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맥주의 블로그
제 독서 메모는 마음대로 퍼 가셔도 괜찮습니다. 상업적으로 이용하셔도 됩니다.화려하지는 않지만 남루하지도 않은 도시의 풍경들. 여러 사람들의 도움으로 집 나간 개를 찾는 소설가 부부의 모습 같은. 작가는 서문에서 이 책 제목을 줄이면 ‘생계’가 된다고 농담을 했다. 판권면의 마케팅 담당자 소개란에는 ‘어쩌면 이 책을 읽은 누군가’라고 적혀 있다.
재미있었지만 『13.67』에 비할 바는 아니며, 인터넷과 관련해 지나치게 친절한 설명이나 ‘천재 해커 탐정’을 비롯해 만화적인 캐릭터들이 조금 아쉽기는 하다. 그래도 중반 이후에 쑥 몰입되는 지점들이 있고, 악플의 힘이 얼마나 크고 무서운지 독자들이 실감하게 되는 장면들도 많다.
『설이』를 쓰는 동안 작가가 그렇게 고생을 한 줄 몰랐다. 이 책을 읽기 전에 칼럼을 통해 먼저 알게 됐지만. “저런”이라는 응답이 참 좋아서, 나도 써먹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전에 알던 좋은 응답은 “오, 그래?”였다. 나는 40대가 되어서야 사람들의 기대와 격려를 무심하게 흘려보낼 수 있게 된 것 같다. 그런데 작가님 《페르시아의 왕자》 엄청 잘하셨구나.
레싱의 초기 단편집. 특히 1950년대 유럽의 사회상을 담은 작품들이 강렬하다. 「낙원에 뜬 신의 눈」에서는 거의 대놓고 히틀러를 옹호하는 전후 독일인들이 나온다. 레싱은 정치적 올바름을 비판한 작가로 알려졌고, 이 단편집에서는 「스탈린이 죽은 날」이 그런 평가를 받는다. 그런데 그녀가 노벨상을 수상하자 해럴드 블 룸은 “순전히 정치적 올바름 때문에 레싱에게 상이 갔다”고 비난했다.
다큐멘터리 《나의 문어 선생님》보다 이 책이 나는 훨씬 더 재미있었다. 의인화가 지나치고 저자의 ‘공감’이 좀 호들갑스러운 대목도 있긴 하다. 그렇다 해도 정말 기묘한 동물이다. 놀랍게도 인간과 얼마간 소통할 수 있는 것 같다. 셸리 케이건이 동물윤리를 논하며 제안한 ‘제한적 계층주의’ 개념에 나는 상당히 설득되었는데, 두족류는 여전히 어떻게 다뤄야 할지 모르겠는 대상이다.
2000년대 초에 ‘아마존의 신비, 분홍돌고래를 만나다’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을 때 읽고 혼자 좋아했다. 『뤼미에르 피플』을 쓸 때 참고하기도 했다. 복간한 출판사 이름과 책 제목이 어울려 재미있다. 이 책 번역서가 나오고 절판되고 복간되는 사이 중국 정부가 양쯔강돌고래의 멸종을 공식 발표했다.
계속 ‘나는 어떻게 회사 생활을 했었나’ 생각하며 읽게 됐다. 나는 좋은 사람들을 만났고, 가끔 먹히는 요령도 한두 가지 있었다. 누군가 소주를 권하면 “저는 섞어 마시겠습니다” 하고 맥주를 주문하는 것 따위. 방송사와 신문사라는 차이도 있었을 것 같다. 신문기자들이 보다 독자적으로 일한다.
머신러닝의 다섯 가지 방법론을 설명하고, 데이터에서 모든 지식을 끌어낼 수 있게 하는 ‘마스터 알고리즘’을 상상한다. 그 상상은 흥미진진한 동시에 오싹하다. ‘적어도 우리 중 일부는 일자리를 보전할 것’이라는 진단이 별로 위안이 되지는 않는다. 인간 바텐더를 선호하는 고객이 있겠지만, 로봇 바텐더를 선호하는 고객도 분명 있을 거다.
오랜 시간을 바친 성실한 취재에 경의를 보낸다. 명일로 폐쇄는 지역이기주의나 ‘떼법’ 행위 같기도 했고, 저항권 행사나 시민불복종으로 해석할 여지도 있어 보였다. 조합과 시공단 사이의 갈등을 공공영역이 조정해줘야 하는 건지는 잘 모르겠다. ‘거대한 존재들의 자가 증식에 기댄 경제’를 결코 좋아하지 않지만, 어쨌든 그 기반이 흔들릴 때 그 위에 선 사람들이 받을 충격이 너무 치명적이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도 있다.
확실히 조훈현 9단이나 이창호 9단과는 다른 캐릭터다. 그럼에도 바둑을 창작품이라고, 예술적인 아름다움을 드러낼 수 있는 명국이 있다고 말한다. 그런 인식이 있기에 “지더라도 이세돌답게”라고 적을 수 있나 보다. ‘나의 바둑’이라는 말들을 자신 있게 쓰는 기사들이 부럽다.