
goodboy
“ 프랭클린 델라노 루스벨트 대통령은 당대 가장 중요한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를 현실에 둔감한 '수학자'에 불과하다고 은근히 무시했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이임사에서 기술 관료가 권력을 잡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공공 정책' 자체가 과학 기술 엘리트층의 전유물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경제학자의 시대 - 그들은 성공한 혁명가인가, 거짓 예언자인가』 p. 26 들어가는 말, 빈야민 애펠바움 지음, 김진원 옮김
문장모음 보기
goodboy
1970년대 말 즈음 프랑스에서는 역사상 처음으로 빵집 주인이 바게트 값을 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