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 그림의 아름다움은 언어적인 것이 아니라 물감과도 같이 과묵하고 직접적이며 물체적이어서 생각으로 번역하는 것조차 거부하는 듯했다. 그래서 그림에 대한 나의 반응은 새 한 마리가 가슴속에서 퍼덕이듯 내 안에 갇혀 있었다. ”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 경이로운 세계 속으로 숨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 P30, 패트릭 브링리 지음, 김희정.조현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바르미
“ 이제 내가 할 유일한 일은 고개를 들고 있는 것이다. 망을 보는 것. 두 손은 비워두고, 두 눈은 크게 뜨고, 아름다운 작품들과 그것들을 둘러싼 삶의 소용돌이 속에 뒤엉켜 내면의 삶을 자라게 하는 것. 이는 정말 특별한 느낌이다. 기나길게 느껴진 몇 분이 더 지난 후, 나는 이것이 진정으로 나의 역할이 될 수 있겠다고 믿기 시작한다. ”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 경이로운 세계 속으로 숨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 패트릭 브링리 지음, 김희정.조현주 옮김
문장모음 보기
Henry
“ 아침은 늘 쥐 죽은 듯 고요하다. 더욱이 미술관 문을 열기까지 30분 정도 남겨두고 근무 자리에 도착하는 날이면 말을 걸어 나를 속세로 끌어내릴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저 나와 렘브란트, 나와 보티첼리, 나와 실제로 거의 살아 움직이는 사람들이라 믿어질 만큼 강렬한 환영들 뿐이다. ”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 경이로운 세계 속으로 숨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 2.완벽한 고요가 건네는 위로.. 중, 패트릭 브링리 지음, 김희정.조현주 옮김
문장모음 보기
솔빛
“ 많은 경우 위대한 예술품은 뻔한 사실을 우리에게 되새기게 하려는 듯하다. 이것이 현실이다'라고 말하는 게 전부다. 나도 지금 이 순간에는 고통이 주는 실제적 두려움을 다디의 위대한 작품만큼이나 뚜렷하게 이해하고 있을지 모르지만, 우리는 이 내 그 사실을 잊고 만다. 점점 그 명확함을 잃어가는 것이다. 같 은 그림을 반복해서 보듯 우리는 그 현실을 다시 직면해야 한다. ”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 경이로운 세계 속으로 숨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 p.51, 패트릭 브링리 지음, 김희정.조현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매일그대와
p.27
아버지는 언제나 자신의 재능은 재능 자체가 아니라 즐거움에서 비롯한 부지런함이라고 말했다. 그래서 비록 뛰어난 실력을 갖추지는 못했지만 그가 존경하는 음악인의 양대 산맥인 바흐와 듀크 앨링턴의 음악을 다소 불안정할지언전 수줍어하지 않고 연주했다. 그리고 연주하는 내내 음악의 아름다움을 진심으로 찬양하며 큰 소리로 노래를 불렀다. 예술가란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나의 생각은 분명 아버지에게서 물려받은 것이다.
p.47
포착된 그 모든 순간과 수많은 기억은 낡아진 사진들처럼 시간 속으로 사라져버릴 듯 위태롭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을 합친 총합은 그보다 훨씬 큰 것, 바로 톰에 관한 기억을 만들어내서 눈을 감으면 언제라도 떠올릴 수 있는 것이 된다. 그 기억은 티션의 초상화와 매우 비슷하다. 밝고, 더 이상 단순화할 수 없고, 퇴색하지 않는 이미지 말이다.
신이나
미술은 달빛 가득한 다른 세계에 속한다는 인상을 갖게 되었고, 여기에는 어머니의 영향이 컸다.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 경이로운 세계 속으로 숨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 패트릭 브링리 지음, 김희정.조현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리테
아버지는 언제나 자신의 재능은 재능 자체가 아니라 즐거움에서 비롯한 부지런함이라고 말했다.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 경이로운 세계 속으로 숨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 p.27, 패트릭 브링리 지음, 김희정.조현주 옮김
문장모음 보기
IlMondo
“ 내가 이해한 건 다디는 고통 그 자체를 그렸다는 점이다. 그의 그림은 고통에 관한 것이다. 고통 말고는 아무것도 없다. 그래서 우리는 말문을 막히게 하는 엄청난 고통의 무게를 느끼기 위해 그림을 본다. ”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 경이로운 세계 속으로 숨어버린 한 남자의 이 야기』 p51, 패트릭 브링리 지음, 김희정.조현주 옮김
문장모음 보기
거북별85
“ 그리고 마침내 이곳에 도착한 것이다.그런데 이제 내가 할 유일한 일은 고개를 들고 있는 것이다. 망을 보는 것, 두 손은 비워두고, 두 눈은 크게 뜨고, 아름다운 작품들과 그것들을 둘러싼 삶의 소용돌이 속에 뒤엉켜 내면의 삶을 자라게 하는 것. 이는 정말 특별한 느낌이다. ”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 경이로운 세계 속으로 숨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 p34, 패트릭 브링리 지음, 김희정.조현주 옮김
문장모음 보기
거북별85
“ 죽을 수밖에 없는 운명인 인간 아도니스에게 절박하게 매달리는 아마빛 금발의 비너스와 여신의 품을 거부하고 위험 가득한 속세로 돌아가려는 자신만만한 젊은이 아도니스 둘 중 누가 더 아름다운지 고를 수가 없다. ”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 경이로운 세계 속으로 숨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 p44, 패트릭 브링리 지음, 김희정.조현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띠에리
예술가란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나의 생각은 분명 아버지에게서 물려받은 것이다.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 경이로운 세계 속으로 숨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 27p, 패트릭 브링리 지음, 김희정.조현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누구
“ "사무실로 가는 거야." (...) "루벤스 전시실의 초인종이 붙어 있는 문 뒤에 있어." 우리 둘 다 그 아이러니를 놓치지 않는다. 탁 트인 이쪽 바깥에서 걸작들과 온종일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은 오히려 우리 같은 싸구려 근무복을 입은 사람들이었다. ”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 경이로운 세계 속으로 숨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 p.23, 패트릭 브링리 지음, 김희정.조현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누구
“ 옛 거장들은 예수의 삶에서 가장 반향이 큰 부분은 그의 인생이 시작된 지점과 끝난 지점이라고 확신했음에 틀림없다. 게다가 부활, 승천, 왕좌에 앉은 그리스도와 같이 초인간적인 존재로서의 그리스도를 묘사한 그림들보다 인간의 육신을 가졌을 때의 모습을 묘사한 장면들이 대여섯 배는 많았다. ”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 경이로운 세계 속으로 숨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 p.49, 패트릭 브링리 지음, 김희정.조현주 옮김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웅진지식하우스
1-3. 1, 2장에서 등장하는 작품 중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은 무엇인가요?
https://www.patrickbringley.com/art
위 사이트는 이 책의 저자 패트릭 브링리의 홈페이지입니다. 책에 나온 작품들을 바로 감상할 수 있는 링크가 있습니다. 로마숫자로 나와 있는 것이 챕터 숫자에요. 하나씩 살펴보시고 여러분의 마음에 다가오는 미술 작품을 골라 선정 이유와 함께 알려주세요.
CTL
라파엘로의 <성좌에 앉은 성모자와 성인들>이 가장 인상깊었습니다.
그림 자체에서 빛이 발산하는 듯한 화려하고 풍부한 색감만으로도 시선을 끌텐데 크기마저 2.5 미터라니 그야말로 '대작'이네요. 성당 안의 제단 뒤 위 벽면을 장식했을텐데 그림 안에 다시 또 계단을 두고 그 위에 성좌를 둔 구조도 인상적이고 다시 또 그 뒤로 풍경이 펼쳐져니 저자가 2장에서 말한 '창문같은 그림'이라는 비유 그대로이지요. 이 그림 밑에서 처음 근무를 시작하게 되었다니 참으로 황홀한 기분이었을 것 같습니다.
모시모시
저는 티션의 <남자의 초상>이요.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된 그림인데 작가의 묘사가 너무 좋아서 그림을 찾아봤더니 뭔가 묘하게 마음을 움직입니다. 실제로 보면 얼마나 눈부실까요..
"표면적으로는 그가 장갑을 벗는 순간을 포착한 그림이지만 단지 짧은 찰나를 보는 것 같지가 않다. 그림 안의 시간은 한순간에 얼어붙었다기보다 흘러들어 고인 느낌이다."
돈키호테
아직 책을 배송받지 못했습니다…
웅진지식하우스
안녕하세요.
북클럽 시작 전, 구글폼을 이용하여 책 받을 주소지를 적어주시는 단계가 있었는데요. 아마 이 부분을 깜빡 놓치신 것 같으세요. 책을 받지 못 하신 경우라 하더라도 도서관 대여, 자체 구매 등으로도 북클럽 참여 가능하시니 함께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솔빛
베르메르의 작품이 마음레 듭니다 하녀의 고단함이 느껴져요.
귀연사슴
1,2 장 중에서는 피터르 브뤼헐의 <곡물 수확>이 가장 마음에 들었네요. 개인적으로 풍속화들을 좋아하는데요, 그 시대에 그려진 인물들이 하는 행동들이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음에 안정과 위안을 얻는다고 할까요? 곡물 수확은 문화와 시대를 넘어 지금 우리네 농촌 풍경과도 비슷한 풍경을 보여주어 인물 한 명 한 명 자세히 관찰하게 되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