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해님의 글과 경험들을 보면 상반된 모습이 보여 가끔 놀랍습니다 글과 실제 분위기는 참 잔잔하시고 다정하신데 경험담의 내공이 놀랍습니다
전 나이는 있지만 정말 평탄하게 지낸것 같습니다~~ 그리고 지독한(?) 사랑을 버티기에는 제 버티기 강도가 무척 약하다고 스스로 생각하기에 문학을 통한 대리경험만 만족하는 편이고 실제 문학이나 영화 속에서도 강렬함을 추구하는 편은 아닌거 같습니다
전 해피엔딩의 <조신의 꿈>을 현실화하고 싶을 뿐입니다 전 조신의 깨달음보다는 해피엔딩이 더 좋아요!!
실제 온화해보이시는 작가님들이 무서운 작품이나 지독한 사랑을 그려내는 건 놀라운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 겪은 사람들보다 그 고통스러운 과정을 세세히 그려내시니까요~~~^^
[그믐밤] 18. <이렇게 작가가 되었습니다> with 마름모출판사
D-29

거북별85

연해
으아 @거북별85 님 이 방에서 마지막 날 인사를 건넬 수 있어 기뻐요! 제 글에 답글을 달아주셔서 더더 기쁘고요. 저도 분명 평탄하고 안온한 삶을 늘 원하는데(다소 슴슴한 삶을요), 그럼에도 자꾸 예상치 못한 일들이 빵빵 터지는 것 같아요. 바란 적이 없는데, 어쩌다 보니 이래저래 삶의 풍파를 여러 번 얻어맞은 기분도 듭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것처럼 작가님들은 참 대단하신 것 같아요. 만나 뵙고 대화를 나눌 때면 다들 차분하고 조곤조곤하신데, 소설에서만큼은 너무나 광대하고 다채로운 이야기들을 마음껏 펼쳐가시는 걸 볼 때면 정말이지... 이분들의 세계는 무궁무진하다는 생각에 경이로움마저 들곤 한답니다.
벌써 오늘이 마지막이에요. @거북별85 님과의 진한 만남(다른 모임에서도 겹친 적은 있는데 인원이 너무 많아 직접 대화를 나누지는 못 했죠)은 이 공간이 두 번째네요. 다음에 또 오프라인 모임에서 뵙게 되면 그때는 용기 내서 먼저 인사 드리겠습니다.

고우리
테스... ㅋㅋㅋㅋㅋ 저는 아직도 이 이야기를 생각하면 복장 터지지만 그래도 무지하게 잘 쓴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김새섬
@고우리 쉬워서 룰루랄라 편하게 썼던 퀴즈 답변이 갑자기 마지막에 인물퀴즈가 되면서 난이도가 너무 어려워졌어요, 라고 불평하려던 찰나 @연해 님의 답변을 보며 잠시 반성을 했었습니다. ㅎㅎ
29일 간 즐거운 모임으로 이끌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모임의 마지막 날이 다가오는 지금 시점에 읽었던 책 내용을 곱씹어 보고 쭈욱 쌓였던 글도 다시 읽어보니 역시 결론은 "그냥 쓴다" "그래도 쓴다" 이군요. 저도 그냥 한 번 써보겠습니다. 잘 쓰려던 욕심, 멀리멀리 보내고요.
오프라인 그믐밤은 그저 1시간 반 동안 즐겁게 웃었고요. 두 작가님의 케미도 좋았지만 질문 주시는 분들도 왜 이렇게 다들 재치가 넘치시는지...소중하고 행복한 기억이네요. 감사합니다.

연해
하하, 여담이지만 저는 그 답을 찾기 위해 때아닌 검색을 어찌나 열심히 했던지, 문득 그런 제 모습을 보며 살짝 현타(?)가 오기도 했더랬죠.
근데 그 과정에서 그동안 제가 몰랐던, 너무나 상식적인 것 하나를 새롭게 알았어요. 이렇게 무지할 수 있나 싶어 놀라기도 했고요. 여러모로 즐겁고 유쾌한 경험이었답니다.
저도 이 공간에서 함께 했던 모든 분들과의 29일이 오래오래 기억에 남을 것 같아요. 이제 내일이면 종료되지만, 바깥의 추운 날씨와 대조되는 이곳만의 온기가 있었답니다. 따뜻하고 포근했던 그 시간들을 오래 간직하고 싶어요.

연해
“ 작가의 핵심 정체성은 무엇인가. '거절'이다. 작가로 살아가던 어느 날, 나는 불현듯 이것 을 알게 되었다. 탄생의 비밀이 죽음에 있고, 사랑의 비밀이 이별에 있듯, 작가라는 직업의 비밀은 '거절'에 있었다. 반짝이는 존경과 상찬의 말 뒤에 놓인 심연의 한가운데 도사린 것은 바로 그것이었다. 타인에게 너의 원고를 출간하고 싶지 않다는 말을 듣는 것. 너의 원고가 가치 없다는 말을 듣는 것. 너의 원고가 이전 작품보다 '별로'라는 말을 듣는 것. ”
『이렇게 작가가 되었습니다 - 쓰기의 기술부터 작가로 먹고사는 법까지, 누구도 말해주지 않은 글쓰기 세계의 리얼리티』 작가의 말, 정아은 지음
문장모음 보기

연해
살아오면서 수없이 많은 거절을 겪어왔고, 되레 거절을 하면서 저도 이 말씀이 많은 위로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작가의 핵심 정체성이 '거절'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갱신(?)하는 마음으로 무언가를 쓰는 감각을 잃지 않으시는 모든 작가님들이 존경스러워요. 넘어져도 다시 일어나고, 다시 또 넘어지고, 그걸 수없이 반복하는 게 인생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조영주
오! 여기 방이 있었군요! 이건 가입 어떻게 하는 거지... 정아은 작가님 책도 함께 읽기로 읽어야겠습니다. ㅎㅎㅎ 기차 시간 때문에 북토크 중간에 와서 너무 아쉬웠다는 ㅠㅠ

장맥주
작가님, 환영합니다. 가입은 따로 하실 필요 없고 그냥 글 쓰시면 됩니다. 그런데 이 방에 글을 쓸 수 있는 시간이 이제 12시간밖에 안 남았어요. ^^;;;

조영주
아... 너무 늦게 발견했군요. 지금 들어왔더니 맨 위에 떠 있기에 발견... ㅠㅠ 그래두 일단 읽어보... ㅠㅠ
화제로 지정된 대화

고우리
안녕하세요, 여러분. 장장 29일간의 모임이 오늘로 마무리됩니다. 벌써 막날이라는 것이 믿기지 않네요. 그믐 모임에 참여는 해봤지만 모임지기로서의 활동은 처음인데요, 솔직히 여러분과 이렇게 내밀한 소통을 하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 북토크가 있던 그믐밤에 김새섬 대표님께도 말씀드렸는데요, 여러분은 정말 ‘찐’이었습니다. 책을 이렇게 섬세하게 읽어주시고 재미없는 질문에도 다정한 댓글 달아주셔서 진심 감동했습니다. 이렇게 귀한 자리를 내어주신 @김새섬 대표님과 @장맥주 작가님께도 다시 한번 감사드려요. 그믐이여, 영원하라~
***
저는 마지막 할 일을 하고 다른 기회에 또 짠, 하고 나타나겠습니다. 마지막 퀴즈의 정답은 @연해 님께서 맞혀주셨어요. 폭풍 검색을 하셨을 연해 님, 당신은 이미 출판계 내부자...
편집자 K = 천년의상상 선완규
편집자 W = 마름모 고우리
편집자 S = 사이드웨이 박성열
***
모임 첫 주에 예고해드린 바대로 다섯 분께 마름모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 1종과 <이렇게 작가가 되었습니다> 일러스트 엽서 4종 세트를 선물로 드리려고 합니다. 출간 종수가 적어서 고르기 쉬우실 거여요. ^^ 한 권을 선정하셔서 marmmopress@naver.com으로 1월 18일(목)까지 메일 주시면 보내드릴게요. 선정된 다섯 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해
@거북별85
@챠우챠우
@지호림
@수은등
선정되신 분들, 그리고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 감사합니다!!

달빛한조각
한 해의 마지막과 또 새로운 한 해의 시작에 이 모임이 있었기 때문인지 벌써 29일이 지나갔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네요. 그믐 모임에서 처음으로 참여해본 북토크라서 그날 그믐밤의 온기와 즐거움의 기억이 꽤 오래 지속될것 같습니다.
그리고 선물 선정되신 분들 축하드려요~:D

챠우챠우
올해 첫 그믐모임을 @고우리 님과 함께 할 수 있어 너무 재미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책 많이 만들어주세요! 응원합니다!

거북별85
이 공간이 닫히기까지 40분 정도의 시간이 남았네요... 참 행복하고 따뜻하고 즐거운 공간이었습니다.
그런데 마지막까지 마름모 출판사의 책까지 선물 받을 수 있는 행운까지!! 너무 감사합니다. 고우리 대표님의 손때가 묻은 책을 받을 생각에 행복합니다.^^(전 '편집자의 사생활'에 등장하신 정지우 작가님과 정유경 변호사님의 '이제는 알아야 할 저작권법'이 궁금합니다^^)
마지막 4장의 작가를 둘러싼 사람들에서 등장하는 편집자님들과 동료작가들과 있을 때 정아은 작가님의 이야기, 그리고 독자가 바라보는 작가님의 이야기들이 다른 곳에서는 본적 없고 너무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가득해서 정신없이 읽었던 기억이 가득합니다. 고우리 편집자님의 질문에 편집자분들을 찾아내신 @연해님의 내공에 놀라울 뿐입니다... 전 그냥 재미있게만 읽 었거든요... 고우리 편집자님만 간신히 찾아내고 혼자 흐뭇해했어요^^
전 편집자분들이 보도자료를 쓰시는 지 이번에 알았습니다. 정작가님이 정아은을 매우 좋아하고 친절하게 대하는 편집자보다는 '보도자료를 잘 쓰는 편집자'를 택하겠다는 말씀에 보도자료의 중요성과 편집자님들의 능력을 알게 되었어요... 이번에 읽은 책 중 '나는 메트로폴리탄의 경비원입니다'란 책이 재미있었지만 책 내용보다는 '보도자료'가 정말 매력적이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단 5초의 광고로 소비자를 제품으로 확! 끌어들이는 느낌이었습니다. 편집자분들은 기획력!!에 마케팅!!에 문학적 소양까지!! 얼마나 많은 능력이 필요한 걸까?? 이번에 정작가님의 책을 읽다가 무척 궁금해지는 분야였습니다. 그래서 고우리 편집자님의 <편집자의 사생활>과 편집자의 사생활에서 소개된 <에세이 만드는 법/이연실지음 >도 읽고 있는 중입니다. 그리고 정아은 작가님의 <엄마의 독서>두요....^^
쉽지만 깊은 글을 쓰시는 정아은 작가님, 다정하시면서도 일도 잘하시는 고우리 편집자님, 항상 너무너무 팬인 장맥주 작가님과 HJ대표님, 그리고 든든한 동지분들 덕에 아주 행복한 공간과 시간이었습니다. ^^

거북별85
<편집자의 사생활>에서
'모 출판평론가님이 그랬다. 편집자가 '선생님'소리를 듣게 된 것도 몇 년 안되었다고. 이제 편집자는 문장을 이리저리 만지면서 교정교열만 하는 소극적인 존재가 아니라, 여러 분야에서 숨은 필자/전문가/크리에이터를 적극적으로 발굴하는 기획자 정체성이 강해졌다고.'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