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에서 벌써 7번째 재대출 중인 책. 그믐의 힘을 빌려 이번에는 완독 후 반납하는게 목표. 이삼년 전부터 [남자들의 방], [무한발설], [길 하나 건너면 벼랑끝], [성매매, 상식의 블랙홀] 등 한국의 성매매 실태에 대한 여성 작가와 당사자들의 책이 상당히 많이 나와 읽어 나가는 과정에서의 한 권.
레이디 크레딧 읽기.
D-29
서정모임지기의 말
서정
대출한 종이책이므로, 일과 후 집에서 읽을 때 조금씩 올려보겠습니다. 이 책은 한국의 성매매 업계를 경제적으로 접근한 박사논문을 기반으로 한 책으로, 저자는 오랜 기간 이 분야를 연구해왔습니다. 한국에서 해소되어야 하지만 거기에 도달하기에도 복잡해보이는 그 길을 살펴보기 위해 책을 열어봅니다.
서정
대략 하루에 20페이지씩 읽어야 하는데 뒤로 미뤄지고 있습니다. 오늘 60페이지 가량 읽어볼 예정입니다.
서정
(참여자가 생길 때까지 평어체로 씀)
이 계통의 주제에 오랜 관심을 갖게된 원인은 장자연 사건과 검사 스폰서 사건 등 무수한 성착취 범죄 이후 결과에 이르러서는 아무런 해결이 되지 않는 것을 목격했기 때문. 이러한 과정들과 근본 원인은 무엇이며 완전히 파괴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 깊은 궁금증을 가짐.
서정
특히 [무한발설]에서는 생존자들이 책을 내었는데 그 고발 중 깊게 마음에 남는 두 가지가 있었음. 하나는 집창촌을 없애는 것에 반대하는 데모에 강제 참여 시켜 참여하던 기억이었고, 다른 하나는 청에서 없애려들자 그 주변 여러 상인들이 민원을 넣고 찾아와 어떻게 돈을 벌라는 분노를 표현했다는 것임. 이는 성착취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경제적인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는걸 직감하게 해줌.
서정
"금융회사, 신용정보회사, 채권추심회사의 다양한 경영진, 직원과 투자자까지 포함된다. 여성들의 채권에 대한 권리가 양도되는 시장까지 고려한다면 금융 활동을 영위하는 거대한 인구집단이 성매매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연관을 맺고 있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서정
현재 읽고 있는 이 책에서는 '성매매 문제는 도덕의 문제가 아닌 여성 인권의 문제'로 보고, 지금까지의 양대 해석을 넘어서 달리 문제에 돌입함.
서정
현재까지의 관점으로 볼 경우,
- 빈곤한 매춘부에 대한 남성의 성구매가 '구원'으로 옹호
- 소득의 문제일 때 착취를 안 하는 포주의 도덕성으로 환원
- 개별화된 부채 문제에서 '남의 돈을 빌렸으면 갚아야 한다'는 도덕률
이라는 방식의 도덕적 문제로 환원되는걸 막을 수 없음.
서정
그리고 198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의 성매매 관련 문제를 해결하려 달려온 여성운동의 결과들을 다루고 있음. 현재의 상황이 끊임없이 요구되고 변경되온 결과라는걸 주지해야 함.
서정
1부를 다 읽음. 논문으로 치면 연구 소개의 장으로 연구를 어떻게 진행했는지 주요 참여자들은 누군지 다루고 있는 자료들은 어떤 것인지 소개함. 다음 장부터 드디어 본론으로 들어감.
서정
저자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반성매매 단체에서 민간공익재단의 3년 간의 지원을 받으며 탈성매매를 도왔으나, 당시 개별적으로 당면한 문제들만 집중(부채, 개인회생, 파산)하느라 서류 절차 등등(재단 지원 프로젝트로서의 표준지침, 법적 조항 준수, 예산 집행, 회계 처리)에 얽매어 있었던 것으로 보임.
서정
제 2장 '부채 관계의 탄생'을 읽음. 다른 책에서도 교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항으로 성매매 여성들은 업주와의 근속 과정에서 끊임없는 트집으로 빚을 지게 됨. 그 과정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었음.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