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검은 방울새의 성모>라는 작품이 가장 좋았습니다. 형이 좋아하는 라파엘로의 작품이라 병실 머리맡에 붙여줬다는 점도 좋았고요.
예술이 비범하기 보다는 평범한 환경에 섞일 수 있다는 문장이 인상 깊었는데, 이 그림도 비슷한 감상이 남았어요. 인물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모습을 보며 평화롭고 따뜻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근데 4장은 사이트에 있는 작품과 책 속의 문장에 담긴 작품을 일치시키기 어려워 많이 헤맨 것 같습니다.
[웅진지식북클럽] 1.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함께 읽어요
D-29
연해
바르미
'페르네브의 무덤' 이요. 무덤 입구를 좌우로 지키는 동물과 탑 같은게 너무 인상적이네요.
프렐류드
마지막의 덴두르 신전입니다. 신전의 조각은 이집트인이 아닌 카이사르라는 사실, 그리고 마지막 이집트의 거대 조형물이 아니었나 생각이 듭니다.
영원을 염원한 미라는 얼마나 미약하고 부정한 실패였는지 작가가 이야기하며 3장의 죽은 형의 마지막 임종을 기억하는 그가 4장에서 죽은자를 위한 신전과 무덤의 미라를 보며 생각한 부분과 연결되는 것이 느껴집니다.
귀연사슴
덴드루 신전입니다. 어떤 의미가 있어서 마음에 들었다기 보다는 신전이 옮겨진 미술관의 공간과의 조화가 잘 이루어진 것 같아서 눈에 확 들어왔습니다.
솔빛
전 덴두르 신전입니다. 이런게 미술관에 있다니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면서요. 이게 미국에 있다는 사실에 묘한 감정이 들더라고요.
양지바른그곳
니콜로 디 피에트로 게리니의 작품인 피에타 장르의 Christ in the Tomb and the Virgin(죽은 예수 그리스도와 성모 마리아) 그림을 선정합니다.
>>> 예술 작품의 어떤 부분을 만나면 위로와 감동을 얻을까? 어머니는 이 그림을 보며 어떤 위로를 얻었을까?
>>>64쪽 "우리 좀 봐" 어머니가 말했다 "봐, 지금 우리가 바로 옛 거장들이 그렸던 그런 그림이잖아."
>>>명확하게 어떤 느낌일 꺼야!
여전히 분명하게 알고 있지 못해요.
그러나 작품을 찾아보며 흐릿하게 연결되어 지는 느낌이에요.
이 책은 글로만 읽어서는 도무지 모르겠어요.
글로 전달할 수 없는 부분을 예술 작품을 보는 독자가 채워나가며 읽게 되는 거 같습니다.
에몽드
3장 마지막에 나온, 아들을 먼저 보낸 어머니가 보았던 ‘무덤의 예수와 성모’입니다. 이 작품을 보면서 얼마나 아들을 안고 싶을까요. 통곡, 피에타 라는 장르에 속하는 이 그림이 마지막까지 기억에 남을 것 같습니다.
Henry
고대 이집트 관련 전시물들이 인상적입니다. 자주 봐오던 이미지의 것들이지만, 그 오래된 과거가 현재에 재현되는 것이 주는 묘함이 맘에 듭니다. 마치 지금 존재하기 위해 과거에 만들어진 것들인 듯.
CTL
시기가 시기이니만큼 성탄절이 다가오는 지금, '예수의 탄생과 경배'그린 그림이 눈에 들어옵니다. '이런 이미지 앞에서 우리는 말문을 잃고 말랑말랑해진다.' 라고 표현한 것도 인상적이었고요. 소박하고 단순하게 예수님의 탄생을 그린 그림이 정말 하느님의 아들이 평범한 인간들 한 가운데에 오신 걸 가슴으로 느끼게 하는 그림입니다.
매일그대와
2-3. 양조장과 제빵소가 합쳐진 모형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시간의 바퀴 속에서 끝없는 노동을 하고 있을 열여덟명의 그 공간. 그 속에 선 듯 상상해보니 ... 와 ... . 글로 보는 공간과 사진으로 보는 공간과 그들의 시간.
신이나
댐공사로 나일강이 범람되었을 때 해체되어 뉴욕으로 옮겨진 덴두르신전입니다. 메트의 불가사의로 남을 법한데요. 이집트를 푹 떠서 옮겨 놓은 것 같습니다.
거북별85
<무덤 안의 그리스도와 동정녀>입니다. 모니터에 그림이 나타나는 순간, 형의 죽음 후 미술관에서 이 그림을 맞이한 어머니의 바위보다 무거운 슬픔이 가슴에 훅 내려앉는 기분입니다.
'통곡'을 할 때 '삶'은 고통이다'라는 오랜 격언에 담긴 지혜의 의미를 깨닫는다. 위대한 그림은 거대한 바위처럼 보일 때가 있다. 말로 표현하기에는 너무 냉혹하고 직접적이며 가슴을 저미는 바위 같은 현실말이다.
누구
덴두르 신전 부분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저자가 "사치스러운 초연함"을 누리는 공간으로 묘사되는 유물인데요. 고대 이집트 왕국의 마지막 신전 건축물이라는 점, 아우구스투스가 이집트 파라오로 묘사돼 있다는 점, 거기에 현대인의 낙서가 새겨져 있다는 점 등이 호기심을 자극했습니다. 이집트의 여러 신들과 인간 아우구스투스 그리고 이름을 남기려고 돌을 파낸 사람들이 소란스럽게 혼재한 유적이 이토록 고요하게 서 있는 모습이라니요.
리테
<무덤의 예수와 성모>요. 작가의 어머님이 흐느끼는 장면을 읽으며 그림을 찾아봤는데, 아들을 잃은 어머니의 마음이 느껴져 글을 몇 번이고 반복해 읽었어요.
느려터진달팽이
3,4장 갑니다.
모든 뛰어난 사람들을 섞어놓은듯한 형이 그렇게 가버렸을 때 저자의 상실감에서 그를 얼마나 사랑했는지 느낄 수 있었습니다. 남겨진 사람들의 회복을 돕는 책을 세월호 이후의 사회적 상흔과 개인적 차원의 아버지의 돌아가심으로 무척 감명깊게 읽었던 적이 있어요. 벌써 십 년이 넘었지만, 작년에 그림을 그리면서 어느 정도 실력이 조금이나마 되었다고 느꼈을 때 아버지 초상화를 그렸는데 최고의 초상화가의 지도를 받아 완성이라는 건 없겠지만 작업해 볼 수 있다는 사실 자체가 회복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저자는 이 책으로 그리고 가장 아름다운 예술품 속으로 숨어든 십 년의 시간 속에서 충분히 회복했겠지요:)
58p 형이 건강하지 않은 상태로 뉴욕에서 함께 산 2년 8개월 동안 도시 자체가 변한 것처럼 느껴졌다.
저도 단 한 사람이 없을 뿐인데 도시 자체가 텅 빈 것 처럼 느꼈던 순간이 있습니다. 그렇게 느껴질 수가 있구나~ 했어요.
70p 문에 열쇠를 넣고 돌릴 즈음에는 모든 것이 놀라울 정도로 간단하게 느껴졌다. 그렇게 2008년 가을,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일을 시작했다.
소위 '야망의 트랙'에서 벗어나 다른 삶을 살아 온 사람들과 단순 노동을 하다 보면 보이는 생경한 모습들이 있습니다. 이것도 삶의 엄연한 모습인데 나는 전혀 몰랐네!라는 느낌이랄까요. 단순작업이 머리를 명쾌하게 해주는 미덕도 있습니다. 물론 순기능만 있는 것은 아니겠지만 ㅋ
95p 이 달갑지 않은 역설을 직시하는 데는 거의 3년이 걸렸다. 내가 만약 덜 '대단한' 일을 하고 있었더라면 그동안 틈틈이 내 생각들을 흐릿하게나마 적어두었을테고, 영감을 주는 주제가 있다면 그게 무엇이든 과감히 도전해 글을 써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도리어 이런 빅 리그였기에 내 생각에 스스로 족쇄를 채웠고 야망은 이상하리만치! 줄어들었다.
그림은 102p 펜화가 마음에 듭니다. 저자 인스타 팔로우를 했는데 그림은 언제 몰아서 볼게요^^; 다운은 안되어도 캡처도 할 수 있고 설명도 있고 좋더라구요~
우리는 저마다의 속도로 슬픔을 통과한다 - 어떻게 애도할 것인가사랑하는 이를 갑작스레 잃고 애도 중인 모든 이, 그리고 그들을 지켜보는 모든 이에게 보내는 책. 『우리는 저마다의 속도로 슬픔을 통과한다』는 우리가 애도의 슬픔을 제대로 겪고 나오도록 일러주는 안내서다.
책장 바로가기
모시모시
아무래도 어머니가 톰이 죽은 후 찾은 미술관에서 보고있던 디 피에트로 제리니의 피에타요.
아들을 먼저 떠나보낸 어머니의 마음을 피에타만큼 절절하게 담고있는 작품이 있을까 싶네요. 특히 이 작품은 어머니와 예수만 클로즈업되어있고 컬러감도 있어서 더 훅하고 가슴에 치고 들어오네요.
뒤라스
“ 어떤 사물이 신성한 영역에 도달하려면 그것은 마치 신처럼 흠잡을데 없이 훌륭해야 했고, 그래서 이집트의 장인들은 그들의 예술을 발전시킴에 있어 절대로 노력을 아끼거나 수준을 타협하지 않았다. 이집트인들은 기묘하고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다워서 초자연적이고 불멸인 존재로까지 보이는 물건들을 확보하기 위해 아낌없이 투자했다. 5천년이 지난 지금 그 물건들을 확보하기 위해 모여드는 군중을 보면 그들의 투자는 성공한 것 같다. ”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 경이로운 세계 속으로 숨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 p99, 패트릭 브링리 지음, 김희정.조현주 옮김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웅진지식하우스
■■■■ 5, 6장 ■■■■
● 함께 읽기 기간 : 12월 17일(일)~ 12월 19일(화)
5장. 입자 하나하나가 의미를 갖는 드문 순간
6장. 예술가들도 메트에서는 길을 잃을 것이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웅진지식하우스
이제 19일(화)까지 5장과 6장을 읽고 이야기 나눠요. 이 두 장에서는 예술 작품과 미술관 관람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요.
5장에서는 작가가 ‘예술 작품을 감상하는 나만의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하는데요, 여러분만의 감상 방법이 있다면 나눠주셔도 좋아요.
6장에서 ‘방문객들이 미술관을 관람하는 방법’이 저는 꽤나 흥미로웠어요. 읽다보니 저절로 ‘나는 어떤 유형에 속할까?’ 생각해보게 됩니다. (제가 가장 되고 싶은 유형은 ‘듣는 사람’ 유형이었어요.)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경비 일을 하면서 매일매일 많은 사람들을 접하다보면, 그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을 수밖에 없을텐데요 패트릭 브링리가 쓴 글을 보면 이 모든 걸 한 발짝 뒤로 물러나서 바라보는 느낌이 들었어요. 이것이 바로 ‘초연함’일까요. 5장과 6장을 읽으며 패트릭 브링리의 삶과 일에 대한 태도에 대해서도 여러분과 같이 이야기 나눠보고 싶어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웅진지식하우스
3-1. 여러분은 5, 6장을 어떻게 읽으셨나요? 흥미롭게 느꼈던 부분 자유롭게 나눠주세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