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계절의 소설]이 벌써 세 번째 계절, 두 번째 달을 시작합니다.
23년이 마무리되는 12월을 보내며 우리는 2권의 책과 한편의 단편소설을 골라냈습니다.
첫 번째 책은 이치카와 사오의 화제작 <헌치백>입니다. 23년 아쿠타상 수상작이기도 한 이 작품은, 전형적이지 않은 소재, 주인공과 당사자성이라는 주제까지 이야기할 수 있는 부분이 충분하여 많은 분들의 관심을 받았습니다.
두 번째 책은 양선형 작가의 <V섬의 검은 짐승>입니다. 독창적인 스타일과 문장으로 주목받는 작가의 신작을 같이 읽어보며 작가가 확장시켜온 소설의 경계를 더듬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더불어, 이번에는 모두의 관심을 이끌었던 단편소설도 같이 이야기해봅니다. 많은 추천을 받았던 안담 작가의 <소녀는 따로 자란다>입니다. 작품으로서도, 새로운 출판형태로서도 논의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보이네요.
앞으로 또 다양한 이야기가 펼쳐지길 기대합니다.
**
6명의 평론가/편집자/기자/작가 등 다양하게 책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 3개월마다 두 차례씩, 여기 그믐에서 독서모임을 열고 29일간 좌담을 벌입니다. 그 과정에서 좋은 작품에 대한 발견과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길 희망합니다.
첫 번째 모임은 지난 3개월간 출간된 장편소설 중 다루고자하는 십여권의 소설을 정하고, 짧은 인상평과 전반적인 기대, 요즘의 트렌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두 번째 모임에서 깊게 읽고 토론하고 싶은 2-3권의 책을 고릅니다.
두 번째 모임은 선정된 2-3권의 책을 같이 읽고, 그 소설에 대하여 6명의 평론가들이 깊은 비평과 논의를 진행합니다.
세 번째 모임은 앞선 두번의 모임에서 논의된 내용들을 독자들과 소통하는 오프라인 대담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
소전문화재단은 2016년 12월 설립 이래 다양한 독서 장려 활동과 작가 지원 사업을 벌여 왔습니다. 특히 시대를 넘어서는 장편소설을 바라는 마음으로 장편을 쓰려는 작가들에게 창작지원금과 취재비, 특별 고료를 후원하는 〈문학과 친구들〉, 집필 공간을 제공하는 상주작가 프로그램 등을 운영해 왔으며, 문학 레지던시도 설립 준비 중입니다.
다음 세대에도 읽힐 작품을 찾는 [이 계절의 소설] 세 번째 계절 #2
D-29
소전문화재단모임지기의 말
김지운0
헌치백 - 2023 아쿠타가와상 수상작2023 아쿠타가와상 수상작. 중증 척추 장애인 샤카가 남성 간병인에게 “내가 임신하고 중절하는 걸 도와주면 1억 엔을 줄게요”라고 제안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로, 심사위원 일부가 난색을 표할 만큼 위악적인 상상력을 숨김없이 표출하는 작품이다.
V섬의 검은 짐승“인간의 편이 아닌 소설의 편에 선 소설가”(금정연)로 평가받으며 그간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실험적 소설을 선보여왔던 양선형의 첫 중편소설이 나왔다. 서해 접경지의 실제 공간으로도 유추가 가능한 V섬에 이뤄지는 하루 동안의 이야기를 양선형만의 독특한 글쓰기 방식으로 풀어내고 있다.
소녀는 따로 자란다위즈덤하우스 단편소설 시리즈 위픽 역대 조회 수 1위, 공개와 동시에 화제에 올라 “섬뜩할 정도의 묘사에 교실 마룻바닥 위에 터진 우유 냄새가 떠올랐다” “마치 초등학생으로 돌아간 듯한 느낌을 받았다” “모든 대사가 내 마음 같았다”는 독자 평을 받은 안담의 첫 소설 《소녀는 따로 자란다》가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책장 바로가기
박혜진
지운 편집자님 감사합니다! 이번 달에는 '소설'과 '문학'과 '책'에 대한 여러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 것 같아요. 워낙 개성이 강한 책들이라서요. 저는 우선, 지난 달에 가장 많은 분들이 이미 읽었거나 관련 소식을 알고 있었던 <헌치백>에 대한 감상들이 궁금해요. 저는 이 소설을 읽는 동안, 정말 이례적이라 할 만큼 호불호가 일지 않았어요. 끌어당기는 힘도, 밀어내는 힘도 없는 상태에서 끝까지 읽었다고 해야 할 텐데, 그런 와중에도 끝까지 봤던 건 모종의 호감도보다 앎에 대한 의무감이었던 것 같아요. 이 책을 읽은 분들의 리뷰 중에는, 그래서 공감하기 힘들었다거나, 극단적 위악에 대한 냉소적 평가들도 있던데요, 일정 부분 동의가 되면서도 결국엔 이런 생각 쪽으로 기울더라고요. 개인적 호감과 취향이 거의 절대 기준인 시대에 알기 위해 무엇인가를 읽게 한다는 것 자체가 얼마나 힘든가.. 사회적 언어로서의 소설, 공적 감각을 재구성하는 매개로서의 소설은 어느 시대에나 있기 마련인데 지금 일본에서 호명된 소설은 헌치백이구나. 큰 틀에서의 제 감상은 이런데, 다른 분들은 어떻게 읽으셨을지 궁금해요.
정용준
이번 달에도 의미있는 대화 기대됩니다. 특히 이번에 선정된 소설이 다른 방식으로 이야기할 거리가 많은 것 같아 특히 기대되는 것도 있어요. <헌치백> 읽고 좋았다 안좋았다를 떠나 저 역시 소설을 통해 인물에 관해 '알게' 되는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소설에서는 '앎'이 그 자체로 소설의 가장 큰 의미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인물의 특수한 상황을 정보로 혹은 상식으로서 모르지 않았지만 소설을 통해 특별히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숨김없이 남김없이 보게 되어(보여줘서) 1차적으로는 상당히 흥미로웠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흥미를 느끼는 것 자체가 이 소설을 복잡한 마음으로 고민할 수 밖에 없는 지점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당사자가 당사자에 대해 말하는 것은 (당연하게) 허용되는가? 말하기의 형식과 한계는 당사자가 결정하면 되는 것인가(그래도 되는가) 이런 저런 생각들을 해봤습니다.
참여 제한 모임입니다
참여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