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들마치에 대한 참석자들의 열정이 유지된다면 ㅎㅎ 전 환영입니다.
조지 엘리엇 <미들마치1> 함께 읽기
D-29
모시모시
CTL
일단 저희 둘, 포기 안 하고 다 끝내면 함께 읽어요. 2명 확보~
Beaucoup
우와...............이런책도 있다니 ㅎㅎ 구매해둬야겠습니다 ㅎㅎㅎ
CTL
3장에서는 본문과 '제사(epigraph)'의 관계가 더 밀접해져서 본문에서 아예 직접적으로 대놓고 커소본씨가 밀턴의 실낙원에 나온 대천사 라파엘과도 같다고 말하네요. 이쯤되니 1장부터 더할나위 없이 똑똑한 여성으로 묘사되어온 도로시아의 이미지가 어이없을 정도로 망가져갑니다. 2권 제사에서 암시한 돈키오테와 산초처럼 현실을 있는그대로보 는 실리아에 비해 본인이 보고싶으대로만 보는 도로시아는 커소본 씨를 대천사 라파엘로 여기는 군요. 마치 당나귀를 탄 농부를 황금투구를 쓰고 오는 기사로 보는 돈키호테 마냥이요... 잃어버린 낙원처럼, 도로시아가 꿈꾸는 이상적인 결혼생활은 금새 망가질거라는 예상도 하게 하네요.
<돈키호테>도 <실낙원>도 제대로 안 읽어보고 내용도 알지 못해서 한참을 또 찾아봤는데, 1870년대 <미들마치>가 출간되었을 무렵의 이 책의 독자층들은 제사에서 인용되는 글들의 출처와 배경에 대해 더 해박했겠지요? 그 점에서는 현 시점에서의 <미들마치> 독자층은 작가가 염두한 것보다 더 수준이 낮은 셈이네요.
2장과 3장에 걸쳐서 체텀 경이 본인에게 적당한 배우자 상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 어찌보면 도로시아가 원하는 아내로써의 역할과 참 잘 들어맞지요. 단지 체텀 경은 해박한 지식으로 아버지처럼 도로시아를 이끌고 지도해 줄 수 있는 상대가 아니라는 게 큰 문제인데... 여기서 도로시아가 가진 이상적인 남편 상과 본인의 역할의 괴리와 모순이 잘 드러나는 것 같습니다.
모시모시
1권을 읽다가 캐드월레이더 부인의 입담에 감탄(!)하며 그녀의 어록(?)을 좀 모아봤습니다.
어느 마을에나 한 명씩 있을법한 말많은 부인인데 비유가 너무 찰집니다. 특히 캐소본에 대해 평한 부분 왤케 웃기죠.
* 혈통을 따져 보면 그 집안의 4등분 문장에는 새까만 오징어 세 마리와 뒷발로 선 주석자가 섞여 있을 거야.
* 그에게 위대한 영혼이 있다고 한다는군요. 말라빠진 콩들이 달각거리는 위대한 콩깍지랄까!
* 누가 그의 피 한 방울을 돋보기 아래에 떨어뜨려 보았더니 온통 세미콜론과 괄호뿐이었다고요.
* 그는 고약한 설사약 같은 사람이에요. 먹기에도 불쾌하고 몸에도 틀림없이 해롭고요.
* 특별 행사를 위해 시체의 두개골에 가죽을 씌워 놓은 것 같군요
* (브룩씨에 대해) 욕심은 한 됫박쯤 되는데 상식이 몇 알갱이쯤 들어 있는 거죠.
* (체텀에게 하는 말) 당신이 브룩 양에게서 벗어난 건 차라리 잘된 일이에요. 그 아가씨는 당신더러 대낮에 별을 보라고 요구할 테니까.
* 남편처럼 자비로운 사람은 포도주와 식초도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에 식초를 삼키고 배앓이를 하고 나야 안다고요.
CTL
'혈통을 따져 보면 그 집안의 4등분 문장에는 새까만 오징어 세 마리와 뒷발로 선 주석자가 섞여 있을 거야. '
주영사 번역은 '가문 얘기가 나왔으니 말인데요, 그 댁 문장은 검은 오징어 세 마리에 뒷다리로 일어선 주석가라고 생각하는데...' 라고 되어있네요.
영어로 읽을 때는 뭔 이야기인지 싶어서 나중에 찾아봐야지 하고 넘어갔었어요.
'As for his blood, I suppose the family quarterings are three cuttle-fish sable, and a commentator rampant.'
영국고전을 읽을때 장애물인 전형적인 영국 상류 계층에 대한 문화적 배경이 필요한 부분이네요. 그 시대를 사는 사람들에게는 당연히 이해되는 수준의 용어이겠지만 family quarterings, sable, rampant 같은 귀족 가문을 나타내는 가문 문장 디자인을 말하는 용어들이 지금에서는 아주 전문적인 용어로 받아들여지니까요.
더 궁금하신 분들은 여기 아주 간단하게 설명되어 있어요~
https://www.english-heritage.org.uk/guide-to-heraldry
그러니까, 카소본 씨는 돈은 좀 있는 건 인정하는데 출신은 뭐 별볼일 없는 학자나 괜히 핏대올려 주석이나 다는 사람들 집안이라는 말이죠.
CTL
1권 잘 읽고 계시나요?
게시판 분위기로 봐서는 쉽지 않은 듯 합니다.....?
저는 좀 오래 전에 시작해서 1권은 꼼꼼하게 읽었고 다음 주는 설 연휴도 있고 해서 미리
2권 시작했는데.... 어쩌지요... 2권 첫 부분은 1권보다 더 힘들다고 느껴지는데요?
그래서, 도대체 이 책이 어떤 책이길래 꾸역꾸역 읽어지면서도 고전으로 남아있을까 하는 생각을 한번 더 해보며 마음을 다 잡으려고 합니다. 그러다가 브리태니커 사전에 간략하게 설명된 부분을 찾았어요.
요점만 번역하자면,
=================
<미들마치>는 미들마치라는 고장의 모든 계층 - 대대로 땅을 소유한 지주귀족계층에서부터 성직자와 공장주, 전문직, 농부, 노동자를 망라하는 - 에 대한 사실적인 고찰이다. 그러면서도 도로시아 브룩과 터시우스 리드게이트라는 이상주의자들이 어떻게 그들의 이상이 좌절되고 불행한 결혼 생활에 빠지게 되는 과정이 주로 다뤄진다.
각 계층에 속한 대표인물의 심리가 세세하게 다루어지기에 그 전개가 펼쳐지는 걸 긴 호흡으로 따라가기가 좀 힘든 것 같아요. 1장에서는 도로시아와 커소본이 주로 다루어졌고 2장에서는 리드게이트로 시작해서 또 다른 인물의 심정이 더 파고들어지겠지요?
자꾸 무언가가 벌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을 다 잡고 인물들이 어떻게, 어떤 결정을 내리는지를 찬찬히 따라가야 이 소설의 묘미를 발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CTL
1권에서 인상적인 문장을 '문장수집' 기능을 이용해 답변으로 달아주세요.
CTL
“ We mortals, men and women, devour many a disappointment between breakfast and dinner-time; keep back the tears and look a little pale about the lips, and in answer to inquiries say, “Oh, nothing!” Pride helps us; and pride is not a bad thing when it only urges us to hide our own hurts—not to hurt others. ”
『미들마치 1』 Chapter 6, p. 59 Penguin Classics Deluxe Edition, 조지 엘리엇 지음, 이미애 옮김
문장모음 보기
CTL
이 문장들에선 마치 조지 엘리엇이 제안 오스틴에게 반박하는 듯하지 않나요? 'Pride가 그렇게 나쁘진 않아, 오히려 유용하지'라고....
모시모시
“ 남자건 여자건 우리 인간은 아침 식사와 정찬 시간 사이에 수많은 실망감을 삼키곤 한다. 눈물을 참고 약간 핏기가 사라진 입술로 누군가 묻는 말에 “아, 아무 일도 아니에요!”라고 대답하곤 한다. 자존심이 우리를 돕는다. 우리가 입은 상처를 숨기라고 촉구할 때의 자존심은 나쁘지 않다. 다른 이들에게 상처를 주지 않기 위한 것이니. ”
『미들마치 1』 6장, 조지 엘리엇 지음, 이미애 옮김
문장모음 보기
CTL
“ 우리 인간은 남자든 여자든 하루에도 수없이 낙심한다. 눈물을 참고 입가가 다소 창백해 보일지라도 누가 뭐라 물으면 "아무 일 없어 요!"라고 대답한다. 자존심이 우리를 돕는다. 남에게 상처를 주려는 것이 아니라 오직 우리의 상처를 가리려고 할 때라면 자존심은 나쁜 것이 아니다. ”
『[세트] 미들마치 1~4 세트 - 전4권 - 완역본』 1권 6장 108 페이지, 조지 엘리엇 지음, 이가형 옮김
[세트] 미들마치 1~4 세트 - 전4권 - 완역본
책장 바로가기
문장모음 보기
CTL
6장 마지막 문장, 민음사와 주영사의 해석이 다르네요. 어떤 해석에 동의하시나요?
저는 주영사 버전처럼 "only B, not A"로 읽었습니다. "to hide our own hurts(B), - not to hurt others (A)"
제인 오스틴이 말했던 'Pride'의 부정적인 의미를 조지 엘리엇은 긍정적인 역할을 말하며 옹호하고 있다고 보거든요.
그러고 보면 한글로는 pride를 이렇게 '자존심'으로 번역하고 나니 제인 오스틴의 소설 '오만과 편견'과의 연결고리가 아예 사라져버려서 참으로 안타깝네요. 여기서 pride를 '오만'으로 번역하자니 문맥상 맞지 않고, 그렇다고 애초에 '오만과 편견'으로 번역되어 버린 소설 제목을 사실은 '자존심'이었어야 한다고 바꿀 수도 없는 문제니까요.
만약, 앞으로 또 다른 번역판이 나오게 된다면 주석을 달아서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을 언급해주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CTL
“ Why not? A man’s mind—what there is of it—has always the advantage of being masculine,—as the smallest birch-tree is of a higher kind than the most soaring palm,—and even his ignorance is of a sounder quality. Sir James might not have originated this estimate; but a kind Providence furnishes the limpest personality with a little gum or starch in the form of tradition. ”
『미들마치 1』 Volume 1, Chapter 2, p. 20, 조지 엘리엇 지음, 이미애 옮김
문장모음 보기
메이플레이
"철이 든 이래로 언니에 대한 실리아의 마음에는 비판과 함께 경외가 섞여 있었다. 동생은 항상 멍에를 짊어졌던 것이다. 그러나 멍에를 진 생물치고 속으로 자기 고유의 의견이 없는 생물이 있을까?"
<미들마치1>주경사 27쪽
CTL
“ 예를 들어, 나바르의 앙리는 프로테스탄트로 태어났지만 훗날 카톨릭 군주가 되는 것을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고, 알프레드 대왕은 불타는 초로 그가 힘들게 일하며 보내는 밤의 숫자를 셌을 때 훗날 신사들이 시계를 보며 한가한 낮을 세고 있을 줄은 꿈에도 몰랐을 것이다.
—For example, that Henry of Navarre, when a Protestant baby, little thought of being a Catholic monarch; or that Alfred the Great, when he measured his laborious nights with burning candles, had no idea of future gentlemen measuring their idle days with watches.
”
『[세트] 미들마치 1~4 세트 - 전4권 - 완역본』 1권 7장 116 페이지, 조지 엘리엇 지음, 이가형 옮김
문장모음 보기
CTL
또 아는 만큼 보이는 순간이 와서 나눕니다.
갑자기 1권 7장 끝부분으로 돌아갔는데요, 오늘 <찰스 디킨즈의 영국사 산책>을 읽다가 이런 부분이 나왔는데 '어, 양초로 시간을 재는 거, 어디서 읽었는데? ' 싶어서 찾아보니 바로 <미들마치>였어요. 이부분 읽으면서는 그냥 열심히 정사에 몰두한 왕이었나보다 하고 넘어갔는데, 이런 에피소드가 영국에서는 유명한가 봐요.
---------------------------------
"그런 열망을 실현하기 위해 앨프레드 대왕이 보여준 근면성은 실로 놀라울 정도였다. 앨프레드는 하루를 일정한 비율로 나눈 다음 각각의 시간마다 할 일을 미리 정해놓았다. 하루를 정확히 똑같은 비율로 나누기 위해 밀랍 횃불이나 양초를 같은 크기로 만들고 일정한 간격으로 눈금을 표시한 다음 계속 불을 붙여두었다. 타들어가는 양초를 보며 시간을 가늠하기 위해서였다. 지금 우리가 시계로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누는 것과 비슷한 방식이었다. 앨프레드는 왕궁의 출입문이나 창문, 혹은 벽 틈으로 들어오는 바람 탓에 불꽃이 흔들려 일정한 속도로 타지 않는 것을 막기 위해 촛불에 나무나 하얀 뿔로 만든 덮개를 씌웠다. 이것이 잉글랜드에서 만들어진 첫 초롱이었다. "
<찰스 디킨스의 영국사 산책> 45페이지, 찰스디킨스 지음, 민청기,김희주 옮김
CTL
엘리엇의 글솜씨가 돋보이는 문장이지요. when을 이용한 병렬구조로 헨리와 알프레드를 나란히 놓고 baby - monarch, Protestant - Catholic, laborious - idle, nights - days, candles - watches를 대조시키며 간결하면서도 많은 걸 말하고, 자연스레 한밤중에 흔들리는 촛불 아래 문서를 읽는 왕의 모습과 햇살이 쏟아지는 노천카페에서 커피 한잔을 앞에 놓고 신문을 읽다 회중시계를 들여다보는 신사를 연상시키게 하네요.
Nana
전 조지엘리엇 언제나 읽어보고 싶었는데, 한 번도 안 읽었었네요. 이번에 같이 읽게 되어서 좋습니다. 오늘부터 잘 따라가 볼게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CTL
2권에서 이해가 힘든 부분 질문을 답변으로 올려주세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