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경 선생님과 함께하는 풀베개 소설읽기 독서모임 줌 온라인 미팅 내용을 정리한 메모입니다.
[풀베게 소설읽기]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온라인 줌 독서모임(20231231)
D-29
아날로그모임지기의 말
아날로그
“로테의 감정은?”
- 로테의 감정은 사랑이 아니다.
- 로테의 감정이 이기심이 아닐까? (어장? 자기만족?)
- 누구도 자신의 감정을 모른다. 감정은 증명하는 것.
- 모든 인물들은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알고 있다. 각 인물들의 선택이 개연성이 있다고 생각.
“표현방식” -편지라는 장치
- 편지는 일인칭의 왜곡이나 포장이 가능한 것.
- 베르터의 입장에서 쓰여진 편지는 부분만의 진실을 담은 것.
- 베르테르의 솔직함이 드러나는 편지. 희망과 절망, 반성과 성찰이 고루고루 드러나는 것.
- 로테에게 베르테르의 존재는 위안이나 자존감일 수 있었을 것.
- 작가—괴테의 여성관, 이상형에 대한 생각을 로테에게 투영하고 있다고도 생각.
장류진, <일의 기쁨과 슬픔> 중 단편 ‘나의 후쿠오카 가이드’
“사랑—집착, 자기확인 ->정신병적인 측면”
- 낭만주의 : 이성을 벗어나서 이야기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
- 이분법적인 틀로 바라볼 수 있는 소설
- 낭만적 사랑—개인의 발견, 과학과 이성의 반발로서의 감성
- 소설 속 어떤 장치에도 연결되지 못하는—인정이나 이해받지 못하는 베르테르.
- 질풍노도의 시기. 자신조차도 자신을 이해하지 못하는 설정.
- 이기적, 자기중심적인 베르테르. 개인의 감정에 충실한 인물. 진보적인 캐릭터.—> 사회적 호응이 있었던 것.
- 종교를 벗어난 자연적인 감정을 강조하는 모습. 융이 생각.
- 아니무스적인 베르테르, 아니마적인 알베르트.
개인의 이기심- 개인의 감정-로멘스를 찬양하는 소설
- 논리나 이유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감정에도 의미가 있음.
- 로테의 어장관리-희망고문의 설정.
- 다른 식으로 사랑이 성취되거나 해소될 수 없는 이유.
- 풍경의 발견이 개인의 내면을 가능하게 함.
- 조건과 위치에 띠라 개인의 내면이 만들어진다면 개인의 감정이 아니라 개인의 감정을 (불)가능하게 하는 조건들의 대한 소설이기도 함.
이혁진 장편소설, <사랑의 이해>
이언 와트, <소설의 기원>에서 언급하는 최초의 소설은 <로빈슨 크루소>인데 1719년 작품이네요.
“여성들의 권력이 가능한 영역이 유일하게 사랑이었다. 팜프파탈의 등장”
- 니체, 여성혐오의 배경을 가진 인물. 피상적인 진단으로서 유효
- 로테의 인물, 주체적인 인물로 지금의 독해가 가능.
- 베르터의 시선에서 그린 낭만성, 베르터의 입장에서 그려진 로테의 한계가 있음. 여기에 등장하는 로테조차도 베르터의 주관적인 해석, 대상화의 측면이 있지 않을까?
- 로테는 시대의 남성들이 생각하는 이상적 여성상. 여신이었다가 팜므파탈이기도 함.
- 여성의 힘은 여성성에서 온다는 생각. 여성성을 활용하는 것이 주체를 가능하게 함.
- 로테는 결과적으로 팜프파탈이 되는 구조. 알베르트-의지가 되는 파트너, 베르테르-감성적 소울메이트. 소설의 캐릭터가 기능하여 이야기의 완성도를 높이고 있음.
- 로테는 감정적으로 베르테르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으나 사회 구조, 윤리적 측면에서 억눌려 있는 것으로 그려짐.
- 로테—베르터의 낭독 장면. 로테가 화제를 돌리고 세련되게 선을 그으려는 시도. 베르터의 감정이 격해지는 결과를 낳음.
- 썸에는 의도가 없음. 조건들이 만들어 내는 것.
- 아님, 썸에는 여지와 조건이 주어져서 가능했던 것.
“베르테르의 심리”
- 사랑 속에서 주체성을 획득하기 위해 몰입하는 인물.
- 정신이상의 진행 과정으로도 읽을 수 있다.
- 로테가 아니더라도 격정이 넘치는 사람. 죽음에 대한 충동을 가지고 있음.
- 이상적 인물인 알베르트의 존재가 자책이나 자괴감이 더 커졌을 것이라고 생각.
* 알베르토가 이상화되는 이유는 로테의 반려자이기 때문이지 않을까?
- “원인처럼 보이는 것이 알리바이나 결과이다” 울고 싶은 때 뺨을 때려준 게 아닐까?
- 하인의 치정살인 사건 이후 베르테르의 심정이 격화. “그 사람을 구원할 길은 없어요.” 슬픔과 고뇌에서 착란과 발작의 단계로 변화.
- 베르테르에게 없던 구원이라는 단어가 사용되기 시작. 절대성이 붕괴되는 시점.
- 알베르트와 베르터의 토론 장면과 연결. 베르터는 이해받지 못할 사람을 대표하는 사람. 충돌하는 지점.
- 초반의 풍경 묘사가 개인의 내면을 드러내는 것처럼 후반의 인물이 묘사되는 방식, 작동하는 방식이 풍경 묘사와 같은 방식.
- “세계를 묘사하는 방식이 네 자신의 내적 투사”
- 정신분석적 측면, 감성과 비이성으로 베르터를 바라보는 방식에도 한계가 있다고 생각. 감각에 이끌리는 것에도 의미와 가치가 있음.
“알베르트의 역할”
- 안나 카레니나의 카레닌 생각. 충돌이나 갈등을 회피하는 인물로 설정. 현상 유지 측면에서 균형을 유지하려는 인물. 권력자.
- 정말 로테를 사랑했을까? 사회적 평판이나 위치에 따라 반응한 것.
- 시대적 인물을 대표하는 캐릭터. 규율적인 면을 중시하는 인물이 알베르트. 낭만—베르테르, 관계 중시—로테.
- “베르테르가 나의 형제라면 얼마나 좋을까, 내 친구의 남편이라면 얼마나 좋을까?” 로테의 경우 배타적 사랑보다는 관계가 더 중요한 인물.
영화 <랍스터>.
“베르테르가 여성 친구나 여자 자매였으면 좋겠다고 말하지 않는 로테.”
“빌헬름”에 대해서도 이야기 나눌 수 있지 않았을까? 이거 편지가 맞긴 한 걸까? 하는 질문.
“그리스도교의 원칙을 지키지 않는 소설”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